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출처"(으)로 총 11,7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쉽고 재미있게 공부하는 방법이 있다고?기사 l20230729
- 출처: https://shopping.interpark.com/product/productInfo.do?prdNo=9462919316 안녕하세요! 정하린 기자입니다. 여러분은 혹시 공부에 스트레스 받을 때가 있었나요? 저도 예전엔 잘못된 공부 방법으로 힘들었던 때가 있었습니다. 특히 중학교부터는 시험 점수가 기록되어 반영되는 경우가 많아서 ...
- [챌린지]한국의 파브르 석주명 선생님기사 l20230729
- 생각됩니다. 여러분이 아시다시피 석주명 선생님은 나비를 연구했습니다. 나비연구로 생물학에 민족성을 심은 분이기도 합니다. 출처-포토뉴스 (1908~1950) 우리나라 나비연구의 기틀을 마련한 생물학자인 석주명 선생님은 채집여행을 다니며 75만 마리의. 나비를 통계적으로 처리했습니다. 일본제국대학 교수등 많은 학자들의 잘못된 연구에 지적을 하 ...
- 세상에서 가장 귀여운 쥐! 멧밭쥐 현장교육 후기!!기사 l20230729
- 안녕하세요, 한채민 기자입니다!7월 15일날 진행됐던 멧밭쥐 현장교육, 기억나시나요?올해 처음 진행된 탐사인데요!먼저 멧밭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위키백과 한국 멧밭쥐의 학명은 'Micromys minutus'입니다.멧밭쥐는 몸길이가 5~6cm, 꼬리길이 5~9cm ... 다 사용한 테니스 공을 이용해 멧밭쥐의 둥지를 만들어 줬다고 ...
- 고구마가 사라진다면?기사 l20230729
- 이유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첫 번째로, 고구마는 구황작물입니다. (구황작물 = 아프리카 같은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랄 수 있는 식물) 출처:구글 고구마가 처음 자랄 때만 잘 관리해주면 나머지는 알아서 잘 자랍니다. 그 이유는 바로 고구마의 줄기 덕문입니다. 태풍이나 비바람이 몰아쳐도 튼튼한 줄기 덕에 날아가지 않습니다. 또 물이 땅속에서 증발되 ...
- 끌올 : 읽어주세요~~포스팅 l20230728
- 스토리콘이 그런 그림들로 가득차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여기까지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세 줄 요약트레 그림을 올리려면 출처만 남긴다고 되는게 아니라 원작자의 허락을 받아야한다.무단 트레는 저작권 위반이다.따라서 하지말자. + 이건 개인적인 의견인데 NovelAI 기반 ai그림 생성 사이트는 사용하지 않아주셨으면 합니다. 노블ai의 그 ...
- 똥을 그리는 방법기사 l20230728
- (출처:본인 제작)안녕하세요, 이제인 기자의 동생 이제선입니다.이번에는 제가 3학년 때부터 2년동안 연습해온 똥그리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제가 가장 자신 있는 것 입니다.)1.(스케치) 모양 잡기삼각형으로 모양을 그린 후 가운데에 선을 그려주세요.스케치라서 선이 삐뚤 빼뚤 해도 괜찮습니다.그리고 눈과 입 위치도 표시해 주고요. 2. ...
- 한번씩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포스팅 l20230728
- 스토리콘이 그런 그림들로 가득차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여기까지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세 줄 요약트레 그림을 올리려면 출처만 남긴다고 되는게 아니라 원작자의 허락을 받아야한다.무단 트레는 저작권 위반이다.따라서 하지말자. + 이건 개인적인 의견인데 NovelAI 기반 ai그림 생성 사이트는 사용하지 않아주셨으면 합니다. 노블ai의 그 ...
- [챌린지] 우리나라 나비박사, 석주명 선생님기사 l20230727
- 두피디아) - 나비의 크기에 따라 짓기 : 크기에 따라 '작은'이나 '큰'이라는 이름으로 지었다고 합니다. (작은, 큰, 왕, 대왕.. 등) (사진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두피디아) 석주명 선생님은 우리나라 나비들에게 이름을 지어 주고나서 우리나라 지도에, 세계 지도에 나비가 사는 곳을 점으로 표시해서 우리나라 나비가 어디 사는지 ...
- 폭로글포스팅 l20230727
- 네 저도 폭로글은 처음이라 많이 당황스러운데요.우선 ai 그림을 트레하여 출처없이 사용하신 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굿나잇 님 입니다.실명 김나이 이고요, 트레이싱 아니라고 부인하셨습니다. 제 구독자 이기도 하고 저도 즐겨 보던 분이라 마음이 아프긴 하지만 원칙적으로 이건 하면 안되는 일 이기 때문에 이 길이 맞다 생각하여 글 씁니다. 6학년 ...
- [챌린지]한국 균학의 발전을 선도한 김삼순 교수님기사 l20230727
- 김소율 기자입니다. 김삼순 교수님은 한국 균학의 제도적, 학문적 발전을 이끈 한국의 첫 여성과학자 입니다. 출처-여성신문 교수님은 일본의 한 대학에 있는 식물 생리학 교실에 들어가 사상균을 주제로 연구하셨습니다. 졸업후 균학을 배우기 위해 일본의 대학원으로 진학해 응용 균학교실에 들어가셨습니다. 이 무렵 2차세계대전이 격화되어 귀국하고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