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리"(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그림처럼 같은 색으로 된 두 정육각형은 서로 거리가 1보다 크게 하고, 정육각형 안에는 거리가 1 떨어진 두 점이 없도록 만들면 됩니다. 그렇다면 χ는 4, 5, 6, 7 중 얼마일까요? 정말 많은 수학자와 공동연구하며 여러 문제를 섭렵했던 헝가리 수학자 에르되시 팔도 이 문제에 도전했습니다. 1992년 ... ...
- Part 5. 바다와 논밭을 누빈다! 농수산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제거할 수 있답니다. 제로스 로봇들은 V자 형태로 늘어서서 이동해요. 철새들이 먼거리를 이동할 때 V자 모양으로 날면서 에너지를 아끼는 데서 착안한 거지요. 1시간에 200kg 이상의 해파리를 제거하는 탁월한 능력을 갖춘 제로스는 현재 전북 고창, 군산 등의 국내 바다를 누비며 맹활약하고 ... ...
- [과학뉴스] 소리로 토네이도 발생 예측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그간 토네이도를 관측할 때에는 도플러 레이더를 사용했는데, 원거리 관측이 불가능해 정확성이 떨어졌다. 토네이도가 발생할 때에는 0.5~20Hz(헤르츠·1Hz는 1초에 1회 진동)의 초저주파가 방출된다. 연구진은 초저주파를 감지하는 마이크를 통해 50~900km 떨어진 곳에서 ...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특성을 명확히 파악하려면 지진계를 가까운 곳에 설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적당한 거리에서 진원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하는 것이 필수다. 지진파가 사방으로 전파되기 때문이다. 강 교수는 “지진파에 기록된 여진을 분석하면 지진을 일으킨 단층의 기하학적인 범위와 자세, 방향, 그리고 단층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2] 나라의 동맥과 정맥 교통 인프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문을 연다. 이 곳을 5월 14일 국내 언론으로는 처음으로 방문했다. 38선과의 직선거리가 약 13km, 최접경 지역에 위치한 탓인지 한랭한 기후가 북한 지역의 기후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악천후 기상재현 연구실험시설은 길이 650m, 4차선 도로로 설계됐다. 그중 300m 구간에서는 눈, 비, 안개 등 ... ...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두 입자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적 인력은 두 전하의 곱에 비례하고, 두 입자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쿨롱의 법칙’을제안했다. 오늘날 전하량의 단위로 표시하는 C(쿨롱)는 그의 이름에서 따왔다. 1887년 경복궁에 전구를 켜다전기가 인류 문명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건 19세기 전반, ... ...
- Part 2. 전술을 분석하라!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세르히오 부스케츠가 허브 역할을 해서 선수들 사이의 거리의 합이 줄었어. 그래서 패스 거리가 짧으니까 더 정확하고 효율적인 패스를 할 수 있던 거지. FC바르셀로나처럼 삼각형이 많은 포메이션을 구상해야 겠어! 대형을 유지하라!포메이션을 갖췄으면 선수들은 자신이 맡은 구역을 잘 ... ...
- 인공어초 파헤치기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있습니다. 바닷물이 세게 흐르면 인공어초가 움직이거나 넘어질 수도 있어요. 애써 거리를 계산해서 설치했는데 움직여 버리면 안 되겠죠. 그럼 무거울수록 안정적인 것 아니냐고요? 무작정 무겁게 만들면 파도에 쓸려가진 않겠지만 대신 갯벌 아래로 파고들 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제작하고 ... ...
- 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고려하면 20만~30만km를 무사고로 운전해야 한다는 의미”라며 “시험 도로에서 이 정도의 거리를 무사고로 운전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한 만큼 가상 플랫폼에서 자율주행자동차를 시험하는 게 안전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프리미엄 리포트] 자율주행자동차, 얼마나 ... ...
- [Origin] 외계행성 찾으러 가즈아~ 케플러 대신할 테스 발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연구원은 “천문학자들이 지구에서 자세한 정보를 알아낼 수 있을 만큼 가까운 거리에 있는 외계행성 위주로 찾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 대신 탐색 범위를 넓혔다. 테스는 전체 우주의 85%를 훑을 예정이다.지구 가까이에 있는 외계행성이 탐색 대상이라고 하지만, 300광년이나 떨어져 있다. 더구나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