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귓바퀴
귀퉁이
모퉁이
귀구멍
귓구멍
거북선
d라이브러리
"
귀
"(으)로 총 1,55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도입으로 인공감각기관 현실화한편 나노기술을 이용해 피부와 뼈는 물론 눈, 코, 혀,
귀
와 같은 신체 감각 기관을 인공적으로 개발하려는 연구도 나노바이오의 한축을 형성하고 있다. 오늘날에는 2-3nm 두께의 DNA 이중나선 연구를 통해 생명현상을 나노 수준까지 이해해가고 있다. 이와 함께 생체 ... ...
하드디스크는 오늘 무엇을 기억하는가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기억해 길눈을 밝혀준다. 사용자를 통한 보조기억 이외에도 PC나 핸드폰 등이 눈과
귀
가 돼 인터넷이라는 세계에 대해 기억의 촉수를 뱉는다. 새로 개업한 주유소나 편의점을 기억하는 일을 운전자 대신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해주는 것이다. 기억은 이처럼 그 한계점을 네트워크 너머로 밀어낸다. ... ...
PART2 여름 피부 지켜주는 나노 화장품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등장하기도 했다. 손안에서 놀아날 정도로 소형화된 지금의 휴대폰이 미래에는
귀
속에 들어갈 정도로 작아지지 않을까.휴대폰처럼 현대의 많은 기기들은 크기가 점점 작아지고 무게가 가벼워지고 있다. 그러면서 기능이 다양해지고 성능도 좋아진다. 이런 소형화 경향의 배경에는 부품의 크기를 ... ...
바다로 내려간 고래의 성공비결은
귀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발달이 나타난 시기보다 5백만년 이상 앞서 있었다. 고래는 바다생활에 필요한 도구보다
귀
를 먼저 변화시켰다는 얘기다. 연구팀은 반고리관이 작아진 현상이 바다에서 자유롭게 헤엄치기 위해서 진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고리관이 작으면 회전했을 때 뇌에 전해지는 충격이 적다. 따라서 ... ...
축구선수 시력 얼마나 뛰어날까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만일 우수하다면 무엇이 얼마나 우수할까.처음 테니스와 같은 구기종목을 배울 때
귀
가 따갑도록 듣던 말을 기억하는가. 대부분의 사람은 공통적으로 ‘공에서 눈을 떼지 말아라’라는 코치의 말을 상기할 것이다. 아직도 대부분의 구기종목에서 코치나 지도자가 흔히 사용하는 훈련어구이기도 ... ...
Ⅱ 놓치면 후회하는 관전포인트 7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개막전을 시작으로 한달여 동안 펼쳐지는지구촌 축제인 월드컵에 전세계인들의 눈과
귀
가 집중된다. 빅게임은 물론 매 경기마다 어떤 점에 주목해야 할까. 놓치면 후회하는 관전포인트 7가지를 과학으로 짚어본다.1 홈그라운드 이점 사실인가붉은 악마 응원보다 남성호르몬이 원인 보통 어떤 ... ...
늘어진 가지에 담긴 애달픈 사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되기도 했다. 역시 성종 때 연산군의 어머니인 윤씨는 버드나무로 만든 상자 속에 저주글
귀
와 독약인 비상을 넣어 권숙의 집에다 던지는‘비상 투척사건’에 연루된다. 이는 성종의 사랑을 잃는 빌미가 됐고, 결국 폐비가 돼 죽임을 당했는데, 이는 뒷날 연산군의 갑자사화 비극으로 이어졌다. ... ...
연구의 주역 루시 테일야칸 박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상온핵융합 소동에 대해 물리학자와 화학자의 대결이었다는 말도 있다. 이번에도 역시
귀
그룹의 공학자와 물리학계의 대립이라는 말도 나오는데.우리 연구그룹에도 공학자들과 함께 많은 물리학자들이 있다. 이들 모두 이번 결과에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물리학자는 공학자와는 다른 시각으로 ... ...
동물의 갖가지 체온유지 비법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열생성이 감소할 때
귀
로 가는 혈류량이 줄어
귀
는 차가워진다. 토끼의
귀
도 코끼리의
귀
와 마찬가지로 체온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극한지방에 사는 동물은 어떨까. 이들의 경우 발바닥온도는 거의 빙점에 가까울 정도로 낮지만 심부온도는 높게 유지된다. 극한지방 동물의 체온유지 비법은 ... ...
화두가 있는 자연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중 하나일 것이다.한편 1분 쪽지는
귀
중한 강의 자료를 제공하기도 한다. 김교수가
귀
국해서 처음 강의를 맡던 1997년, 일반화학 강의의 한 수강생이 적어낸 1분 쪽지의 내용을 김교수는 아직까지 활용하고 있다.‘미시세계에서도 인간사회와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는군요. 반발력 있는 것들을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