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형태"(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감┃우주인의 드레스룸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있다. 여기에 유인기동장치(MMU)를 더하면 자유롭게 우주를 유영할 수 있다. 의자 형태의 MMU는 밑면과 뒷면에 로켓 팩이 설치돼 있어 우주 공간에서 유영이 가능하다. 영화 ‘그래비티’에 나오는 우주 유영 장치를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위험성이 높아 현재는 쓰이지 않으며, 로봇팔이나 안전줄에 ...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할 때 태양계는 모래알 한 개에 해당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어느 누구도 가장 원시적인 형태의 외계생명체조차 증명하지 못했다. 2010년 12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외계생명체의 증거로 ‘비소 박테리아’를 발표했을 때 처음으로 미스터리가 풀리나 싶었다. NASA는 미국의 한 호수에서 발견한 ... ...
- 질서┃모든 것의 시작 빅뱅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관측할 당시에는 2.725K인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그 당시 물질들이 항성이나 은하 형태로 뭉쳐 있는게 아니라 전 우주에 고르게 퍼져 있었다는 사실도 알게 됐다. 이로써 우주는 천천히 식으면서 진화했다는 가설이 입증됐고, 빅뱅 우주론은 정설로 굳어졌다.그렇다면 최초의 특이점은 왜 ... ...
- 질서┃거대구조, 초은하단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모양을 하고 있어 ‘필라멘트(Filament)’로 불린다. 필라멘트는 주변의 우주공동을 둘러싼 형태를 하고 있으며, 은하단에 새로운 은하들과 가스를 보충하는 통로와도 같은 역할을 한다.필라멘트 중에서도 거대한 규모로 길게 늘어져 있는 것들은 ‘장성(Great wall)’이라고 한다. 장성 중 하나인 ... ...
- [수학뉴스] 산이 그토록 아름다운 이유, 수학으로 찾다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저마다 다른 형태로 아름다움을 뽐냅니다. 그 뒤에는 공통적인 수학 규칙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폴란드 과학아카데미의 핵물리학연구소 연구팀은 다양한 산의 지형을 그래프로 그려 분석했습니다. 먼저 지형을 그릴 때 흔히 사용하는 방식을 이용해 산꼭대기는 점으로, 산등성이는 ... ...
- [인터뷰] "문제를 풀었을 때 느끼는 희열이 제 원동력입니다"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정보를 한곳에 두지않고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개인이 공유하도록 데이터를 ‘블록’ 형태로 묶고 그들을 다시 암호 체인으로 연결해 안전하게 저장하는 기술이다. “문제를 풀었을 때 느낀 그 짜릿한 희열을 맛보고 싶어 계속 도전해왔는데, 기업에서는 제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우니 행복하지 ... ...
- 신비┃우리는 우주의 유일한 것인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지금까지 설명한 다중우주들은 모두 공간 속에 여러 개의 우주가 동시에 존재하는 형태였다. 하지만 시간 속에 여럿이 존재하는, 즉 주기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지는 다중우주가 가능하다. 주기적 다중우주는 새로운 끈이론을 통해 정교하게 설명할 수 있게 됐다. 설명 중 하나가 브레인(brane) 충돌 ... ...
- 질서┃급팽창하며 진화하다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관측 자료에 의하면, 우주는 거의 평면인 것으로 나타났다. 왜 하필 우주는 셋 중 평면 형태가 됐을까.1981년 앨런 구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가 처음 제기한 급팽창(Inflation)이 이 의문을 해결해준다. 구스는 우주의 크기가 어떤 시점에서 굉장히 짧은 시간 동안 단번에 커졌다고 주장했다. ... ...
- 질서┃오리온자리 팔, 태양계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중력에 의해 뭉치기 시작했다. 가스들이 뭉치자 회전을 시작하면서 가스 구름이 원반 형태로 납작해졌고, 중심부가 고밀도, 고온인 환경에서 마침내 임계점에 도달하자 수소와 수소가 결합해 헬륨이 되는 핵융합이 시작됐다. 원시태양의 탄생이었다.원시태양이 생겨난 뒤, 원반에 남은 먼지들은 ... ...
- 걱정이던 자율주행차 안전 '힐베르트 문제'로 해결!수학동아 l2019년 07호
- (x+2)²+(2x+3)²로 다시 쓸 수 있는데, 이처럼 음이 아닌 모든 유리함수는 언제나 제곱의 합 형태로 바꿀 수 있음을 밝힌 겁니다.하지만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음이 아닌 모든 유리함수를 언제나 제곱의 합의 꼴로 바꿀 수 있다는 게 자율주행차가 최적의 경로를 찾는 것과 무슨 상관인 걸까요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