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육지
대륙
땅거죽
지표
최고
땅
d라이브러리
"
지상
"(으)로 총 1,97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라크 무기사찰에서 사용되는 불법무기 추적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오존 등이 마치 온실의 유리와 같은 작용을 하여 지구로부터 나가는 복사열을 흡수,
지상
의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궤도상에 건설되는 항구적인 우주기지로서 여러 기능의 우주활동이나 업무를 수행한다항성이 1천만개에서 1조개 모인 천체 태양계가 속해 있는 은하를 우리의 은하 혹은 은하계라 ... ...
1 우리 위성 쏘아올릴 액체로켓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6월 27일에는 각종 밸브를 포함한 액체추진기관 전체, 8월 29일에는 로켓 전체에 대한
지상
성능시험에 성공했다. 이런 시험을 통해 3천여개의 액체추진제 로켓 부품이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이로써 최종 발사시험만 남겨놓은 상태가 됐다.우리 발사체로 우리 땅에서연구원들은 ... ...
자유롭게 계단 오르는 새로운 휠체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기생하는 숙주를 최종숙주 또는 종결숙주라고 한다무인제트기 모양의 신형미사일
지상
수m의 저공을 비행할 수 있고 표적을 우회하여 공격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현재의 방공레이다로서는 포착하기 어렵고, 핵탄두나 비핵탄두를 양용할 수 있다혈액의 당분을 조절하는 호르몬으로 췌장의 ... ...
문화재 아름답게 노화시키는 보존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하지만 훈증은 일시적인 효과 밖에 기대할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땅 속에 있다가
지상
으로 올라와 공격하는 흰개미는 전체의 20% 정도에 불과해 나머지 80%가 다시 공격을 해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좀더 근본적이고 과학적인 보존 대책이 필요하다. 피해 건물 부근에 살충제를 뿌린 소나무 말뚝을 ... ...
미 최초 위성 익스플로러 발사 45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화려한 비상을 꿈꿨다. 하지만 발사 40초 후 로켓은 궤도를 이탈하며 폭발하고 말았다.
지상
에서 위험을 감지하고 자폭명령을 내렸던 것이다. 유럽우주기구는 실패의 원인을 찾아 재기하는데 17개월의 시간과 1억달러의 비용이 들었다.우주개발과정에서 실패의 원인으로는 기술적 결함 외에도 기상과 ... ...
2 국산 초음속기 마의 음속 돌파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작은 축소 모형에 대해 아음속과 초음속의 바람으로 다양하게 실험했다.영국에서 초음속
지상
시험 끝내항공기 개발역사가 일천한 우리나라에서 초음속 항공기를 개발하기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개발이 막 시작되자마자 IMF사태가 닥쳐왔다. 필요한 장비를 구입해야 하는데 환율이 ... ...
상식에 어긋나는 흑맥주 기포의 추락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수 없다. 콜라와 같은 탄산음료도 새지 않는 특수용기에 빨대를 꼽고 마셔야 한다. 이때
지상
에서처럼 용기를 흔들어서는 안된다. 기포가 생기기 때문이다. 무중력상태에서 기포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뭘까.맥주를 잔에 따르면 그 안에 녹아있던 기체들이 기포를 형성하고, 이 기포들은 액체 위로 ... ...
물과 햇빛만으로 꿈의 에너지 개발 광촉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이산화티타늄을 광촉매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영역의 햇빛이 필요하다. 하지만
지상
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 가운데 자외선은 3%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이에 비해 가시광선(4백-5백nm)은 약 절반을 차지한다. 따라서 많은 광촉매 연구자들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광촉매를 ... ...
나는 네가 지금 어디 있는지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공간과 시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얻을 수 있다.관제 부분에서는
지상
에서 각 위성들을 감시해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불의의 사태를 막기 위해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위성들이 궤도를 벗어날 경우 원래로 돌아가도록 명령하고 각 위성의 궤도 정보를 정확히 ... ...
우주를 이해하는 표본 태양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중 일부분만 지구 표면에 도달하고, 자외선, X선, 감마선, 태양풍 등은 지구 대기에 막혀
지상
에서 관측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우주시대의 개막과 함께 1960년 초부터 우주공간에서 인공위성을 이용한 태양관측이 시작됐다.태양 표면에서는 여러가지 활동적인 현상이 일어난다. 수초만에 발생해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