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오래
뉴스
"
긴
"(으)로 총 2,176건 검색되었습니다.
쌀알보다 작지만 민감도 1000배 높아진 '나노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3
제작이 복잡하다는 점이 상용화를 가로막는 단점으로 꼽혀왔다. 연구팀은 가늘고
긴
관 내부에서 금속 나노입자들이 중력에 의해 자유롭게 이동하는 현상을 이용해 마치 도장처럼 금속 나노센서를 반복해 찍는 기술을 개발했다. 제작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물 위에 나노입자를 뿌린다. 그러면 ... ...
염한웅 과기자문위 부의장 “수소경제, 혁신성장 정책에서 과학은 빠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2
냈다"며 "올해 미세먼지 사태는 예견된 일이었는데,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다 결국
긴
급처방인 비상저감조치 이상의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에게 지난 해 집중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개선한 과기 분야 이슈와, 올해 집중할 이슈를 각각 꼽아 달라고 했다. 작년에는 주로 사람과 ... ...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
2019.03.10
한 결과. 강착원반(위 두 줄)과 제트에서 나오는 빛이 블랙홀의 중력에 의해 휘감
긴
모습이다. 블랙홀의 머리 부분 (맨 왼쪽 열)부터 측면(맨 오른쪽 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각도에서 시뮬레이션했다. 가운데 검은 부분이 바로 EHT에서 확인하려고 하는 블랙홀의 그림자다. Roelofs et al. EHT가 이 ... ...
치아에 고주파 쏴… 방사선 피폭량 간단히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8
교수팀이 개발한 기술을 사용했다. 사람이 방사선에 노출되면 몸 곳곳에 흔적을 남
긴
다. 치아도 마찬가지다. 가장 바깥쪽 층인 ‘법랑질(에나멜)’이 형성될 때는 탄산 이온이 일부 불순물처럼 섞여 든다. 여기에 방사선이 지나가면 원자와 결합하지 않은 자유전자가 결합하고 다른 원자와 결합하지 ... ...
TV에 전기코드 없어지나…삼성 '무선전력송수신' 특허출원
2019.03.07
WIPO)에 지난해 신청했다. WIPO가 이달초 웹사이트에 공개한 특허 신청서에는 가로로
긴
막대 형태의 패드를 통해 전력을 원격 공급하는 개념도가 게재됐다. 일종의 '무선 전력 시스템(wireless power system)'으로, TV를 근처에 두기만 하면 자동으로 전력 공급이 되도록 설계됐기 때문에 별도의 전기 ... ...
여성의 두 번째 X 염색체 조절과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3.07
CRISPR) 유전자가위 설계 시스템을 개발해 수백 개에서 수십만 개 염기로 이루어진
긴
DNA구간을 삭제했다. 이를 통해 삭제된 유전자 구간의 기능을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지스트 유전자의 전체 혹은 부분을 절단해 대규모 전사체 분석과 형광 이미지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팀은 기존에 밝혀진 생쥐의 ... ...
배터리 충전 속도 5배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단계부터 새로운 구조로 설계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마치 머리카락 뭉치처럼, 가늘고
긴
실리콘 나노와이어를 뭉쳐 겉에서 보기에 다공성을 띠는 소재를 만들었다. 부피가 팽창해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후 이 소재를 밀집시킨 뒤 나노미터 두께의 얇은 탄소 막을 씌웠다. 이렇게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 날개의 등장은 필승 전략이었다
2019.03.06
구조와 공통적 형질을 묶어 하나의 목(Order. 目)으로 간결하게 분류할 수 있다. 옥색
긴
꼬리산누에나방 시맥, 시맥외부(오른쪽 위)와 내부 SEM 촬영본 ‘압구정 벌레’라고 불리는 동양하루살이가 도심 지역에 나타나 소탕 작전으로 큰 소동이 있었지만 3억 5000만 년 전 석탄기에 비행술을 개발한 ... ...
줄기세포로 HIV 감염 환자 치료 성공…두 번째 사례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영국 퀸매리대 의대 교수는 “아직 CCR5 외의 안테나를 쓰는 경우 효과가 적다는 한계가 있
긴
하지만, 이런 안테나를 표적 삼아 치료한다는 원리는 공통”이라며 “HIV 감염을 치료할 충분한 잠재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출력 밀도 높고 충방전 속도 빠른 ‘슈퍼 커패시터’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서울대 제공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출력 밀도가 높고 충·방전 속도가 빠르며 수명이
긴
이온성 액체 ‘슈퍼 커패시터(Super-capacitor)’ 작동 원리가 분자 수준에서 규명됐다. 슈퍼 커패시터와 전자기기 성능 향상이 기대된다. 정연준 서울대 화학부 교수 연구팀은 그래핀 전극과 이온성 액체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