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렬
큰
이음보
d라이브러리
"
대형
"(으)로 총 2,365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이마을 비내리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마을을 내려다보았다. 집에 가기 싫었다. 아무 생각도 안났다.헤드라이트가 비치며
대형
차 한 대가 우리 앞에 섰다. 초록색 가운을 입은 건장한 사람들이 익숙하고 재빠른 솜씨로 정교해 보이는 장치들을 차 밖으로 실어냈다.“너희들 여기서 뭐하는 거냐?”젊고 늘씬한 여자가 엄한 표정을 지었다 ... ...
이탈리아 피자 연구가 '피자마자 다 팔리옹'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들어갈 숫자는 30(2×3×5)이 된다.세 번째 문제의 정답착시현상으로 물결이 일렁이는 듯한
대형
피자는 토핑이 일정한 규칙으로 배열되어 있다. 착시현상을 이용해 복잡해 보이지만 사실은 간단한 문제다. 소시지가 각각 9개씩 들어가도록 자르면 같은 크기 24개의 조각이 만들어 진다. 네 번째 ... ...
썰렁 홈즈의 가정부 로봇 '봇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8호
로봇을
대형
마트에서도 판매하는 세상이 열렸다. 썰렁홈즈도 이에 뒤질세라 로봇을 한대 구입했다.로봇의 이름은‘튼튼한 두 다리처럼 항상 곁에서 힘이 되어 주는 로봇’이라는 뜻으로 ‘봇다리’ 라고 지었다.이름이 너무 촌스럽다고? 어쩔 수 없다. 썰렁홈즈 취향이 그런걸. 하여간 봇다리는 ... ...
세계 각 국의 로봇과 만나 꿈을 키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8호
기다리고 있답니다. 세계 40개국의 초창기 로봇 장난감이나 로봇의 역사를 보여 주는
대형
벽 장식물을 보다 보면 어느새 로봇 박사가 돼요. 구두닦이 로봇, 산타클로스 로봇을 비롯해 온도계 로봇, 선풍기 로봇 등 다양한 로봇 장난감이 흥미롭답니다. 세계 최고의 부자 빌 게이츠가 그랬다잖아요.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시야로 약 5000개 천체들을 한꺼번에관측할 수 있는 망원경이지요. 우리나라도 이제 곧
대형
망원경을 가진 나라가 되어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데 큰 역할을 하길 기대해 봐요~. ➊레몬산 천문대의 돔.➋보현산 천문대 1.8미터 반사망원경.➌레몬산 천문대의 1미터 반사망원경 ... ...
별똥별 쇼가 펼쳐지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1m 정도이고 전체에 짧은 털이 나 있으며 줄기는 곧게 자란다 고생대에 서식했던
대형
물고기 고대 참고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유명한 물고기이며 최근에 와서 당클레오스튜스라는 속명으로 바뀌었다두부와 흉부는 두껍고 단단한 골판(骨板)으로 싸여 있고 턱에는 이빨이 없이 악골판(顎骨板)이 파형 ... ...
DAY 7 잠 못드는 우주의 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볼일 보는 일은 그리 유쾌하지 않다. 먼저 우주여행객은 지구를 떠나기 전에 우주복 안에
대형
기저귀를 착용해야 한다. ISS에 도착하기 전까지는 어떻게든 기저귀에 해결해야 한다. 배설량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발사 전에는 금식을 하며 관장을 한 상태로 우주로 나간다.ISS에서 ‘Toilet’을 찾기는 ... ...
행복한 엔지니어 이달우 회장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제철소에 설치돼 있는 대부분의 전기집진기는 한국코트렐의 제품이다. 뿐만 아니라
대형
산업시설의 배기가스에 포함돼 있는 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 다이옥신 등 유해가스를 처리해 청정기체로 배출하도록 하는 장치도 대부분 한국코트렐 마크를 달고 있다. 이 정도면 대한민국의 맑은 하늘을 ... ...
DAY 8 감동을 가슴에 품고 지구로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구성돼 있다. 그중 하강모듈을 제외한 나머지는 대기권에 버린다. 이때 궤도모듈은
대형
쓰레기통이 된다. 여행에서 생긴 쓰레기는 이곳에 한꺼번에 모아 두면 대기권을 통과할 때 소각된다.우주에서 생활은 ISS에서 하고, 돌아올 때는 우주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갖고 간 휴대품들은 꼼꼼하게 다시 ... ...
태권V 지치지 않고 싸우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사용할 핵융합 추진체로 형태에 따라 항공 추진체 또는 발전로로 병합해 쓸 수 있어서
대형
로봇에 적당하다.이 핵융합로는 핵융합 반응에서 생기는 물질에 적절한 전위차를 둬서 그 운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바꿀 수 있다. 현재 핵발전소에서처럼 복잡한 부대설비가 필요 없다는 뜻이다.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