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5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선 소행성 충돌, 궤도 바꿨다…NASA "지구 방어 실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10.12
약 1120만km 떨어진 소행성 디모르포스에 충돌했다. 디모르포스는 지름 160m 크기의 비교적
작은
소행성으로 지름 780m 크기의 디디모스 소행성을 공전하고 있다. 디디모스와 디모르포스는 지구 근접 천체(NEO)로 분류돼 있지만 실제 지구 충돌 위험은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 NASA와 유럽우주국(ESA)은 ... ...
[의학사로 읽는 세상] 뉴턴, 페스트 유행 기간 '만유인력의 법칙' 떠올렸다
2022.10.11
닫자 갈 곳이 없어져 울스도프(Woolsthorpe)에 있는 집으로 돌아갔다. 당시의 울스도프는
작은
마을에 불과했다. 대학이 다시 문을 열 때까지 특별히 할 일이 없었던 뉴턴은 고향집에서 전원생활을 즐겼다. 뉴턴이 만유인력의 착상을 떠올린 사과나무는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리소좀 질환 해결할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9
리소좀 효소를 리소좀 쪽으로 운반하는 골지체의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 리소좀은
작은
지질 주머니 안에 각종 가수분해효소들이 들어있는 세포 내 소기관이다. 리소좀의 기능 장애는 신경통이나 희귀유전병 파브리병 등 각종 질환을 유발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모두에게 잘 할 수 없는 이유
2022.10.08
제공 사르트르는 “타인은 지옥이다”라는 말을 했다. 지옥은 아마
작은
방 안에서 타인과 단 한 시도 떨어지지 않은 채 먹지도 자지도 않고 서로를 의식하며 영원한 시간을 보내는 형태일 거라는 상상과 함께 나온 말이다. 아무리 친한 사람이라도 이 사람과 단 1초도 떨어지지 않은 채 밥을 먹을 ... ...
공룡멸종 소행성, 규모 9.1 수마트라 지진 5만배 대지진 유발
연합뉴스
l
2022.10.07
바닥의 상황을 증언해주는 것으로 제시됐다. 소행성 충돌 때 이 바닥에는 진흙과 모래,
작은
생물들이 쌓이고 있었는데, 지진에 의한 진동으로 바닥에서 10∼15m 깊이의 이암(泥岩)과 사암(沙岩) 층까지 연성침전물변형이 일어난 것으로 노두에 나타났다. 진동에 따른 단층과 변형은 충돌 이후 ... ...
100년간 논쟁 이어진 화석 주인은 익룡 초기 조상
동아사이언스
l
2022.10.06
사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라게르페티드는 고양이나
작은
개 크기의 비교적 몸집이
작은
파충류다. 2020년 미국 버지니아공대 연구팀은 라게르페티드가 익룡의 초기 조상이라는 내용을 국제학술지 '네이처' 12월 9일 발표하기도 했다. 익룡과 파충류의 진화적 연결고리를 처음 발견한 결과로 ... ...
소리 없이 말해도 청각장애인이 알아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6
저항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로 생체 자체의 물리적 변화를 포착하기 때문에
작은
크기의 센서로도 측정할 수 있다. 연구팀은 스트레인 게이지의 양면을 캡슐로 감싸 체내에서 피부로 배출되는 땀이나 피지 같은 노폐물에 의한 기능 저하도 억제했다. 또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접목해 ... ...
[노벨상 2022] 美 과학자 샤플리스, 2001년 이어 21년만에 노벨 화학상 '또'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2.10.05
이번 두번째 노벨화학상 수상은 ‘클릭화학’의 기초를 세운 공로다. 클릭화학은 물질의
작은
분자를 빠르게 결합하는 반응을 연구하는 분야다. 마우스를 ‘클릭’하듯 간단하게 화합물을 얻는 방법을 연구한다. 간단하게 얻은 화합물은 신약합성이나 기능성 고분자 개발, 바이오 이미징 등 다양한 ... ...
[노벨상 2022] 화학상에 '클릭화학' 개척한 선구자 3명 영예(2보)
동아사이언스
l
2022.10.05
81)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연구교수. 노벨상위원회 제공 2022 노벨 화학상은 물질의
작은
분자를 빠르게 결합하는 반응을 연구하는 분야인 ‘클릭화학’ 연구자들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5일(현지시간)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캐럴린 버토지(55)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와 ... ...
강원 정선 지하 1000m에서 우주 비밀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5
양수 발전소 터널 옆에 지하실험실을 두고 암흑물질과 중성미자 연구를 해왔으나 규모가
작은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예미랩 구축 사업을 추진했다. 예미산에 이미 뚫려 있는 한덕철광 광산갱도를 활용했다. 600m까지 뚫려 있는 지점 이후부터 땅을 파기 시작해 지하 1000m 지점에 실험실을 마련한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