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d라이브러리
"
반사
"(으)로 총 2,022건 검색되었습니다.
교향악단 조율의 비밀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반사
하며 뒤따라오던 파동과 겹친다. 반대로 왼쪽 끝에 도달한 파동도 오른쪽으로
반사
하며 간섭을 일으킨다. 이런 일이 반복되면‘정상파’가 만들어진다. 정상파를 만든 바이올린 줄은 공명을 일으켰다고 하고, 이때 바이올린은 특정한 음높이의 소리를 만든다.그럼 음높이는 어떻게 결정될까. ... ...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처지든가, 소장벽이 급격하게 늘어나든가, 화학적 자극으로 인한 소장벽의 자율신경
반사
, 소장벽의 삼투압에 의해 소화관으로 수분이 급속히 대량 이동하여 순환되는 혈액의 양이 감소하여 일어난다 자낭균(子囊菌)에 의한 식물병의 하나 한국의 경우 경기도 이남의 온난한 지방에서 종종 ... ...
맛있는 빛의 요리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노란색은 빨간색과 초록색이 섞여 만들어진다. 따라서 빨간색과 초록색빛을 모두
반사
하기 때문에 우비는 빨간색으로 보인다. 초록색 조명을 비추면 노란 우비는 초록색으로 보일 것이다.클릭! 애니멀동물의 눈에는 어떻게 보일까?2억 개의 후각세포를 가진 개는 사람보다 100만 배나 냄새를 잘 ... ...
태양을 3차원으로 관측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40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확인되었다 미국의 천문학자 P 로웰이 1894년에 건설한 천문대 107cm
반사
망원경, 61cm · 46cm의 굴절망원경 및 61cm 슈미트카메라 등의 광학관측기기들이 장치되어 있다 생물의 증식과정이나 경제의 발전과정을 근사적으로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곡선 벨기에의 수학자 P F ... ...
매미 날개는 나노 도장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코팅 소재로 쓸 수 있다”고 말했다.나노 기둥이 촘촘히 박힌 실리콘을 렌즈에 코팅하면
반사
돼 나오는 빛을 흩어놓는다. 이 렌즈로 만든 안경을 쓰고 사진을 찍으면 플래시를 터뜨려도 안경이 반짝이지 않는다 ... ...
휴전선 감시하는 군인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있다 또한 식물 · 미생물계에도 존재한다 뉴튼이 오목
반사
거울을 이용하여 고안한
반사
망원경의 한 형식 경사진 평면의 부경(副鏡)을 설치하여 초점을 경통(鏡筒)의 측면으로 도입하는 방식이다 방정식 f(x)=0의 해를 근사적으로 구하는 방법의 하나 물체의 운동에 관한 뉴튼의 기본적 법칙 제1법칙 ... ...
태권V 가볍고 튼튼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적의 레이더를 맞았을 때 레이더가 적을 향해
반사
되지 않고 포착하기 어려운 방향으로
반사
되도록 만들었다. 따라서 태권V의 몸체도 모서리가 없는 둥근 형태보다는 각진 형태로 만들어야 한다. 물론 이런 구조적인 문제도 전파흡수재료가 우수해지면 해결될 수 있다.구조적인 문제가 해결된 ... ...
USB 충전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보내고 그
반사
파를 포착하여 측정한다미국의 맥도널드 천문대에서는 1968년부터 270cm
반사
망원경을 레이저로 활용하여 거리 측정 관측을 하고 있다달 등의 전체가 수평선(지평선) 가까이 있을 때 천공(天空)에 있을 때보다 크게 보이는 현상 보통 전자는 후자의 3배 이상의 크기가 되는데, 태양의 ... ...
태풍 잡는 레이더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높아진다. 도플러 레이더에 설치된 컴퓨터는 이 진동수의 변화량을 읽어서 라디오파를
반사
한 물체 주위에 부는 바람의 방향과 속도를 계산한다.기상청에서는 1990년대부터 도플러 레이더를 사용했다. 여러 대의 도플러 레이더를 함께 사용하면 구름 내부의 3차원 속도를 파악할 수 있다. 도플러 ... ...
지구를 살리는 친환경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과학자들은 값이 싼 태양열 흡수막을 개발하거나, 열을 효율적으로모을 수 있는 접시형
반사
장치, 진공관형 온수장치 등을 만들었다. 그리하여 건물의 냉•난방에 사용하거나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태양빛을 전기로 바꾸는 발전기로 태양전지가 있다. 1954년 미국의 피어슨 등이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