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과연계수업] 멸종위기 생물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사라지고 있는지, 또 왜 사라지고 있는지 이유를 설명한다. ▶ 기사를 토대로 ‘인류세’의 뜻을 설명한다. ▶ 멸종위기 생물에 어떤 것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인터넷 검색을 통해 찾아본다. ▶ 멸종위기 생물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자유롭게 학생들과 이야기하면서 멸종위기 생물 보호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고체 속에서 움직이는 전자의 거동을 양자역학으로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그 결과물로 인류가 품어 왔던 오랜 질문인 금속과 비금속의 차이에 대한 답이 나왔고, 고체물리학이란 분야가 탄생했다.하지만 여전히 두 가지 신비로운 난제가 남아있었다. 바로 초전도와 초유체 현상이다. 자연의 ...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세포 내 칼륨 농도가 급격히 늘어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doi: 10.1038/ncomms9532).지금까지 인류가 밝혀낸 과학은 사람에 대해 얼마나 많이 알고 있을까. 어쩌면 사람의 감각은 다섯 개가 아니라 여섯 개, 아니 더 많을 지도 모른다. 지금도 여러 과학자들은 여섯 번째 감각이 있다는 가정 하에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백골 시체가 발견된 다. 이들이 모두 유가족에게 성공적으로 돌아가려면 한국만의 법의인류학적 데이터가 필요하다. 머지않은 미래에 한국에도 시체농장이 들어선다는 소식이 들려오길 바라는 이유다 ... ...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다시 의수 분야에 큰 진전이 없었다. 19세기 초, 독일의 치과의사 피터 발리프가 인류 최초로 ‘스스로 움직이는’ 기능 의수를 만들었다. 팔꿈치와 어깨를 손가락과 연결해서, 팔꿈치를 펼치면 엄지손가락이 함께 펼쳐지고, 어깨를 들썩이면 나머지 손가락이 펼쳐지는 의수였다. 의수를 펴기위해 ... ...
- [새 책] "당신들도 그곳에서 행복하길 바랍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스스로를 설명하기 위해 이들은 철학적인 질문들을 해야만 했다. 그 과정에서 전쟁 같은 인류의 파괴적인 모습은 싣지 않기로 결정했다.생각건대, 그들에겐 선견지명이 있었다. 그때나 지금이나 인간은 여전히 위태롭고, 우리는 계속해서 지속 가능한 문명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우주 공간에 ... ...
- INTRO. 빅뱅의 문을 열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허블, 가모프. 우주의 신비를 풀어내기 위해 노력한 과학자들이다. 이들의 노력 덕에 인류는 우주를 조금이라도 이해하게 됐다. 하지만 우주 탄생의 순간이 어땠는지는 추측만 할 뿐이다. 지금까지 그곳으로 가는 문은 굳게닫혀있었다. 최근에야 이 문을 열 열쇠가 생겼다. 그리고 그 열쇠를 만드는 ... ...
- [과학뉴스] 사람은 초기 인류보다 뇌 혈류량 6배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공동연구를 한 남아프리카공화국 비스바테르스란트대 에드워드 스넬링 교수는 “인류가 진화하면서 뇌가 커진 덕분에 지능이 발달했다는 기존 학설을 뒤집는 연구 결과”라고 밝혔다 ... ...
- Intro.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역시나’ 하는 경험을 반복하고 있다.노벨상은 하나의 상징이다. 수상자의 업적이 인류에 공헌했다는 것을 뜻한다. 또 그 과학자를 배출한 나라의 과학적 역량을 대변하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 우리가 노벨상을 기대하는 이유도 한국의 과학적인 위상을 인정받고 싶은 바람 때문이다. 그런데 과연, ...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걸까. 반대로 우리은하에, 더 나아가 우주 전체에 인류 이외의 다른 외계문명이 없다면, 인류는 왜 이토록 특별하게 진화해 온 걸까. 궁금증은 늘어만 간다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