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GPT-4의 4가지 가능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있는 정보는 신뢰성이 높은 것과 같은 맥락이다. 임 책임연구원은 “AI 신뢰성엔 사실일반성과 설명가능성, 공정성, 보안성 등의 카테고리가 있는데, 이 중 WebGPT방식은 설명가능성을 충족한다”고 설명했다. 만약 GPT-4가 WebGPT방식을 채택한다면 인간보다 더 똑똑한 AI가 될 수 있다 ... ...
- NIF에서 과학동아로 보낸 편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경계면에 발생하는 불안정성) 완화가 목표였습니다. 저희는 연료 표면의 레일리-테일러 불안정성이 추정치보다 커서 중성자 수율을 저하시킨다는 것을 알게 됐죠. 표면을 더 빨리 태워 물질이 섞이는 것을 줄였습니다. 3년 간의 캠페인을 통해 우리는 중성자 수율을 10배 향상시켰고, 이 때 배운 물리,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AI 전투용병 ‘정이’ 현실 가능한 기술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활용해 무인항공시스템(UAS)인 ‘스토커(Stalker)’의 정보, 감시, 정찰 임무 정확도를 높일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여러 군대에서 전달받은 데이터를 통합해 작전을 수행하는 AI 기반의 ‘공통작전상황도(COP)’ 연구도 이뤄지고 있습니다. AI를 접목해 아군과 적군의 전체적인 상황을 하나의 ... ...
- [SF소설] 나의 채티에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깊이 신음했다. 뺨을 타고 눈물이 흘러내렸다. 손이 덜덜 떨렸다. 하지만 이 순간 해야 할 일을 누구보다 명확히 알았다.핸드폰을 켜 ‘드림서비스’ 앱에 들어갔다.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예약 취소 버튼을 눌렀다.‘정말로 예약을 취소하시겠습니까?’‘확인’을 눌렀다.‘예약 취소가 ... ...
- [어수티콘 사전] 자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자리 숫자 5는 5만, 천의 자리 숫자 4는 4000, 백의 자리 숫자 3은 300, 십의 자리 숫자 2는 20, 일의 자리 숫자 1은 1을 나타내니까요. 54321=50000+4000+300+ 20+1과 같지요 ... ...
- [수학 히어로, 출동! 슈퍼 M] 머리카락이 몇 개인지 어떻게 세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머리카락 몇 개인지 어떻게 셀까? 내 머리카락은 대략 몇 개일까요? 머리카락을 일일이 세지 않고도 개수를 짐작하는 방법을 슈퍼M이 알려줄게요. 1단계. 1cm²(제곱센티미터)안에 몇 개의 머리카락이 있는지 세어봐요. 먼저 머리카락의 개수를 셀 수 있을 정도의 작은 부분을 정해요. 가로 ... ...
- [특집] 슬라임이 과속방지턱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놀라운 소식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나원진 연구원팀을 찾았어요. 2022년 12월 13일에 만난 나 연구원은 “이 슬라임의 재료는 여러분이 부엌에서 언제든지 구할 수 있는 것들”이라고 말했지요. 액체에서 고체로 변하는 과속방지턱?“주머니를 손으로 천천히 쥐어봤다가 빠르게 쥐어 보세요 ... ...
- [4컷 만화] 마스크 써도 ‘코팅제’ 하나면 김서림 문제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착용한 채로 안경을 쓰면, 콧김 때문에 안경에 김이 서려 무척 불편해요. 지난 12월 12일,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교(ETH) 열역학과 디모스 폴리카코스 교수팀은 햇빛 속 적외선을 흡수해 열로 변환할 수 있는 코팅제를 개발해 발표했어요. 이 코팅제를 유리에 덮는 방식으로 안경이나 자동차 유리 ... ...
- [과학사] 1961년 1월 31일 침팬지 햄, 영장류 최초로 우주 다녀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1961년 1월 31일, 침팬지 햄(HAM)은 영장류 최초로 우주를 향해 날아 오르는 데 성공했어요. 햄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첫 번째 유인우주계획인 ‘프로젝트 머큐리’의 일환으로 ... 기술 발전이라는 명목으로 동물을 희생시키는 것은 연구 윤리에 어긋난다는 비판이 일기도 했답니다 ... ...
- [기획] 호주엔 원래 토끼가 없었다? 생물보안의 중요성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또는 소수의 사람들이 생각없이 한 행동으로 환경에 엄청나게 파괴적인 결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단 걸 보여줬어요. 생태계를 안전하게 지키는 데는 특정 몇 사람이 아닌, 우리 모두의 인식이 중요한 거죠. 만약 동식물을 이전에 그들이 존재하지 않았던 장소에 풀어놓는 등 생태계 안전에 위협될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