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55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형 인공태양 1억도서 20초간 플라스마 발생…세계 최초 세계 최장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1억 도 이상 초고온 상태의 플라스마(원자핵과 전자가
분리
된 이온 상태)가 필요하다. 태양은 질량이 크고 그만큼 중력도 커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초고온 플라스마가 자연스럽게 만들어진다. 하지만 지구에서는 중력이 작아 1억 도의 초고온 플라스마를 ... ...
[랩큐멘터리]구룡포 바다밑 누비며 정밀해도 작성한 극한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위해 개발중인 로봇 ‘에이전트 비히클’은 탐사 도중 확보해야 할 물체를 발견하면
분리
된 후 물속을 헤엄쳐 집게로 물체를 집어 온다. 수중뿐 아니라 수상과 육상, 공중으로도 극한환경 로봇 개발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연구실에서 개발중인 수중생물을 모방한 지느러미(핀) 추진 로봇은 핀을 ... ...
KAIST, 이산화탄소 포집해 건설 소재로 바꾸는 기술 개발
연합뉴스
l
2020.11.23
중공사막 모듈에 이산화탄소·질소 혼합 기체를 흘려보내면 이산화탄소만 빠르게
분리
막을 가로질러, 중공사막 외부의 알칼리 이온과 반응해 탄산염이 생성된다.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이 개발한 고체 탄산화 시스템은 기존 공정 유닛과 비교해 부피는 5분의 1에서 20분의 1 ... ...
[코로나19 연구속보] 모유(母乳)가 코로나 바이러스 막아낼 항체 만든다
2020.11.23
있는 항체보다 치료제로 더 우수한 능력을 갖고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혈장에서
분리
해 코로나 환자에게 투여하는 IgG 항체는 온 몸을 돌아다니지만 꼭 필요한 곳에 가지 않을 수도 있다. 반면 모유의 IgA 같은 분비형 항체는 따로 추출해서 코로나19 환자에게 꼭 필요한 호흡기에 흡입시킬 수 ... ...
[팩트체크]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한반도 언제 도달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1.23
의 확산도 컴퓨터로 예측했다.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는 물에 섞이면 물리·화학적으로
분리
하는 게 사실상 어렵고, 다핵종제거설비(ALPS)라는 여과 장치를 거치더라도 제거되지 않아 우려가 큰 방사성 물질이다. 정 소장은 헬름홀츠해양연구소의 모델을 적용해 세슘137은 10PBq로 가정하고, ... ...
반은 수컷 반은 암컷, 현실판 ‘아수라 백작’
과학동아
l
2020.11.21
영향을 받아 세포의 성별이 명확해진다. 김 교수는 “만약 인간 배아에서 염색체 비
분리
가 일어나도 닭처럼 좌우가 분명히 구분되는 자웅모자이크는 나타나기 어렵다”며 “인간은 발생 과정에서 성호르몬이 내분비계를 통해 온몸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대벌레의 일종인 ... ...
소형발사체기업 '로켓랩' 1단 로켓 귀환 착수 실험 또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한국시간으로 20일 오전 11시 20분 뉴질랜드 북섬에 위치한 로켓랩의 발사장에서 발사체 일렉트론이 발사되고 있다. 일렉트론은 임무 뒤
분리
된 1 ... to sender)’이었다. 발사 초기 고도 상승과 지구 중력 탈출을 위한 추력을 제공하는 1단 로켓을
분리
해 회수한다는 임무 내용을 암시하고 있다 ... ...
日 후쿠시마 오염수 계획대로 방출(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작기 때문에 물에서 물리적으로 걸러낼 수 없다. 물과 화학적 성질이 같아 화학적으로
분리
하기도 어렵다. 이 트리튬을 놓고 이견이 제기된다. 트리튬은 이미 자연 상태에 존재하고 있는 방사성 물질이지만 피부를 뚫거나 외부 피폭을 일으키지는 못한다. 다만 음식 등을 통한 내부 피폭에 ... ...
日 "삼중수소 제거할 수 없지만 건강 피해 보고 없다" 후쿠시마 오염수 계획대로 방출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작기 때문에 물에서 물리적으로 걸러낼 수 없다. 물과 화학적 성질이 같아 화학적으로
분리
하기도 어렵다. 이 트리튬을 놓고 이견이 크다. 트리튬은 이미 자연 상태에 존재하고 있는 방사성 물질이지만 피부를 뚫거나 외부 피폭을 일으키지는 못한다. 다만 음식 등을 통한 내부 피폭에 주의해야한다. ... ...
연료전지로 나는 항모 드론·천체관측기술 들어간 급조폭발물 탐지기 우리 손으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현재 육군 드론봇 전투단과도 긴밀한 협력을 하고 있다. KIST 연구진이 전시한 '모자
분리
형 캐리어 드론' 시스템. KIST 제공. 천체를 관측하거나 우주 성간먼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편광을 군의 정찰 작전에 활용하는 기술도 소개됐다.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기술센터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