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트
최초
시작
시초
출발점
개시
출항
d라이브러리
"
출발
"(으)로 총 2,256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이용해서 보고 싶은 날짜와 기간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우리 우주인이 ISS로
출발
한 뒤 그곳에서 머무는 기간 동안, 언제 어디서 ISS가 나타나는지 알아보려면 웹페이지 왼쪽에 있는 ‘날짜’(Date)와 ‘시각’(Time) 설정 메뉴를 ‘4월 8일 0시 0분’으로, ‘기간 선택’(Select Duration) 설정 메뉴를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편지의 구절이다. 창조성이 높게 평가되는 예술분야에서 성공한 사람들 가운데는 모방이
출발
점이었다고 고백하는 사람이 많다. 소설가 이순원은 조세희의 소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베껴 쓰면서 소설을 공부했다고 한다. 해외 유명 미술관 앞에는 거장의 그림을 모사하는 사람들이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식물계와 동물계 둘로 나눴다. 오늘날 초등학생도 쉽게 배울 수 있을 정도로 명확한
출발
점으로 보인다. 완벽한 것으로 여겨졌던 린네의 ‘2계 분류 체계’는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금이 가기 시작했다. 여태껏 존재 자체를 몰랐던 미생물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미생물을 식물계의 하나로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부 피 사이에 간단한 정수비(整數比)가 성립한다는 법칙 기체분자의 운동에서
출발
하여 기체의 성질을 논하는 이론 기체운동론이라고도 한다원자론 입장의 물성론으로서 최초의 것이다 기체상에서 결정(結晶)을 성장시키는 방법 승화법(昇華法)과 기체상 반응법이 있다기체상 반응법에서는 반응성 ... ...
돌연변이 생쥐로 뇌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연구는 주로 뇌에서 발현되는 특정 유전자를 없앤 생쥐, 즉 변이 생쥐를 만드는 일에서
출발
한다. 유전자 하나가 없어지면 신경세포의 기능이 바뀌고 그 결과 뇌의 회로가 바뀌어 궁극적으로는 행동의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 한편 이런 행동 변화를 토대로 해당 유전자의 기능을 유추할 수 있다.변이 ... ...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경우가 전부 m가지 있을 때, 이 사건이 일어나는 경우의 수는 m이라고 한다 삼각측량 때의
출발
점 이 점에서는 적어도 천문학적 경도 · 위도 및 이 점에서 다른 점으로의 천문학적 방위각(方位角)이 결정되어 있어야 한다자성재료 중 투자율(透磁率)이 크고 보자력(保磁力)도 큰 것 영구자석 · ... ...
인간광우병 공포 누그러뜨린 프리온 발견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프루시너 교수가 10년 전 이미 해답을 내놓은 셈이다. 뉴기니 부족 풍토병 규명이
출발
대학 때 화학을 전공한 프루시너 교수는 펜실베이니아대 의대에서 의학을 공부한 뒤 1972년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의대 신경과에서 레지던트를 시작했다. 이때 만난 환자 한 사람이 그의 앞날을 바꿔 ... ...
기네스북에 오른 괴물 포켓나이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특성·사명·활동방향에 대한 호소를 포함하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과학운동의
출발
점을 이루었다한국의 과학기술 발전과 국민생활의 과학화, 과학인구의 저변 확대를 위해 과학기술처(科學技術處)가 주최하고 국립과학관(國立科學館)이 주관하여 교육부·농수산부·상공부·동력자원부의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지구의 열 수송을 담당하던 해류가 멈추며 빙하기가 찾아온다는 가정에서
출발
했다. 실제로 1만 2000년 전 유럽은 평균기온이 5℃나 뚝 떨어졌고 이 추위가 수백 년간 이어진 적이 있다. 북아메리카의 대륙빙하가 녹으면서 엄청난 양의 담수가 북대서양으로 흘러들어갔고, 그 결과 유럽에 열을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되지 않는다”며 “생물체의 몸에서 일어나는 초미세현상을 이해하는 일이 문제해결의
출발
점”이라고 말했다.근육은 수많은 근세포 다발이다. 근세포를 이루는 근섬유의 지름은 수십~수백μm 규모로 다양하고 허벅다리의 근섬유는 좀 더 굵다. 하지만 모두 나노미터 크기의 액틴과 미오신으로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