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 인터뷰] 후쿠시마 출입금지구역 방사능 측정은? ‘특파원 뱀’이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6호
출입금지구역에서 발견된 뱀은 몸무게 1kg당 방사성 세슘이 구역 바깥에서 발견된 뱀보다
약
22배 많았어. 이 연구로 또 무엇을 알 수 있을까?지역의 오염 정도를 모니터링하는 것뿐만 아니라 야생동물을 위한 연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어. 연구팀은 우리 쥐잡이뱀을 더 연구해 방사능이 야생동물에게 ... ...
[4컷 만화] 자고 일어났더니 손가락에 전기가 모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6호
손가락에서 나오는 땀으로 전력을 만드는 장치가 개발됐어요. 이 장치는 반창고처럼 생겨 손가락 끝에 감싼 채 잠만 자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지요. 미국 캘리포니 ... 이뿐만 아니라 1시간 동안 아무렇게나 키보드를 치거나 마우스를 클릭하는 상황에서도
약
30mJ의 전기를 만들었답니다 ... ...
[현장취재] 개구멍을 엉금엉금! 탐험의 시작백룡동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6호
없는 동굴에서 박쥐의 똥은 생물들에게 귀한 영양분이 되어 주지요. 탐험을 마치기까지
약
2시간 30분이 소요됐습니다. 방송국 PD님은 제게 “어린이들이 컴컴한 동굴을 무서워하지 않겠냐”고 물었습니다. 그때 백룡동굴에서 신이 날 독자들의 얼굴이 떠올랐습니다.“무서워하는 친구들도 있겠죠. ... ...
[특집] 물폭탄의 원인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6호
오르면 대기가 수증기를 더 많이 머금을 수 있어요. 기온이 1℃ 오를 때마다 수증기는
약
7%가 증가하죠. 실제로 지난 1월 미국 비영리 환경과학재단 버클리 어스는 유럽 기온을 재기 시작한 후 지난해가 가장 더웠다고 발표했어요. 이런 심각한 폭우는 앞으로 더 자주 발생할 거예요. 7월 16일, 영국 ... ...
[기획] 대체 불가! 허블 우주망원경의 업적 Best5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6호
2218 은하단’ 등 천체의 암흑물질 무게를 계산하고, 우주에 암흑물질이 정상물질보다
약
6배 많다는 사실까지 밝혀냈답니다. 4 외계 행성의 탄생, 허블이 직접 관측해드림.외계 행성이 만들어지는 먼지 원반을 허블 우주망원경이 직접 관측하기 전까지, 외계 행성의 존재는 간접적으로만 알려져 ... ...
[헷갈린 과학] 똑같은 거 아녔어? 요가 VS 필라테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6호
것으로 알려졌어요. 이는 1923년 인더스 강 하류에 있는 고대 성곽도시인 모헨조다로에서
약
5000년 전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요가 자세를 한 ‘시바신상’이 발견됐기 때문이죠. 요가는 매트 위에서 자기 몸의 무게를 견디며 하는 운동이에요. 여러 가지 동작을 하며 명상을 함께 하는 것이 ... ...
[통합과학 교과서] 무지개의 끝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6호
굴절하는 각도가 미세하게 달라져요. 실제로 물방울 내부에서는 붉은빛보다 파란빛이
약
2° 더 굴절됩니다. 이 차이로 햇빛이 다양한 색으로 나뉘게 됩니다.즉, 공기 중의 물방울 하나하나가 미세한 프리즘이 되어 햇빛을 색색들이 분리한 것이죠. 통합과학 넓히기서울에 쌍무지개가 떴다! 지난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껑충껑충 캥거루의 점프 비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5호
뒤 30~40일 정도 지나면 새끼를 낳는데, 갓 낳은 새끼는 몸길이가 고작 2~3cm에 몸무게는
약
1g이야. 엄지손가락 정도 크기밖에 안 되는 셈이지. 캥거루가 조그만 새끼를 낳는 이유는 임신한 캥거루의 배 속에 ‘태반’이 충분하지 않아서야. 태반은 아기가 엄마 배 속에 있을 때 아기와 엄마를 ... ...
[헷갈린 과학] 꼬리가 없으면 유인원? 영장류VS유인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5호
크다는 공통점도 갖지요. 특히 인간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동물인 침팬지는 DNA의
약
98%를 공유할 정도로 인간과 비슷하답니다.유인원은 인간과 비슷해서 과학자들에게 중요한 연구대상이에요. 하지만 현재 인간을 제외한 유인원 대부분이 멸종 위기랍니다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두 발로 뛰고, 돌면서 뛰고!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5호
살아남기 위해 두 다리로 뛰기 시작했다고 생각해 왔어요. 그런데 그보다 이전인
약
2000만 년 전에도 이미 캥거루들은 두 발로 뛰며 달릴 수 있었다는 게 밝혀졌어요. 스웨덴 웁살라 대학의 벤자민 키어 박사는 아주 오래된 캥거루 화석을 발견해 연구했어요. 그 결과, 캥거루는 초원에 살기 전부터 두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