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명
창안
구상
착상
궁리
연구
창시
d라이브러리
"
고안
"(으)로 총 1,248건 검색되었습니다.
3. 재평가돼야 할 가로림만 입지조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움직임 또는 공기의 흐름으로 바꾸어 터빈을 회전시켜 발전하는 것으로, 현재까지
고안
된 실용적 파력발전장치는 세계적으로 50여종에 이르고 있다.현재까지 연구결과에 의하면 진동수주에 의해 압축 팽창된 공기로 터빈을 돌리는 방식이 가장 효율이 놓은 것으로 판명됐다. 이는 수면 상부에 공기 ... ...
돈없이 사장되는 지름길 보통머리로 발명왕이 되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필립은 일(一)자 나사못이 쉽게 망가지자 오래 쓸 수 있는 십(十)자 나사못을
고안
했고, 그 생각을 자신있게 실천에 옮겨 세계적인 갑부가 되었다.요즘은 전국의 6천여개 학교에 발명반이 설치돼 학생들도 발명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에 넘쳐 있다. 지난 해 대한민국 학생발명전시회에 전시된 2백7 ... ...
풀어쓰는 컴퓨터 역사③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해야 정확할 것이다.튜링은 항상 자신의 지식능력을 시험해 보이기를 좋아하여 자신이
고안
한 '무인도 게임'이라는 것을 즐겨했다. 무인도 게임은 준비물로 청산가리라는 극약이 포함된 아주 무시무시한 것이었다. 적당한 시간내에 자신이 낸 문제를 자기가 해결하지 못하면 극약이 자신의 입으로 ... ...
빛의 굴절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러한 현상이 존재할 수 있다는 최초의 암시는 아인슈타인박사가 일반상대성이론을
고안
해 냈던 지난 1916년에 있었다. 상대성이론에 의하면 빛은 유리를 통과할때 비스듬히 꺾이는 것처럼 질량이 큰 물체의 근처를 지날 때에도 굴절되어야 한다.두 굴절의 차이란, 빛은 유리에 의해 크게 ... ...
혜성·신성·변광성을 관찰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법과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쌍안경은 자연을 관찰하기 위해
고안
된 가장 유용한 도구다. 쌍안경으로 새떼를 관찰하거나 운동경기를 관전하는 사람들이 많다. 더욱이 쌍안경은 별을 좋아하는 이들에게는 더없이 훌륭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비싸지 않으면서도 여러 장소에서 ... ...
PART Ⅰ 표피세포가 뇌의 출발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전기 자극, 뉴런의 전기적 활동의 측정, 해부학적 생화학적 기법들은, 이 기법들이 잘
고안
된 심리학적 행동 연구와 동시에 이루어졌을 때 매우 효과적이었다.생물심리학은 행동의 생물학적 기반을 다루는 심리학의 기초분야다. 대부분의 경우 인간과 동물의 행동은 뇌기능에 따라 이루어지기 ... ...
차세대 전화기술혁명 무선시대를 연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훨씬 더 넓은 주파수대역을 사용함으로써 제3자에 의한 도청을 방지할 목적으로
고안
된 것으로 지금까지는 비밀성이 요구되는 군통신에서 주로 사용돼왔다.미래의 이동무선통신 시스템이 꼭 갖추어야할 조건들을 몇가지 들어보면 먼저 많은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수용능력이 ... ...
주변기기 활용법/ 한글카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체계로는 표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2바이트 이상을 묶어 한 문자를 표시하는 편법을
고안
하게 되었다.컴퓨터에서 최초로 사용된 한글은 'N바이트 한글'이다. 이것은 멀티바이트(multi-byte)한글이라고도 하는데 주로 대형 컴퓨터에서 사용되었다. N바이트 한글은 각 바이트마다 한글의 시작과 끝을 ... ...
금속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먹고 힘을 되찾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것은 철이 풍부한 시금치를 먹도록 유도하기 위해
고안
된 것이다. 철의 주요 공급원은 육류(肉類) 계란 등이다.■구리/굴에 많이 함유돼실험동물에게 일부러 구리가 부족한 식품만을 골라 먹여서 구리(Cu)결핍증을 일으켰더니 그 불쌍한 동물은 빈혈, 모발의 ... ...
날씨와 심리변화 관계없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조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6개월을 단위기간으로 정해 환자들에게 매주 세번씩 특별히
고안
된 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어냈다. 각 환자의 답안을 통계적으로 처리해 본 결과 예상했던 바와 달리 월별(계절적)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오히려 요일마다의 심리변화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즉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