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축
확립
건설
건립
설계
부착
편성
d라이브러리
"
형성
"(으)로 총 3,735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누거품 속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모습(아래). 세제를 넣은 경우는 미셀이
형성
됐지만, 비누를 넣은 경우는 미셀이 거의
형성
되지 않고 앙금으로 인해 뿌옇게 보인다.]세제의 세척원리는 비누의 세척원리와 같다. 세제 또한 친수성기, 소수성기가 모두 포함돼 있는 계면활성제다. 그러나 합성세제는 비누와 달리 센물에서도 세탁이 잘 ... ...
1991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뇌가 발달할 때 테스토스테론이 부족하면 INAH3가 작다는 것.흥미롭게도 일단 뇌가
형성
되는 시기를 지나면 테스토스테론 농도가 올라가도 INAH3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즉 태아시기에 뇌의 성적 취향이 결정되면 그 뒤로는 바뀌기 어렵다는 말이다. 이는 동성애 성향이 환경의 영향을 받을 ... ...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음역대가낮다. 같은 3옥타브를 올라간다고 해도 남들보다 낮은 도를 기준으로 옥타브를
형성
하는 식이다. 반대로 또 다른 참가자인 박보람은 저음이 나지 않는다. 이는 성대의 길이와 관련이 있다. 성대가 짧을수록 빠르게 진동해 고음이 잘 난다. 존박은 성대가 길고 박보람은 성대가 짧다 ... ...
[통합과학] 계면 활성제의 미셀 구조
형성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통해 머리 부분이 차지하는 공간보다 꼬리 부분이 차지하는 공간이 작은 구형의 미셀이
형성
되기 위해서는 비누 분자들 간에 머리 부분끼리의 반발력이 크고 꼬리 부분끼리 작용하는 인력이 커야 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평면의 이중층 미셀이 만들어질 것임을 알 수 있다 ... ...
[지구과학] 지자기 탐사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흐르는 것과 같은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렇게 원형 전류에 의해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
된다면 막대자석과 같은 강자성체 없이도 퀴리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도 지구 주위의 자기장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유동성을 지닌 물체의 운동은 완전히 고정된 운동이 아니다. 전류의 방향과 자기장의 ... ...
빛그림 만드는 광화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분자와 산소 원자로 분해되고, 산소 원자는 성층권 내의 오존과 반응해 산소 분자 2개를
형성
한다. 오존이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지표면으로는 적은 양의 자외선만 도달한다.그러나 최근 우리를 자외선의 위협으로부터 지켜주는 오존이 사라지고 있다. 가장 큰 원인은 프레온 가스다. 프레온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물질을 집어 넣는 ‘광학 집게’ 현상을 연구하고 있다. 빛의 소용돌이가 강한 에너지를
형성
하면서 그 안에 물질을 담을 수도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일종의 빛으로 만든 그릇인 셈이다. 이 그릇을 다른 곳으로 옮길 수도 있다. 아직은 작은 나노 입자를 겨우 지탱하는 정도지만, 연구가 ... ...
[생물] 물질은 순환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PEP 카르복시화 효소와 만난다. 효소에 의해 C3화합물과 CO2가 결합돼 C4화합물인 말산이
형성
된다. 말산은 유관속초 세포로 이동해 C3화합물과 CO2로 분해되므로 그곳의 캘빈 회로에 있는 루비스코는 풍부한 농도의 CO2와 결합할 수 있다. 즉 C4식물의 경우 C4 경로는 엽육 세포에서, 캘빈 회로는 유관속초 ... ...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감각수용기는 수용기가 구분할 수 없는 차이를 갖고 있는 자극에 대해 동일한 감각을
형성
한다.감각수용기의 대체감각 성립 과정에 대한 이해는 감각장애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출발점이 된다.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소리의 진동을 청신경에 전달하는 달팽이관(와우)의 기능이 망가져 양쪽 청력을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논문이 올해 주요 학술지에 실릴 예정이다.편미분방정식은 국내에서 두터운 연구진을
형성
하고 있는 분야다. 그 중심에 이기암 서울대 교수, 채동호 성균관대 교수가 있으며, 젊은 연구진으로는 임미경 KAIST 교수(35)가 주목받고 있다. 임 교수는 편미분방정식을 이용해 역문제(inverse problem)를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