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장
발전
발육
진보
진화
향상
생장
d라이브러리
"
발달
"(으)로 총 3,776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정보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사는 모습을 가장 크게 바꾼 전기와 정보 통신 기기 모두 전기정보공학을 기반으로
발달
한 것들이다. 이제 자동차, 선박을 포함해 전기전자 기술이 융합되지 않은 산업 분야를 찾는 것은 힘들다. 전기정보공학은 쓰이는 분야가 꾸준히 넓어졌다.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커졌고 앞으로도 그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했다. 하지만 최근 신경과학 분야에서 광유전학(optogenetics)이
발달
하면서 더욱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광유전학 기술을 사용하면 빛을 이용해 특정한 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자극하고 이 때 반응하는 다른 신경세포들을 추적할 수 있다.완전한 커넥톰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인도의 무역업자 사이에서 700년 무렵부터 널리 사용됐다.삼각함수도 인도에서
발달
했다. 원시적인 삼각함수 개념은 그리스 수학에서도 발견되지만, 현대적 삼각법은 인도에서 시작됐다. 400년에 처음 등장한 인도의 삼각함수는 유럽에 전해져 수학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됐다.인도의 수학 책이 ... ...
컴퓨터과학의 아버지, 알란 튜링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엄청나게 많은 계산을 해야 합니다. 그래서 튜링이 연구한 암호 해독 기술이 컴퓨터의
발달
로 이어졌지요.오늘날 블레츨리 파크는 전체가 박물관이 돼 있습니다. 가 찾아간 날에는 비가 내리는 중에도 수많은 사람이 찾아왔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인기를 끈 곳은 역시 알란 튜링과 ... ...
초콜릿 복근을 원하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성장속도가 빠른 반면 쉽게 지친다. 단거리 달리기나 역도, 보디빌더 선수들은 속근이
발달
했다. 아쉽게도 복근은 지근의 비율이 높다. 속근보다 만들어지는 속도가 느려 오랫동안 꾸준히 운동해야 모양이 나타난다.그러나 한 번 생긴 지근은 쉽게 없어지지 않는다. 지방을 연소하는 양도 많아 ... ...
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확인할 수 없던 일”이다. 그나마 가설이나 이론을 만들 수 있게 된 것도 관측천문학이
발달
한 불과 몇 십 년밖에 되지 않는다. 만약 우리가 사는 우주 외에 또다른 우주가 있다면 과연 어떤 모습일까. 지금부터 다중우주를 찾는 (가상의) 모험을 시작해 보자. 모험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 ...
Intro. 해양 미션 임파서블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70% 이상을 차지하는 바다의 실체를 환산한 수치다. 인간의 바다 정복은 과학기술의
발달
로 심해 석유·천연가스 채취, 청정에너지원 활용에까지 이르렀다. 여기서 가장 근본적이면서도 비현실적이고 불가능해 보이는 질문.‘인간은 바다 속에서 살 수 없나.’ ‘바다 속에서 기차가 지나가는 터널은 ... ...
Part2. 장내미생물, 민감한 면역계 길들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비정상적으로
발달
하면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런 질환에 면역계
발달
에 관여하는 장내미생물 조합인 IRT5를 투입해 면역계를 재교육시켜 증상을 완화한다는 임 교수팀의 연구는 ‘위생가설’과도 잘 부합한다. 물론 장내미생물과 위생가설의 관계를 좀 더 분명히 보여주는 ... ...
'머리 큰 아기' 엄마는 괴로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 아기를 낳는 일은 여자의 일생에서 가장 크고 긴 고통을 동반합니다. 현대 의학이
발달
하기 전까지 아기를 낳는 일은 젊은 여자의 생명에 가장 큰 위협이었죠. 아기를 낳다가 죽는 경우가 허다했으니까요. 힘들여 아기를 낳은 다음에 자궁이 제대로 회복되지 않아 과다 출혈이나 감염으로 죽는 ... ...
Part3. 정신건강까지 책임지는 장내미생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이 곳에서 들어오는 정보를 뇌로 전달한다.최근 장내미생물이 생물의 기분과 행동, 뇌의
발달
에까지 영향을 준다는 논문이 계속 발표되면서 ‘장내미생물-장-뇌 축(microbiome-gut-brain axis)’이라는 용어까지 생겼다. 불안하고 우울한 기분을 없애준다아일랜드 코크대의 존 크라이언 박사는 캐나다 맥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