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분별
분해
카테고리
범주
분할
지류
뉴스
"
분류
"(으)로 총 2,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연구속보] 유전자 추적 '바코드'가 코로나19 전파와 진화 신속하게 찾아낸다
2020.10.22
코로나19를 유발하는 바이러스(SARS-CoV-2)의 미세한 유전자 변이를 신속하게 검출하고
분류
할 수 있다고 국제학술지 ‘플로스 계산생물학(PLoS Computing Biology)’에 밝혔다. 자오첸차오 드렉셀대 연구원이 개발한 이 유전자 분석 도구는 코로나19 연구자들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공유사이트 ... ...
NASA 탐사선 오시리스-렉스, 20일 소행성 '베누' 표본 채집 생중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모양 소행성이다. 6년에 한번씩 지구 곁을 스쳐지나가 지구와 충돌위험이 큰 소행성으로
분류
된다. 22세기 말에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2700분의 1 정도로 높은 ‘지구접근천체’다. 베누는 45억 년 전 태양계가 만들어질 때 형성된 소행성으로 암석 표본에는 당시의 비밀을 그대로 감추고 있을 것으로 ... ...
시각AI가 어종 판별, 가짜뉴스 색출도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이 실장은 “시각 AI는 사물의 특징을 찾아내
분류
하고, 정보를 추출한 뒤, 요소별로 자세하게 분할하는 세 가지 기술이 기본”이라며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는 말처럼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기술을 한 단계 끌어올리기가 매우 어렵다”라고 말했다. ETRI ... ...
“일부 코로나19 환자 퇴원 후 폐 기능 회복”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코로나19 환자의 80%는 경미한 증상을 보이지만 15%는 중증으로 진행되고 5%는 위중 환자로
분류
되고 있다. 중증으로 입원한 환자의 약 20%는 인공호흡기가 필요한 중환자실에 입원한다. 코로나19로 입원했다가 퇴원한 환자들의 폐 회복 상태에 대한 전세계 통계는 아직 제공되지 않고 있지만 일부 국가 ... ...
[오늘의 뉴스픽]한국 기업 연구도 기초과학 학술지에 실리는 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만들기 가장 쉬운 소재지만 뼈가 잘 부러지는 이타이이타이병을 일으키는 유해물질로
분류
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반도체 생산설비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백혈병으로 숨지는 사태로 사과를 한 당사자로선 효율 추구와 함께 친환경 소재 연구는 당연한 귀결이라고 보입니다. 사실 해외 기업들이 ... ...
QLED 디스플레이 난제 '청색광 퀀텀닷' 왜 만들기 어렵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만들기 가장 쉬운 소재지만 뼈가 잘 부러지는 이타이이타이병을 일으는 유해물질로
분류
된다. 연구진은 당시 카드뮴을 쓰지 않고도 발광 효율을 21.4%까지 달성하고 100만 시간 동안 오류 없이 작동하는 내구성을 보여 QLED 상용화 가능성을 보였다고 발표했다. 스스로 빛을 내는 QLED를 상용화하려면 ... ...
전세계 코로나19 누적 감염자 다시 4000만명 '눈앞'…국내 신규 환자 91명
동아사이언스
l
2020.10.18
이달 18일부터 환자 병상 배정과 중증도
분류
일치를 위해 중증과 위중 2단계로
분류
하던 환자를 앞으로 단계구분없이 위중증으로 합쳐 적용하기로 했다. 사망자는 1명 발생해 총 사망자는 444명이다. 격리 중인 환자 수는 1443명으로 전날보다 36명 늘어났다. ... ...
"집단면역은 위험천만"…그레이트 베링턴 선언 반박 '존 스노우 서한'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문제”라고 강조했다. 또 서한은 그레이트 배링턴 선언에서 건강한 사람과 고위험군을
분류
하는 기준이 매우 복잡한 문제일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이에 따라 서한은 현재의 봉쇄 정책이 계속 유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한은 “현재 봉쇄 정책이 코로나19 유행을 억제하는 동안 정부는 의료 ... ...
QLED도 친환경 필요...카드뮴 없는 퀀텀닷 왜 개발하나
2020.10.15
이런 이유로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카드뮴을 발암 등급 1군으로
분류
했다. ○카드뮴과 ‘손절’하려면 보조 물질 찾아야 결국 디스플레이처럼 인체에 밀접하게 닿는 분야에 사용하려면 퀀텀닷도 ‘카드뮴 프리’를 실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퀀텀닷을 카드뮴 ... ...
"코로나 끝나도 위기는 계속 온다…포용과 공유의 기술 중요해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13
자연과학 분야로
분류
되는데 역시 공학단체 수장을 맡고 있다. 공학에서 소수로
분류
되는 여성이기도 하다. 이렇게 ‘경계를 넘어서는’ 이력에 대해 그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전세계적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간, 분야간 경계를 넘어 협력하고 함께 배우는 자세가 반드시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