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위
학사
논문
d라이브러리
"
학위
"(으)로 총 1,416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공학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들어봤다. 이교수는 미국 LA소재 캘리포니아대(UCLA)에서 전기공학 제어계측분야의 박사
학위
를 받은 후 AT&T 벨연구소에 들어갔으나 1985년 중반 제너럴 일렉트릭 사로 자리를 옮겼다. 이때 미국에서는 수많은 로봇관련회사가 설립되면서 로봇산업이 붐을 이뤘기 때문이다.이교수가 참여했던 로봇관련 ... ...
⑤ 자생식물이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정혁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생명과 직결된 연구과수나무에 대한 세포조직 배양으로 미국 일리노이대에서 박사
학위
를 취득한 정단장이 인공씨감자와 인연을 맺게 된 계기는 특별하지 않다. 사실 처음에 정단장은 감자에 별 관심이 없었다. 귀국하자 국내에서 인공종자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었는데 정단장은 마늘과 감자 ... ...
바이오벤처 전략의 교과서 유진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기술기획 업무에 종사하던 시절. 노사장은 서울대 미생물학과를 마친 뒤 KAIST에서 석사
학위
를 받고 1985년 유공에 입사했다. 처음 맡은 일은 기술개발부의 기획 담당. 유공에는 당시 연구소가 없었기 때문에 기술개발부가 연구소 역할을 대신했다. 노사장은 이때 당시 전세계적으로 1백개에 불과하던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간 학교를 쉬었고, 서울대 수석입학이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으며, 20대에 획기적인 박사
학위
논문을 낸 것으로 유명하기 때문이다. 고체물리학의 고전으로 통하는 그의 논문은 고체의 전자구조를 양자역학적인 방법을 이용해 컴퓨터로 계산하는 길을 열었다.탄소나노튜브와의 인연탄소나노튜브하면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보고배운 선진국의 농촌에 대한 기억을 말한다.“덴마크 왕립공대에서 발효학 박사
학위
를 준비하면서 유럽의 농촌을 수없이 돌아다녔습니다. 세계에 자랑할만한 변변한 산업 시설 하나 없는 덴마크가 농업의 선진화로 부를 창출하지 않았습니까. 그 때 발효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 ...
2. 20대 박사 양성하는 과학영재교육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수 있다. 특히 최연소 박사를 배출한 곳으로 유명한데, 그 주인공은 1986년 21세의 나이로
학위
를 받은 김서인 박사다. 그는 중등과정을 월반해 10대 초반에 이 대학을 입학한 수재였다 ... ...
20세기 대우주탐험가 에드윈 허블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대학에서 천문학과정을 마쳤다. 1917년 ‘희미한 성운의 사진 조사’ 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
를 받고 여키스천문대에서 일하기 시작했다.1919년 서른살의 나이에 당시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망원경이 있던 윌슨산천문대의 연구원으로 참여했다. 훌륭한 망원경과 허블 자신의 정교한 관측기술, 그리고 ... ...
서태지 헤어스타일에 프랙탈이 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부족은 어떻게 자신의 문화 속에 프랙탈 패턴을 받아들이게 된 것일까? 1993년 박사
학위
논문을 끝낸 이글래쉬는 이 문제를 연구하기 위해 풀 브라이트 연구비를 얻어 1년 동안 아프리카를 직접 탐방하고 돌아왔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아프리카 중서부 지방의 여러 나라를 돌며 프랙탈 구조를 ... ...
③ 양자이론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위해 모든 물질은 파동이며, 그 파장은 운동량에 반비례한다는 물질파 가설을 박사
학위
논문으로 제출했다. 아인슈타인을 통해 이 논문을 입수한 슈뢰딩거는 이 새로운 가설을 취리히 대학의 한 콜로키움에서 다른 물리학자들에게 소개했다. 강연을 듣고 있던 드바이가 대뜸 질문했다. “물질이 모두 ... ...
② 양자론 구축의 대들보 빛과 물질의 이중성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정상파로 전자를 기술하는‘물질파’개념이 등장했다. L. 드브로이는 이 결과를 박사
학위
논문으로 제출했는데, 통과되기도 전에 랑제방과 아인슈타인 같은 대가들의 칭찬을 들었다. 곧 미국의 데이비슨과 저머, 영국의 J. J. 톰슨의 아들, G. P. 톰슨이 각각 독립적으로 전자의 회절 실험에 성공해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