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별
특수
특이
고유
특유
d라이브러리
"
독특
"(으)로 총 2,091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실과 똑같은 가상공간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아닌 진정한 가상현실 서비스로 인정받고 있다. 여기에는 린든랩의 진일보한 철학과
독특
한 시스템이 큰 역할을 한다. 린든랩은 아이템을 만들어 사용자에게 판매하는 일반적인 상업 행위를 하지 않는다.가상공간에서 비즈니스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플랫폼인 토지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이용료만 ... ...
동양식 피타고라스 정리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원리는 같다고 할 수 있지만, 구고의 원리가 적용되는 전통적인 문제 상황을 잘 보면
독특
한 동양식 사고방식을 발견할 수 있다.피타고라스 정리에서는 밑변이 3이고 높이가 4인 경우나 밑변이 4이고 높이가 3인 경우를 모두 동일한 문제로 취급한다.직각을 사이에 둔 두 변은 서로 바뀌어도 아무런 ... ...
3. 역사 속의 그녀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단독으로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바버라 맥클린톡(1902~1992) 전기를 통해 여성과학자의
독특
한 경험이 과학의 새로운 발견으로 어떻게 이어질 수 있는가를 보여줬다.맥클린톡은 오랫동안 콜드스프링하버연구소에서 얼룩진 옥수수를 연구했는데, 이 얼룩이 색소 유전자의 변이 때문이 아니라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사물놀이가 시작됩니다. 호남과 영남 그리고 충청의 가락들을 적절히 섞어 자신들만의
독특
한 소리를 만드는 것으로 이름이 높습니다. 음식 주문을 위해서는 목소리를 높일 필요가 없습니다. 입 모양만 보고도 로봇은 빅 햄버거 세트를 주문받아 갑니다. 사물의 장단이 급속하게 빨라질 즈음 햄버거 ... ...
페널티킥 실축하고 머리 감싸쥐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고작 몇 번 접했을 뿐 아직 몸에 익히지 못했다. 다시 말해 아직 다른 동료나 관중의
독특
한 버릇을 모방할 기회가 없었다.그런 상황에서는 미들즈브러 선수로서 경기를 하다가도 페널티킥을 실축하면 한국에서 하던 버릇이 나오기 마련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다른 선수의 모습을 충분히 관찰하면 ... ...
백내장이 명작 낳았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그림과 비슷하게 나타났다.마모르 교수는 “컴퓨터 실험 결과 인상파를 이끈 두 거장의
독특
한 화풍은 천재적인 영감에서 나왔다기보다는 그들이 본 그대로를 캔버스에 옮긴 것”이라며 “시력장애가 명작을 만드는데 일조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인상파 화가들은 1860~1890년대 프랑스를 ... ...
혈액형 바꾸는 효소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속도 대개 초속(km/s)으로 나타내며 멀어지면 (+)로, 가까워지면 (-)로 표시한다생명체는
독특
한 가스를 만든다 식물은 산소를, 동물은 이산화탄소와 메탄가스를 내보낸다 물도 대기의 구성을 바꾼다 분광관측은 대기를 관측해 생명체가 존재하는 행성인지 확인할 수 있다현재 표준모형에서는 6종류의 ... ...
PART2 한국의 '지구사냥꾼' 나선다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일어날 때 렌즈 역할을 하는 천체(렌즈별) 주위에 행성이 있으면 배경별의 밝기에
독특
한 변화가 생기는데, 이를 검출해 행성을 찾는다.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배경별과 렌즈별이 각각 고유운동을 하다가 우연히 지구에서 볼 때 일직선에 놓일 때가 있다. 렌즈별이 배경별이 보이는 시선에 가까이 ... ...
PART3 수학의 봄날 올까?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농담 삼아 얘기하는데, 위상수학은 도형의 크기나 부피와는 상관없이 각 도형이 가진
독특
한 구조를 연구한다.이 분야는 18세기의 오일러까지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오래된 학문이다. 대수학을 이용해 도형의 구조를 연구하는 아이디어를 처음 낸 사람은 푸앵카레였다. 이 연구 방법을 ‘대수적 ... ...
혼천시계, 지상에 구현한 하늘 모습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결합된 모습이다. 이런 방식의 혼천시계는 세계에서 유래가 없는 것으로 조선만의
독특
한 혼천시계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그 모습이 송이영이 만들었다는 혼천시계에 대한 기록에도 잘 부합하고 있다. 때문에 이것은 동서양의 전통과 과학기술의 융합을 보여주는 우리 민족의 과학활동을 상징하는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