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료"(으)로 총 4,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Focus News] 해수 온도 급상승 한반도 위험주의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43년간 1.29도 상승한반도 주변 해수 온도도 심상치 않다. 국립수산과학원이 2013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표층 수온은 43년간(1968~2010년) 섭씨 1.29도 상승했다. 같은 기간 세계 표층수온이 섭씨 0.4도 상승한 것에 비하면 3배가 넘는 수치다. 반기성 케이웨더 기후산업연구소장은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이 글을 보고 있는 당신은 근시가 있을 확률이 높다. 아마 초등학교 입학 전후에 칠판 글씨가 잘 보이지 않아 안경을 쓰기 시작했을 것이다. 이렇게 쉽게 짐작하는 이유는 근시가 그만큼 흔하기 때문이다. 서울에 사는 19세 남성의 96.5%가 근시라는 통계도 있다(doi:10.1167/iovs.12-10106). 근시는 대부분 태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배아줄기세포는 우리 몸의 어떤 세포로든 분화할 수 있는 발달 잠재력을 갖고 있습니다. 성체에 있는 줄기세포들보다 발달 잠재력이 높은 셈인데요. 하지만 배아줄기세포를 사용하는 데에는 항상 생명윤리 문제가 따라다닙니다. 발달을 시작한 지 5~7일 된 배아에서 세포를 꺼내 실험실에서 배양 ... ...
- 자동완성으로 보는 너에게 수학이란?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검색 엔진은 학 다음에 무엇이 나올지 빠르게 머리를 굴려요. 검색 엔진이 참고하는 자료 중 하나는 각 나라 언어의 말뭉치 데이터예요. 말뭉치는 소설이나 기사, 드라마 대본 등에서 학 다음에 무엇이 나올지 확률을 이용해 정리한 거대한 언어 정보입니다. 쉽게 말해, ‘학 뒤에 교가 나올 확률이 70 ... ...
- [Origin] 아스팔트 화산, 진흙 화산 들어는 봤나 ‘석유 화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이 사진 실화냐?투르크메니스탄에 있는 이 지형은 컴퓨터그래픽이 아니다. 땅 속 석유가스가 만든 실제 상황이다. 놀라운 건, 이런 기이한 지형이 한둘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아스팔트 화산은 미국과 멕시코 사이의 바닷속에서 2003년 처음 발견된 특이한 지형이다. 문명이 도달하기 어려운 3000~40 ...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궁금한 부분은 위해성이다. 현재 전문가들은 일회용 생리대의 위해성을 평가할 근거 자료가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일회용 생리대를 이루는 각 원료의 유해성을 알아도, 여성 생식기의 피부를 통해 화학물질이 체내에 얼마나 흡수되는지 측정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방법이 ...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고준위 방사선을 차폐하는 소형 로봇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6월 15일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로봇이 견딜 수 있는 방사선량은 200Sv(시버트) 수준이다. 인간이 피폭되면 즉사하는 수치다. 리틀 선피시는 지름 13cm, 길이 30cm로 아담한 크기다. 격납용기에 접근할 수 있는 구멍의 지름이 14cm여서 ... ...
- 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앞으로 앞으로~♪ 지구는 둥그니까~♬” 위 동요의 가사처럼 지구는 둥글다. 지금은 이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옛날 사람들은 그렇지 않았다. 많은 사람이 지구가 평평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가장자리로 가면 낭떠러지로 떨어질 거라며 두려워했다. 이후 많은 탐험가와 과학자의 노력 덕 ... ...
- [Future] 한국 온 지 9개월, ‘닥터 왓슨’ 뭐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인간 의사보다 AI 왓슨이 뛰어난 점은 머리로 기억할 수 없는 방대한 양의 의학적 자료와 확률 데이터를 저장한다는 점이다. 즉 왓슨의 가장 뛰어난 능력은 전 세계 의학 지식을 담고 있는 고급 저널들을 포함한 빅데이터다. 게다가 왓슨은 지금 이 시간에도 처음에 저장한 데이터 외에 새로운 ... ...
-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눈으로 볼 수 없다면 수학적으로 우주의 모양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여기에 쓰이는 수학은 위상수학이다. 위상수학은 물체의 모양이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성질을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다. 쉽게 말해, 구멍의 개수에 따라 물체를 분류한다. 구멍의 개수가 같으면 같은 물체로 본다. 예를 들어, 구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