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934건 검색되었습니다.
대덕연구단지 20년 랜드마크 ‘엑스포과학공원’ 철거된다
2014.09.21
결정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제 7차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를 개최한 결과
기존
‘기초과학연구원(IBS)’ 본원 등을 건립하기 위한 ‘엑스포과학공원 철거계획’을 심의, 의결했다고 19일 밝혔다. 미래부와 대전시는 9월말부터 철거업체 선정절차를 거쳐 11월 말경 본격적으로 철거에 ... ...
신소재 개발하려면 ‘이것’부터 보세요
2014.09.19
친환경 에너지 연구에도 활용된다. 연구팀은 식물의 엽록소에 은 나노입자를 붙여
기존
태양전지보다 효율이 2배 높은 태양전지를 제작했다. 또 폴리머구슬과 산화구리를 붙인 소재를 촉매로 써서 햇빛으로 물을 전기분해하는 수소전극을 개발했다. 수소는 수증기 이외에는 어떤 물질도 배출하지 ... ...
도시가 잠든 사이에 무슨 일이?
수학동아
l
2014.09.17
것으로 그리는 그림을 의미하는 '그래피티(graffiti)'와 '빛(light)'의 합성어다. 쉽게 말하면
기존
의 재료인 물감이나 스프레이 대신에 빛으로 그리는 그림을 뜻한다. 빛으로 그리는 그림인 만큼 과정 또한 매우 이채롭다. 라이트 그래피티는 장노출 기법을 활용한다. 카메라의 셔터막을 열고 카메라 ... ...
주사로 하이드로겔 맞으세요~
2014.09.17
기존
세포치료제의 효능을 높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주사형 하이드로겔(hydrogel)’이 있다. 하이드로겔은 고분자물질이 그물 형태를 이룬 물질인데, 이 안에 세포치료제를 넣어 몸속에 전달하는 것이다. 한세광 포스텍 교수. - 포스텍 제공 최근 한세광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이 주사형 ... ...
‘슈퍼 렌즈’로 보면 100nm 보다 작은 세계도 선명
2014.09.17
다음, 지름 100nm 크기의 나노입자로 구성된 미세한 입자를 뿌렸다. 이렇게 만든 시료를
기존
현미경으로 관찰하자 빛의 간섭현상이 생겨 정확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었다. 박용근 교수는 “지금까지 300nm 보다 작은 물체의 정밀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전자현미경을 사용했지만 살아 있는 세포는 ... ...
[채널A] 장수 노인 105명…‘토종 유산균’ 101개 발굴
채널A
l
2014.09.16
기간 동안 아주 잘 발휘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 발견된 유산균 ‘LF9988’은
기존
유산균에 비해 위산에 월등히 강해 최근 제품으로도 출시됐습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society/3/03/20140912/66356002/1 ... ...
물에 햇빛 쪼였을 뿐인데 수소가 펑펑
2014.09.16
개발했다. 이종협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팀은 가시광선으로 물에서 수소를
기존
보다 74배 높은 효율로 분리할 수 있는 촉매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가시광선을 이용해 물에서 수소를 분리할 수 있는 촉매인 금 나노입자에 주목했다. 가시광선을 흡수한 금 나노입자는 ... ...
한국 사람에겐 신토불이 장수 유산균 ‘LF9988’
2014.09.12
장에 쉽게 정착할 수 있고 한국 음식과 가장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유산균을 찾은 덕분에
기존
요구르트 제품의 기능을 강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교내에 항생제 내성균주 은행이 설치돼 있어 이 유산균의 안전성을 확실히 검증할 수 있었다”며 “불가리아의 유산균이 전 ... ...
이산화탄소가 걱정이세요? 촉매가 있잖아요
2014.09.12
화학공정에 활용할 수 있는 일산화탄소로 바꾸기로 하고 여기에 필요한 촉매를 찾았다.
기존
촉매인 은(Ag) 표면에 다양한 원소 34종을 첨가하는 실험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진행한 결과 황(S)과 결합했을 때 에너지 효율이 가장 높았다. 김 교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최적의 촉매를 ... ...
한번 충전해서 서울-부산 왕복하는 전기차 없을까
2014.09.10
월 이효영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팀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공동으로 충전 용량이
기존
배터리보다 3배 많고, 충전 시간은 약 1000분의 1로 줄인 ‘수직구조 그래핀 플레이크를 이용한 고성능 저장장치’ 배터리 전극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배터리의 전극만을 개발한 것으로 상용화 과정을 ... ...
이전
1114
1115
1116
1117
1118
1119
1120
1121
1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