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기
바람
에어
그릇
외기
상황
느낌
뉴스
"
공기
"(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긴 장마, 기후변화 탓만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2020년의 장마철이다. 시베리아 동쪽에 발달한 고기압에 의해 한반도 쪽으로 건조한
공기
가 유입되고, 북서태평양 아열대 고기압의 강화로 더 많은 수증기가 유입됐다. 한반도 주변을 통과하는 상층 제트류가 평년에 비해 강화돼 더 많은 작은 규모의 요란이 발생했다. 이 요인들이 종합적으로 작용해 ... ...
동해? 한반도 관통? 한·일 기상청의 엇갈린 제10호 태풍 진로 예보
동아사이언스
l
2020.09.06
다소 동쪽으로 치우친 경로다. 한반도 동쪽의 북태평양 고기압과 서쪽의 건조하고 찬
공기
가 균형을 이루며 태풍의 진로가 서쪽으로 치우치지 못하도록 막았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기상청은 일본을 지나면서 다시 진로를 변경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비록 한반도에 직접 상륙하지는 않지만, ... ...
[잠깐과학] 런던 구한 ‘콜레라 감염지도’, 역학의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9.05
제공 19세기만 하더라도 콜레라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대다수 의사들은 나쁜
공기
에서 나오는 ‘독기’가 원인이라 생각했다. 런던의 의사였던 존 스노는 콜레라의 원인을 직접 알아보기로 했다. 9월 초 존 스노는 동네 교회의 부목사였던 헨리 화이트헤드와 함께 환자의 집을 방문하며 ... ...
파란 회오리바람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과학동아
l
2020.09.05
회오리바람은 탄소가 불완전 연소한 그을음이 전혀 나오지 않았다. 연소 효율이 높고
공기
를 오염시키지 않는다는 뜻이다. 청 교수는 “파란 회오리바람은 모든 연료가 산화되는 완전연소를 일으켜 매연 없이 물질을 태울 수 있다”며 “파란 회오리바람을 제어할 수 있는 연구가 이뤄진다면 ... ...
10호 태풍 ‘하이선’ 따뜻한 바닷물서 힘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4
고온의 해수면을 지나면 온도가 높은 수증기를 통한 상승기류가 더욱 세지면서 주변
공기
를 더 빨아들이며 강한 회전 바람과 비구름을 만들게 된다. 하이선의 경우 이례적으로 해수온도가 높은 필리핀해와 동중국해를 지나면서 이곳에서 형성된 온도가 높은 수증기를 만나 세력이 더 강해지는 ... ...
'부력 뒤집혔다' 수면 아래로도 떠다니는 배
동아사이언스
l
2020.09.04
현상이다. 연구팀의 실험 장비다. 밀폐 용기 속에 끈적한 유체를 넣고 위아래로 흔들면
공기
위로 유체가 층을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바닥면에 배를 놓으면 마치 거꾸로 떠있듯 배가 바닥면에 붙게 된다. 네이처 제공 연구팀은 액체보다 훨씬 가벼운 종이배가 아랫면에 띄웠을 때도 뜨는 이유도 ... ...
한반도에 부는 바람 기후변화로 느려지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3
것이다. 대기 중 더운
공기
는 위로 올라가고 찬
공기
는 아래로 내려오게 간다. 아래층
공기
가 위보다 차가울 때는 상하 간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는 안정한 상태가 된다. 지형 특성 및 풍향의 변동과 난류에 의해 수평 방향의 확산도 달라진다. 연구팀은 한반도 대기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우선 19 ... ...
[사이언스N사피엔스]파스퇴르와 백신의 등장
2020.09.03
수 있다. 플라스크 목을 길게 늘여 S자 모양으로 구부려 백조목과 비슷하게 만들면
공기
는 잘 통하는 대신 휘어진 목의 트랩 부분에 외부의 미생물이 포함돼 있을지도 모를 먼지 등이 쌓이게 되니까 바로 이런 조건을 만들 수 있다. 푸셰와 파스퇴르의 격돌은 파스퇴르의 일방적이고도 싱거운 승리로 ... ...
[인간·공감·AI] ⑥ "바이러스로 바이러스 잡아" 신개념 코로나19 바이러스 탐지 센서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실현하는 대표적 센서 전문가다. 지난 7월 31일, 그를 GIST 연구실에서 만났다. 그는 "
공기
중에 떠도는 외부 유해물질인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탐지하는 한편, 생체 내부 신호를 측정해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가릴 수 있다"며 "특히 최근 인공지능(AI)을 통한 빅데이터 분석이 활발해지면서 센서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세포에는 왜 액체방울이 존재할까?
2020.09.01
새벽에 온도가 이슬점 아래로 떨어지면 물분자가 모여 물방울(이슬)을 만들며 두 상(
공기
와 이슬)으로 분리된다. 아이스커피는 나올 때는 두 상이지만(액체인 커피와 고체인 얼음) 수다를 떨다 보면 얼음이 녹아 어느새 한 상(희석된 커피)으로 바뀌어 있다(물론 상분리의 반대 방향이다). 그런데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