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4. 마음도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창의적 사상, 종교, 도덕 능력, 과학기술 같은 독특한 특성의 진화를 성선택의 직접적인
결과
라고 해석한다. 이 능력들이 이성을 유혹하기 위한 전략으로 최근 250만년에 걸쳐 진화했다는 주장이다. 성선택이야말로 인간을 인간이게 만든 진정한 추동력이었던 셈이다. 성선택으로 인간의 독특성을 ... ...
남극 하늘에 풍선 띄워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2003년 공동 개발한 것이다. 이 검출기는 그해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테스트한
결과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검출기의 하나로 인정받았다. 과학기술부도 ‘과학기술국제화사업’으로 이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초고에너지 우주입자는 어디에서 왔을까. 우리를 포함해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 ...
줄기세포 치료의 열쇠는 분화 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골수세포를 이식했더니 몇달 지나자 간에서 상당수의 세포융합이 관찰됐다는 연구
결과
도 나왔다. 이에 성체줄기세포 자체는 다른 세포로 분화가 불가능할 것이라는 우려마저 일기 시작했다.그러나 2004년 중반부터 그렇지 않다는 연구들이 발표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근육에 골수를 이식했더니 ... ...
우리은하의 비밀 간직한 막대나선은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논문으로 발표한 적이 있다. 술의 도수는 전체가 100일때 함유된 알코올의 용량이다. 계산
결과
‘우주 술’의 도수는 겨우 0.2도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지구에서 6900만 광년이나 떨어진 ‘마티니 은하’에 있는 술도 취할 정도는 아닐 것이다. 또 4만6000 광년이나 뻗어 있는 ‘바’(막대)에는 ... ...
레우벤후크의 현미경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전자현미경을 동원해서 정밀하게 시료를 조사하고 레우벤후크의 관찰기록과 대조해 본
결과
그의 관찰이 놀랍도록 정확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지금까지 남아있는 10개의 현미경 중 네덜란드 유트레히트박물관에 있는 것의 배율은 300배였다. 지금의 기술로도 300배 배율을 보이는 단일렌즈를 깎는 ... ...
에이즈 발병 이유 찾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NIMR) 바이러스연구실장 조너선 스토이 박사는 인간과 벵골원숭이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벵골원숭이의 유전자는 에이즈 바이러스(HIV)를 차단하지만 인간의 유전자는 HIV를 막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인간과 원숭이는 모두 에이즈 바이러스에 대항할 수 있는 트림-5α(trim-5alpha)란 ... ...
세계일주 단독 비행 이륙 준비 끝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101년 비행기 역사에 새로운 장은 과연 열릴까. 세계 최초의 무착륙 세계 일주 단독 비행의 성공 여부를 놓고 전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화제의 주인 ... 모두 연료로 채워진다. 비행속도와 고도를 고려해 정교하게 제작됐지만 보이저보다
결과
적으로 더 많은 연료를 소모하기 때문이다 ... ...
쓰나미 지난 7월 예견 - 정부 외면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지진이 주기성을 지니며 일어나는 이유를 설명했다. 역사상의 패턴과 최근 관측
결과
를 종합할 때 대형 지진과 그로 인한 쓰나미의 발생을 예견한 시 교수는 이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백방으로 뛰어다녔다. 지난해 7월에는 포스터와 소책자를 직접 만들어 이번에 쓰나미로 폐허가 된 섬들을 ... ...
풍력, 제2의 벤처 바람 몰고 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2010년까지는 1990년 대비 21% 수준으로 낮추고, 2050년에는 80%까지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
도 나왔다.신바람 전기 만들 날 멀지 않다풍력발전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빨리 성장하고 있는 산업이다. 풍력발전기 시장은 이동전화에 맞먹는 73%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세계에너지위원회에서는 202 ... ...
효소 이용해 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생명체가 살아가는 것은 수많은 단백질이 상호작용한
결과
다. 만일 세포내 단백질의 조성이 급격히 바뀌거나 활성이 바뀐다면 몸이 균형이 깨지고 그 정도가 심하면 질병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단백체 연구는 질병을 이해하고 진단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
이전
1108
1109
1110
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