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찰"(으)로 총 5,04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깃털의 원조는 공룡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보존된 멜라노솜(색소세포를 만드는 세포 소기관)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이들이 관찰한 공룡은 안키오르니스(Anchiornis)로, 약 1억6000만 년 전인 쥐라기 후기에 중국에서 살았던 비둘기만 한 공룡이다. 긴 날개깃이 솟아 있는 다리와 깃털로 이뤄진 볏을 가졌다. 연구팀은 안키오르니스의 깃털에서 ... ...
- 우리는 돌고래 추적자들입니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비가 오거나 풍랑주의보가 뜨는 날이 아니면 하루 10시간 이상 바다에서 돌고래를 찾고 관찰한다. 장비는 주로 카메라, 드론, 수중음향장치를 이용한다. 가장 중요한 점은 돌고래에 최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필자를 포함한 연구팀은 배보다는 주로 차를 ... ...
- 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암으로 돌아가셨는데, 오로라를 보면 아버지가 생각나요. 그 이후부터 계속 오로라를 관찰하게 됐답니다.Q어떻게 스티브를 발견하게 됐나요?2012년부터 ‘앨버타 오로라 추적자들’ 페이스북 그룹에 가입하면서 오로라를 관측했어요. 그러다 보랏빛 띠 모양의 이상한 현상, 즉 ‘스티브’를 ... ...
- [실전! 반려동물] 토끼가 사료를 안 먹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다가오는 등 위협을 느끼면 공격적인 행동을 하지요. 따라서 보호자는 토끼의 행동을 잘 관찰해 기분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해요. 뒷발을 여러 번 바닥에 치는 행동은 대표적인 경고 행동이에요. 더 이상 다가오지 말라는 의미지요. 이런 행동을 무시하고 다가간다면 토끼는 마지막 방어 수단으로 ... ...
- Part 3. 구름, 파도 같은 구름을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것을 깨달았답니다. 친구들도 하늘을 자주 올려다보며 구름을 유심히 관찰해 보세요. 그리고 멋있는 모양의 구름을 발견한다면, 사진을 찍어서 우리에게 보내 주세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아마추어 과학자들의 대활약!Part 1. 인공위성 IMAGE를 찾다!Part 2. 초신성, ... ...
- [과학뉴스]실험실에서 키운 망막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이 망막 오가이드가 망막을 형성하면서 색상을 감지하는 원추세포를 형성하는 과정도 관찰했다. 기존에 알려진 대로 푸른색을 감지하는 청색 원추세포가 먼저 생겼고, 뒤이어 적색 및 녹색 원추세포가 나타났다. 놀랍게도 색상을 결정하는 것은 갑상선호르몬의 양이었다. 연구팀이 유전자 편집 ... ...
- NASA 60주년, 달부터 화성까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대한 NASA의 욕망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1964년 ‘마리너 4호’를 통해 처음 화성을 관찰했으며, 1976년 7월 ‘바이킹 1호’가 화성에 착륙해 화성 표면의 사진을 지구로 전송했다.화성은 태양계 행성 중 유일하게 인류의 거주 가능성이 점쳐지는 곳이다. 또 지하 깊숙이 물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반대쪽에는 건조한 환경을 조성했다. 이후 미로 내에서 귀뚜라미가 어떻게 행동하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연가시에 감염된 귀뚜라미와 그렇지 않은 귀뚜라미의 행동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한 환경에서는 감염된 개체와 감염되지 않은 개체 모두 행동에서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반응하는 눈의 반응을 종합해 ‘표준관찰자 시감효능 함수’를 1924년 발표했다. 표준관찰자 시감효능 함수는 1982년 CIPM의 공인을 받고 칸델라를 정의하는 상수로 쓰이게 됐다. INTERVIEW “광자 하나를 기반으로 한 광도 표준 만들 것”_이광훈(한국표준과학연구원 광학표준센터 광도 분야 연구팀 ...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레이저를 끄기만 하면 된다. 거의 모든 광학현미경에 장착할 수 있어,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입자를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다. 현미경이 미시세계를 보는 ‘창문’이라면, 광집게는 미시세계를 만져볼 수 있는 ‘손’인 셈이다. 1990년대 초에는 스티븐 블락 미국 스탠퍼드대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