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연상태"(으)로 총 1,197건 검색되었습니다.
- 6억 년 전 해면 동물 화석 발견2015.03.16
- 지난해 번역 출간된 영국 옥스퍼드대 고생물학자 마틴 브레이저 교수의 책 ‘다윈의 잃어버린 세계’를 읽다보면 찰스 다윈의 또 다른 면을 볼 수 있다. 이 책의 제목은 다윈이 ‘종의 기원’을 쓰면서 가장 곤혹스러워 했던 부분, 캄브리아기 이전을 말한다. 즉 캄브리아기 지층에서는 그렇게도 ... ...
-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15.03.04
- ‘올해 가장 주목할 만한 과학사건’으로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재가동이 꼽힌다. 스위스 제네바 근교에 위치한 LHC는 역사상 최대의 가속기이자, 인간이 만든 가장 큰 기계다. 2013년 2월부터 2년간 업그레이드를 위해 잠시 잠들었던 LHC가 올해 3월 눈을 뜬다. 힉스 입자를 발견해 표준모형의 마지막 ... ...
- [출동! 명예기자] 민자연사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03.03
-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쉿! 조용히 들어 보세요~! 어디서 반짝거리는 별 가루가 떨어지는 소리가 나지 않나요? 어두컴컴한 공간 안쪽으로 눈을 돌리니 눈부신 광채가 보여요. 대체 무엇이 있는 것일까요? 현장취재에 나간 기자들이 깜짝 놀란 사연, 지금부터 공개합니다~! ● 이곳은 광물 수집가 ... ...
- 3500년 전 보드게임과 수학의 역사2015.03.01
- 사이언스북스 제공 ■ 수학의 파노라마(클리퍼드 픽오버 著, 사이언스북스 刊) ‘틱택토’라는 게임이 있다. 마치 ‘오목’처럼 가로세로 3×3의 격자판에 O와 X를 번갈아 두면서 가로나 세로, 대각선으로 같은 표시가 이어져 나오게 만들면 이기는 게임이다. 빈 칸에 하나씩 표시할 때마다 쓸 수 ... ...
- [3월 운영, 경주 방폐장 르포] 지하 130m 거대 ‘사일로(silo)’에 묻혀2015.02.25
- 방사성 폐기물을 실은 25t 하늘색 트럭이 동굴 입구로 들어갔다. 동굴 끝에는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보관하는 저장고인 거대한 ‘사일로(silo)’가 있다. 사일로에 폐기물이 가득 들어차면 콘크리트를 덮어 사일로는 영구 폐쇄된다. 24일 경북 경주시 양북면에 위치한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 ... ...
- [3월 운영, 경주 방폐장 르포] 해외 방폐장은 어떻게 운영되나2015.02.25
- 핀란드 올킬루오토 방폐장 개념도. -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제공 방폐장에 폐기물을 저장하는 방식은 크게 ‘동굴처분’과 ‘천층처분’으로 나뉜다. 세계 주요 원전 운영 국가들은 각국의 자연환경에 맞는 처분방식을 채택해 중·저준위 폐기물을 보관하고 있다. 동굴처분은 지하 암반에 인위적인 ...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2015.02.16
- 질병은 그저 질병이며, 치료해야 할 그 무엇일 뿐이다. - 수전 손택 ‘뉴욕 지성계의 여왕’으로 불리며 미국 최고의 문필가로 이름을 날린 수전 손택(Susan Sontag)은 글을 쓰는 직업을 꿈꾸는 많은 여성들의 롤모델일 것이다. 손택은 에세이, 소설, 희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했는데 특히 에세 ... ...
- 양자를 훔친 악동들2015.02.15
- 왼쪽부터 보어, 드브로이, 슈뢰딩거,아인슈타인, 플랑크, 하이젠베르크, 디랙, 러더퍼드 - 과학동아(일러스트 김정훈) 제공 양자역학! 알면 알수록 참 난해해서 ‘도대체 누가 만든 거야?’라는 생각이 든다. 더 난감한 건 양자역학을 만든 사람이 따로 없다는 것. 천재 열 몇 명이 수십 년에 걸쳐서 ... ...
- 성적 줄세우기 그만… 내신-수능 절대평가로 바꾸자동아일보 l2015.02.12
- [동아일보] [‘선진사회로 가는 대한민국의 과제’] 제4심포지엄: 무한경쟁에서 개성 존중의 시대로 인촌기념회-동아일보-채널A-고려대 공동주최 교육개혁, 실현 가능한 대안은… ‘선진사회 과제’ 심포지엄 《 우리 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는 깊고도 넓다. 인촌기념회, 동아일보, 채널A, 고려대가 10 ...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공기방울 실시간 관찰 성공2015.02.08
- 나노공기방울의 소멸과정(맨 위). 지름 차이가 큰 두 나노공기방울이 합쳐지는 과정(가운데)과 서로 크기가 비슷한 나노공기방울이 합쳐지는 과정(맨 아래) - 서울대학교 제공 국내 연구팀이 수 나노미터(nm) 크기에 불과한 나노공기방울의 생성과 소멸 과정을 실시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홍병희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