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가지"(으)로 총 7,51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투스교육] 지각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약 46억 년 전 탄생한 지구에는 다양한 원소들이 존재했다. 그리고 이 원소들이 서로 결합해 지각을 구성하는 광물을 비롯한 여러 물질을 만들었으며, 그 중 생명체라는 존재 또한 탄생하게 됐다. 이렇게 지구를 구성하는 지각과 암석 그리고 그 지구위에서 살아가는 생명체는 같은 재료에서 시작했 ... ...
- UNIST 종합다면면접평가 분석 및 대비법과학동아 l2018년 03호
- UNIST는 정시모집을 실시하지 않고 100% 수시모집으로만 학생들을 선발하며, 수시모집의 각 전형은 서류 평가와 면접 평가를 주요 전형 요소로 삼고 있다. 이공계특성화대학 중 POSTECH을 제외한 KAIST, GIST, DGIST, UNIST는 수시 6회 지원의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이들 4개 과학기술원을 각각 지원할 경우 이 ... ...
- [교과연계수업] 과학 즐기며, 황금개 찾아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 2018년은 황금개띠의 해예요. 강아지는 여러 동물 중에서도 사람과 친밀한 동물이지요. 강아지를 좋아하나요? 좋아한다면 어떤 강아지를 좋아하나요? 오늘은 여러 강아지들 중에서도 과학과 관련이 있는 이색 강아지 4가지를 소개하려고 해요. 그리고 이 네 강아 ... ...
- Part 1. 암호화폐는 ‘진짜 돈’이 될 수 있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가상화폐’인가 ‘암호화폐’인가, 그도 아니면 ‘가상통화’인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화폐의 정확한 명칭은 뭘까. 정부와 공기업들은 이들 세 가지를 혼용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가상통화’라고 지칭하고, 법무부는 화폐가 아니라는 의미로 ‘가상증표’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 ... ...
- [인터뷰] UNIST 신입생 대표 김윤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 편집자주 - 최근 대학별 입시 제도가 다양해지면서 수석합격자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스펙’도 다양해졌다. 과학동아는 대학 입학본부의 지원을 받아 수석합격자에 부합하는 학생을 만나, 중·고등학교 시절 학업 방법을 듣고 이를 통해 대학 합격 비결을 분석했다. “학원을 모두 끊고 하 ... ...
- 학종에서 좋은 평가 받는 동아리 활동 비법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의 모집 인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학종이 점점 강세를 보이면서 학종의 전형요소 중 서류, 그 중에서도 학생 평가의 기본 근거 자료가 되는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됐다. 이에따라 꼼꼼하고 체계적인 학생부 관리가 필요하다. 학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KIST 미세먼지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문제는 2차 미세먼지!기자단 친구들은 가장 먼저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로 향했어요. 연구실을 둘러보기에 앞서 하헌필 미래융합기술연구본부 본부장님이 친구들에게 미세먼지가 무엇인지 질문을 던졌지요.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먼지예요. 나쁜 물질로 이뤄져 있어서 우리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내 자리는 어디에!? 15 퍼즐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오늘 소개할 게임은 1부터 15까지의 숫자가 적힌 타일을 크기 순서대로 배열하는 ‘15 퍼즐’이에요. 규칙이 쉬워서 금방 풀 수 있을 것 같지만, 수학으로 분석해 보면 애초에 순서대로 배열할 수 없는 경우도 있어요. 기사를 열심히 읽으면 헛고생하는 일이 없을 거예요! 15 퍼즐은 1874년경 미국 카나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생명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인류가 탄생한 수백 만년 전부터 지금까지 풀지 못한 난제입니다. 과학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생명 현상을 분석하려고 노력해왔습니다. 1970년대 DNA 염기서열 분석 기술이 등장하면서 그 길이 열리는 듯 했습니다. 인간게놈지도가 완성됐고, 여러 생물의 유전 ...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극지 고층대기 관측 우주를 탐색하다 극지는 우주로 열린 창이다. 지구의 자기력선은 남극과 북극에서 우주로 열려있다. 이런 자기력선을 따라 지구 대기로 유입된 우주의 입자들은 지구의 ‘고층대기(upper atmosphere)’와 상호작용하며 여러 가지 현상을 일으킨다. 오로라가 대표적이다. 오로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