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기자신"(으)로 총 1,2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봇에 대한 모든 것] 로봇 반란 막으려면2015.05.23
- 로봇의 사회적 역할이 커지면서 법과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어떻게 하면 로봇을 효율적으로 통제할 것인지 고민하자는 것이다. 가장 자주 거론되는 개념은 ‘로봇 3원칙’이다. 공상과학(SF) 소설가인 아이작 아시모프가 1942년 단편소설 ‘런어라운드(Runaround)’에서 처음 소개한 ... ...
- 친구 따라 강남 간다? 꼭 그런 건 아냐2015.05.19
- 유행하는 헤어스타일, 음원 차트 1위에 오른 노래라고 해도 누구나 따라하는 것은 아니다. 선택에는 개인의 취향이라고 할 수 있는 주관적 판단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미국 버지니아공대 연구진이 이런 선택 과정을 신경생물학적으로 증명하는 데 성공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 ...
- 아침형 인간 vs. 저녁형 인간, 유전자 80여 개가 결정 2015.05.17
- ‘아침형 초파리(왼쪽)’와 ‘저녁형 초파리(오른쪽)’의 유전자 차이를 나타낸 데이터. - 영국 레서터대 제공 일찍자고 일찍 일어나는 ‘아침형 인간’과 늦게까지 일을 할 수 있지만 아침잠이 많은 ‘저녁형 인간’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새롭게 발견됐다. 유전적 요인이 고유의 생체리듬을 결 ... ...
- 노벨상 탄 ‘장소세포’, 공간 지각에도 관여한다2015.05.04
- 실험 참가자가 가상 유체이탈을 느끼도록 만든 영상. 자신의 몸을 다른 위치에서 바라보는 것처럼 느끼게 했다. - 아비드 구터스텀 제공 스웨덴 연구진이 뇌가 특정한 공간 속에 있는 우리 몸의 위치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밝혀냈다. 아비드 구터스텀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박사팀은 뇌가 우 ...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04.30
- 개미는 자연생태계에서 가장 성공한 동물 중 하나로 손꼽혀요. 지구에 개미가 얼마나 많은지, 지구상의 모든 동물들의 무게를 합했을 때 그 중 개미가 무려 15~20%를 차지하지요. 오늘 명예기자들은 개미세계탐험전이 열리고 있는 국립생태원을 방문해 개미학자가 돼 보기로 했어요. 관우와 민재의 ... ...
- 야구공을 광속으로 던진다면 어떻게 될까2015.04.26
- 시공사 제공 ■ 위험한 과학책 (랜들 먼로 著, 시공사 刊) 과학영화나 소설을 보고 있으면 드는 기발한 생각. 현실에선 거의 있을 수 없는 일이지만 만약 일어난다면 어떻게 될까. 야구공을 광속으로 던질 수 있다면, 지구 상 모든 번개를 모아서 한곳에 집중적으로 보낼 수 있다면? 기발한 상상 ... ...
-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과학동아 l2015.04.25
- 2015년 봄, ‘사도’라는 이름의 정체 모를 거대괴물이 지구에 나타난다. 이미 지구는 한 차례 멸망한 뒤 가까스로 재건한 상태인데, 이 괴물 때문에 또 멸망하게 생겼다. 인류는 사도를 물리치기 위해 인간형 거대로봇 에반게리온을 출격시킨다. Kotobukiya(Kotobukiya.co.jp) 제공 1995년 나온 일본 애니메 ... ...
- 부모가 정서적 안정감 주면 ‘공부 근력’ 탄탄동아일보 l2015.04.23
- [동아일보] [이제는 ‘공부력’이다]아이에게 주는 스트레스, 공부력 낮춘다 《 공부를 잘하는 학생에게는 여러 가지 특징이 있지만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스트레스 대처능력’이다. 스트레스나 위기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은 ‘공부력’의 핵심 요소다. 진학사 청소년교육 ... ...
- “너는 할 수 있어” 2인칭 혼잣말, 자제력 향상에 큰 도움…식탐 억제까지? ‘와우!’동아닷컴 l2015.04.17
- [동아닷컴] “너는 할 수 있어” 2인칭 혼잣말, 자제력 향상에 큰 도움…식탐 억제까지? ‘와우!’ 스스로를 격려하고 지지하는 혼잣말이 식탐을 비롯한 자제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누리꾼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유럽사회심리학저널(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에 ... ...
- “열등감 많던 아이, 책이 바꿨죠”2015.04.15
- [편집자주] 과학의 달 4월도 반이 지났다. 하지만 사람들은 깊게 생각하고 함께 답을 찾는 ‘진짜 과학’은 외면하고, 디지털 세계와 스마트폰이 주는 얄팍한 즐거움에만 빠져들고 있다. 함께 책을 읽고 토론하는 문화가 더욱 아쉬운 시점이다. 과학책을 읽는 것이 현대사회에서 왜 중요한지, 함께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