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뉴스
"
데
"(으)로 총 18,23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원전은 누구나 공감할 수준의 신뢰 확보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원자로의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다. 2014~2017년 이뤄진 1차 프로젝트를 성공한
데
이어, 2017년부터 현재 11개국 18개 기관과 2차 공동연구를 주관해오고 있다. 맥우드 사무총장은 "OECD-ATLAS 프로젝트의 3단계 공동연구에 많은 회원국들이 참여하도록 적극 권장하겠다"며 "전세계 전문가들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
2019.06.13
운용했던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미터법을 쓴 반면 제작사인 록히드 마틴은 야드법으로
데
이터를 전송하게 만들었다. 우주탐사에 가장 독보적인 미국에서, 그것도 20세기 말에 이런 사고가 있었다니 잘 믿기지 않는다. 미국에 미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려고 했고 훗날 미국의 10대 대통령을 지낸 ... ...
국내 최초 새 녹내장 수술 결과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절개 범위를 최소화해 수술시간이 5~10분 정도로 매우 짧고 수술 시 통증도 거의 없는
데
다 상대적으로 회복기간이 빠르다. 이날 발표한 노 교수는 “결막하 녹내장 스텐트 삽입술은 속눈썹처럼 얇고 미세한 크기의 스텐트를 안구 내에 삽입하는 정교한 시술”이라며 “개인의 시신경 손상 정도와 ... ...
"차별에 대해 어떻게 투쟁했나"…NASA본부에 '히든 피겨스' 거리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꾸준히 하고 있다. 올해 3월 최초로 여성 우주인으로만 이뤄진 우주 유영을 시도한
데
이어 2024년까지 첫 여성을 달에 보내는 ‘아르테미스 임무’를 공개하기도 했다. NASA에 따르면 현재까지 우주로 나간 500명이 넘는 우주인 중 11%만 여성이다 ... ...
기후변화와 극한기후, 내전의 씨앗이 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미국 스탠퍼드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환경이나 기후의 변화가 분쟁을 설명하는
데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미래에 분쟁을 줄이고 기후변화를 완화하기 위해 어떤 결정을 해야 하는지 단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글로벌프런티어]가상의 세상과 소통하는 공존현실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맞춤형으로 만들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그를 한국 로봇계의 대표 학자로 꼽는
데
주저함이 없었다. 유 단장은 이 때 개발한 경험과 기술력을 새로운 분야에 적용했다. “기본적으로, 저희 기술은 ‘웨어러블(입을 수 있는) 휴먼인터페이스’와 관련이 깊습니다. 로봇을 개발할 때 동원된 기술이 다 ... ...
마크로젠, 호주 장내미생물 분석기업 마이크로바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19.06.12
이 서비스는 새 미생물 종을 발견하거나 대사에 영향을 주는 장내 미생물을 분석하는
데
특화돼 장내 미생물 관련 임상이나 치료제 개발에 적합하다. 양갑석 마크로젠 대표는 “마이크로바 투자를 통해 경쟁력 있는 장내 미생물 분석 서비스를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낮은 압력에서도 수소 저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2
이하의 낮은 압력에서 물과 천연가스를 이용해 수소를 저장하는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물을 이용해 얼음 형태인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형성하고 여기에 천연가스와 함께 수소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수소에너지 저장 밀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이와 함께 ... ...
1900년 이후 매년 식물 3종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2
변화에도 특히 민감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식물은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는
데
다 발견되지 않은 종도 많아 실제 멸종 정도는 더 심할 수도 있다고 과학자들은 경고했다. 알란 그레이 영국 생태학 및 수문학 센터 박사는 영국 가디언지와 인터뷰에서 “과학자들은 세계 식물의 대부분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손가락 비율이 대신하는 특성이 굉장히 많다는 것도 좀 당황스럽다. 성적 취향은 그 가운
데
하나일 뿐이다. 손가락 비율이 작을 때는 전립선암에 걸릴 위험성이, 클 때는 유방암에 걸릴 위험성이 높다. 또 손가락 비율이 클 때는 남성이 심장병에 걸릴 위험성과 남성이 비만이나 대사질환에 대한 ... ...
이전
1113
1114
1115
1116
1117
1118
1119
1120
1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