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934건 검색되었습니다.
손목에 감쌀 수 있는 플라스틱 태양전지 나왔다
2014.11.18
가시광선에서 전기를 만드는 효율이 높아 차세대 태양전지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500도 이상의 고온으로 열처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열에 약한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을 쓰기 어려웠다. 연구진은 플라스틱 기판 위에 원자를 한 층씩 붙이고 플라스마로 박막을 ... ...
KAIST생이 개발한 3D 프린터, 大인기
2014.11.18
론칭 행사를 열었으며, 12월부터 본격적으로 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서 씨는 “
기존
3D 프린터에서 사용하는 압출적층방식을 그대로 적용해 완성도 면에서 큰 차이가 없으면서도 가격이 저렴해 교육용이나 가정용으로 적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제품은 KAIST 사회기술혁신연구소의 연구 ... ...
흑린(黑燐), 차세대 트랜지스터 주인공 될까
2014.11.17
만들려면 투명하면서도 휘어지는 성능을 가진 반도체가 필요하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기존
실리콘 소재를 대신해 차세대 반도체로 쓸 수 있는 소재를 찾는 데 성공했다. KIST 연구팀이 개발한 흑린 트랜지스터의 모습. - K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최원국 박사와 송용원 박사 공동 ... ...
끊김없는 한국형 영상회의 기술개발
2014.11.16
미래창조과학부의 지원을 받아 수행 중인 범부처 기가코리아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됐다.
기존
영상 회의 시스템은 주로 외산 하드웨어 위주로 구축돼 있어 고가인데다 문제가 생기면 신속한 유지보수가 힘들었다. ‘기가 큐릭스’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돼 쉽게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맞출 수 ... ...
‘퀀텀닷’이 뭐길래 이렇게 뜨나
2014.11.14
최근 전자업계의 최대 화두는 ‘퀀텀닷(Quantum dot·양자점)’이다. 소니가 지난해 퀀텀닷 TV를 출시한 데 이어 삼성전자는 내년 초 퀀텀닷 ... 거의 모든 파장을 흡수할 수 있다. 손 연구원은 “붉은색 퀀텀닷을 유기태양전지에 붙여
기존
유기태양전지보다 효율을 20% 이상 높였다”고 말했다. ... ...
빛으로 신경 조절한다
2014.11.12
방법으로 뇌 신경 자극법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전기나 초음파, 자기장 등을 이용한
기존
신경 자극법은 전극이나 시스템을 환자에 이식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실제 치료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원하는 부위를 국소적으로 자극할 수 없다는 점도 문제였다. 연구진은 열을 이용해 ... ...
피부 감염 우려 줄인 신개념 부항기 나왔다
2014.11.12
해당 부위에 막힌 혈을 뚫고 노폐물을 제거하는 한의학의 치료 기법 중 하나다. 문제는
기존
부항으로 피를 뽑을 때 부항컵이나 흡입기가 피에 오염될 우려가 있다는 점이었다. 세척·살균 과정을 거치자니 편의성이 떨어졌고 일회용 부항컵을 쓰자니 값이 비싸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 ...
녹조 광합성이 방사능 물질 제거한다
2014.11.12
수 있다. 또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토양 등도 물에 녹여 넣으면 제염이 가능하다.
기존
물리화학적 흡착이나 침전 방식보다 비용이 저렴한 것도 장점이다. 이승엽 책임연구원은 “이 미세조류가 대량의 오염수를 저비용, 친환경 방식으로 처리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 ...
팔만대장경이 A4 한 장에
2014.11.12
이하로 얇아지면 주형에 나노 구조물이 들러붙어 제대로 인쇄가 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기존
에 사용되던 재료보다 표면에너지가 높은 고분자로 주형을 만들어 이런 한계를 극복했다. 이 주형으로는 10nm 정도의 초미세 나노 구조물도 들러붙지 않고 인쇄가 잘됐다. 또 필요에 따라 주형의 표면 ... ...
무엇이 그를 길들였나
2014.11.11
관여하는 유전자”라며 “야생동물이 사람의 집에 있는 음식을 먹다가 가축이 됐다는
기존
가설과 잘 맞아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특히 GRIA1은 뇌 속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를 받는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로, 뇌의 보상회로와 관련이 있다. 이전 연구에서 쥐에서 이 유전자가 ... ...
이전
1108
1109
1110
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