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반
평범
범용
보편
보통개념
개념
예사
뉴스
"
보통
"(으)로 총 3,251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 개발 완료했다던 코로나 백신 사실상 3차 임상 진행
동아사이언스
l
2020.08.17
지난 12일 러시아는 세계 최초로 코로나19 백신 등록을 마쳤다고 발표했다. 백신은
보통
3차례의 임상시험이 끝난 후 규제당국의 허가를 받아 공식 등록된다. 러시아는 세계 최초로 이런 등록을 마쳤다고 밝혔다. 등록 후 관련 규정에 따라 7~10일 이후 백신 시판이 가능하다. 다만 러시아는 먼저 ... ...
[김우재의
보통
과학자]유전자은행과 수집가의 전통
2020.08.13
GET 컨퍼런스에서 한 연사가 1953년 DNA이중나선 구조를 밝힌 직후 모형을 설명하는 프랜시스 크릭(오른쪽 위)과 이를 올려다보는 제임스 왓슨(왼쪽 위)의 모습이 담긴 유명한 사진을 스크린에 비추자 올 해 82세인 왓슨(왼쪽 아래)이 사진속의 크릭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 크릭은 88세인 2004년 사망 ... ...
대한비뇨기초음학회 학술상에 최세영 중앙대병원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8.12
초음파 촬영과 컴퓨터 단층 촬영의 비교’다. 신장에 생기는 낭종인 신낭종은
보통
나이가 들어가며 유병률이 증가한다. 증상이 없을 경우 치료가 필요없으나 통증과 같은 증상 있거나 악성 가능성이 있는 경우 검사와 치료가 필요하다. 최 교수는 측복통이나 불편감을 호소하는 증상성 신낭종 ... ...
송아지 크기의 거대 토끼?
팝뉴스
l
2020.08.08
토끼가 촬영되었다고 주장한다. 사진을 보면 토끼는 송아지 크기다. 사실이라면 크기가
보통
토끼의 100배정도 된다. 한편 일부 네티즌들은 반대 방향의 의견을 내세운다. 토끼가 큰 것이 아니라 초소형 송아지가 촬영된 것 같다고 댓글을 적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 ...
부드러운 수염 깎는 면도날 왜 무뎌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8.07
날의 균일하지 않은 구조를 꼽았다. 면도날의 미세구조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
보통
그 사이에 틈이 생긴다. 이 벌어진 틈 사이로 털이 파고들면서 날 구조가 더욱 허술해지고 이가 빠지는 현상으로 이어진다는 분석이다. 고가 면도날보다 미세구조가 균일하지 않은 일회용 면도기의 날이 더 빨리 ... ...
정확도 높고 자원 소모량 줄인 '양자컴' 오류수정 알고리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없다. 이를 막기 위해 양자 오류를 수정해 오류를 줄이는 기술이 널리 연구되고 있다.
보통
수정 작업을 위해 추가로 보조 큐비트를 사용하는데, 이 과정에서 자원 소모가 늘고 연산 과부하를 일으키는 등 문제가 발생해 양자컴퓨터 상용화의 중요한 걸림돌이 돼 왔다. 정 교수팀은 큐비트를 이루는 ... ...
[인간·공감·AI] ⑤ 귀 달리고 눈 달린 AI드론 사고현장 출동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4
응용한 제품을 한화테크윈과 공동 개발해 상용화했다. 일종의 초인종(도어벨) 상품으로,
보통
때는 방문자를 확인하는 평범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늘 주변을 모니터링하다 총성이나 비명, 폭발음 등 위험한 사고가 발생하면 이를 식별해 집안에 경고하는 기술을 탑재했다. 김 교수는 “총기 사고가 ... ...
아슬아슬한 미끄럼대
팝뉴스
l
2020.07.30
어른들의 무성의가 아이들에게 큰 위험이 될 수 있다는 걸 잘 보여주는 사진이다.
보통
아이들은 사용할 수 없는 미끄럼대다. 엄청난 점프력이나 비행 능력을 갖고 있는 초능력 어린이가 아니면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많은 네티즌들이 지적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 ...
[김우재의
보통
과학자] 과학적 인본주의자의 길
2020.07.30
후베르트 마르클(1938~2015)이 총재로 재직할 당시, 빌헬름카이저연구회가 유대인을 대상으로 인간생체실험을 수행한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막스플랑크학회 제공 “카이저 빌헬름 학회가 나치의 정치적 이념에 동참하고 때로는 적극적으로 그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생체 실험에 동참했다는 과 ... ...
지구에서 가장 별보기 좋은 곳 어디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7.30
흔들림 때문에 천체가 흐릿하게 보이거나 감빡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시상은
보통
'각초'라는 단위로 측정한다. 별의 이미지의 지름을 각초로 측정한다. 각초가 작을수록 별을 선명하게 관측할 수 있다. 칠레나 하와이에서의 각초 범위는 0.6~0.8 정도로 알려져 있다. 지난 20일 경북 영천시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