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아리
독
병
오직
유일
포트
다만
d라이브러리
"
단지
"(으)로 총 2,066건 검색되었습니다.
투우사의 빨간 망토는 속임수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입히기도 하고, 빨갛고 파란 원색의 페인트로 개집을 새단장하기도 하지만 강아지는
단지
연하고 짙은 회색과 밝은 녹색만을 구별한다. 서양 영화에서 가끔 주인과 개가 나란히 앉아 컬러 텔레비전을 보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때도 개는 주인과 달리 흑백 텔레비전을 보고 있는 셈이 된다. 개의 눈은 ... ...
프로게이머 슬기팀이 추천하는 여름나기 톱게임3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팬터시’시리즈 역시 게임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플레이어가 쓰는 마법이나 액션은
단지
선택창에서 마우스로 고르는 일뿐이다. 그러면 자동으로 화려한 그래픽과 함께 마법이나 액션이 펼쳐진다. 물론 그래픽이나 스토리가 뛰어날 경우 이러한 게임진행체계도 나쁘지 않다. 그러나 실제로 게이머가 ... ...
2. 현대인은 왜 SF에 매달리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개발하는 대상이 되고 말았다. 따라서 더 이상 자연에는 알려지지 않은 곳이 남지 않고
단지
개발을 기다리는 곳만 남게 됐다. 이 과정에서 자연은 신비함을 모두 잃은 것처럼 생각됐다. 따라서 전통적인 민담이 들어설 여지도 사라졌다.이런 상황에서 SF, 특히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SF 영화는 ... ...
1. 인간은 색을 어떻게 구별하나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원추세포의 기능이 전혀 없어서 모든 색을 구별하지 못하고
단지
명암만을 느끼는 경우를 전색맹(또는 전색각이상)이라 부른다. 3종류의 원추세포가 모두 존재하지만 그 중 하나나 두 종류의 세포가 기능적으로 부실하거나, 어느 하나가 현저히 적어서 빛이 약할 때나 먼 곳을 ... ...
10대들의 고민 여드름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청춘의 심벌로 불리는 여드름은 누구에게나 예외없이 다 생기는 보편적인 현상이다.
단지
사람마다 증상이 차이나기 때문에 어떤 사람은 심하고 어떤 사람은 거의 없는 것처럼 느껴질 뿐이다.여드름은 주로 10대로 접어들면서 생기고 20대를 고비로 수그러든다. 하지만 40대에도 여드름으로 고민하는 ... ...
2. 달착륙 생방송은 조작극?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볼 것이다. 우리는 정복의 깃발이 아닌 자유와 평화의 깃발을 세울 것이다.” 깃발은
단지
상징일 뿐 소유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마치 에베레스트산을 정복했을 때 깃발을 꼽는 행위처럼. 결국 NASA는 달에 성조기를 꼽고 ... ...
③ 일방적 승리는 없다 절충이 있을 뿐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누구로부터 퍼지기 시작했는지, 어떤 경로를 통해 전염됐는지는 현재로선 알 수 없다.
단지
바이러스가 잘 전염되는 상황이 벌어졌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것은 바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벌어지고 있는 각종 전쟁이다.열대의 밀림 속에서 언제 끝날지 모르는 전투에 밤낮으로 임하고 있는 군인들에게 ... ...
다이옥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식품에 어느 정도의 다이옥신이 포함돼 있는지 제대로 측정한 적이 없다.이런 상황에서
단지
유럽산 육류만 피하는 것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어리석은 일일지도 모른다. 무엇보다 국가 차원에서 다이옥신을 비롯한 각종 유해화학물이 음식 어디에 어느 정도 함유돼 있는지 파악하는 일이 ... ...
A4 용지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폭에 대한 길이의 비는 약 1.414였다. 눈치챘겠지만, 이 값은 실제로 $\sqrt{2}$를 가리킨다.
단지
제조 과정에서 편의를 위해 근사값을 택했을 뿐이다. 그런데 왜 297mm×210mm일까. A4 용지의 전지를 A0라고 하는데, A0의 규격은 1189mm×841mm이다. 더 복잡한 수치다. 그런데 A0 용지의 넓이를 계산해보면 9999 ...
바이러스 신상명세서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대한 논란은 여기서 시작됐다.바이러스는 혼자서는 아무런 증식 활동을 벌일 수 없다.
단지
생물의 세포 내에서만 생존하는 기생생활을 한다. 대상은 무차별적이다. 동물과 식물, 미생물 등 세포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침입한다.바이러스는 크기가 매우 작아 전자현미경으로만 관찰된다. 한 예로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