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탕"(으)로 총 3,30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많이 투여한 쥐일수록 소금이 든 음식을 잘 먹지 못한다고 발표했다.이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바다와 가까운 지역이 많은 일본과 상대적으로 소금을 구하기 어려웠던 과거의 우리나라를 비교하며 고추를 이용해 소금 사용량을 줄이는 방법을 찾아낸 것이라는 견해를 내놨다. 실제로 김치에 ... ...
- 남극 빙하만이 문제가 아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밝혀졌답니다.미국 클라크대학교의 알렉스 가드너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위성 자료를 바탕으로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세계 곳곳에 있는 빙하가 어떻게 변했는지 조사했어요. 이 기간 동안 그린란드와 남극을 제외한 다른 지역 19군데의 빙하가 녹으며 매년 약 2억 6000만 톤이나 되는 물을 ... ...
- 수학으로 만든 화폐, 비트코인!수학동아 l2013년 12호
- 화폐 구조를 만든 최초의 수학 기반 화폐다.비트코인, 과연 미래 화폐로 사용될까?수학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안정적인 시스템에도 불구하고 아직 많은 사람들과 각 나라 정부에서는 비트코인을 금속 화폐와 종이 화폐의 뒤를 이을 미래 화폐로 받아들이지는 않고 있다. 비트코인 시스템에 대한 ... ...
- 소설, 수학을 삼키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수학 내용이 많이 등장한다. 세계 최초의 탐정 오귀스트 뒤팽을 등장시켜 수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사건을 해결하기도 하고, 수학자를 범인으로 등장시켜 자연스럽게 수학이야기를 풀어나가기도 한다. 때로는 암호를 등장시켜 수학의 재미를 느끼게 한다.예를 들면 에서는 주인공인 윌리엄 ... ...
- 70억 인류 정말 한가족일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일종의 ‘인간 조건’을 내세운 셈이지요. 그런데 문제가 벌어졌습니다. ‘조건’ 을 바탕으로 분류해봤더니, 호주의 원주민 등 상당수가 인류의 범주에서 제외됐던 것입니다. 다시 말해 사람이 아닌 거죠. 이들은 다른 종(또는 인종)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월포프 교수는 이런 생각에 반대하고 ...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열심히 공부해서 학문적으로 생명이 무엇인지 이해하길 원했고, 이런 학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응용하면 컴퓨터 시스템을 만들어서 자동으로 분석할 수 있는 것을 만들자고 생각했습니다. 그런 뒤 제약회사나 생명공학 회사를 만들어 실제로 항노화 약을 개발하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박 소장의 ... ...
-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단백질까지 밝혀냈다. 즉 쥐트호프는 셰크먼과 로드먼이 밝혀낸 운반소낭의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이런 과정이 가장 활발하고 정교하게 이뤄지는 신경세포에서 벌어지는 일을 구체적으로 밝혀낸 것이다(시냅스에서 신호전달은 1000분의 1초).보톡스가 노벨상 받은 단백질을 방해한다?이번 노벨 ... ...
- 초기 인류의 ‘족보’ 전면 수정되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큰 얼굴, 작은 두뇌 등 중요한 특징에서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이들이 한 종이며, 성별이나 나이 등에 따라 조금씩 달리 보이는 것뿐이라고 결론지었다.또 동아프리카에서 발견됐던 호모 에르가스테르나 호모 에렉투스 등 드마니시 화석과 비슷한 시기에 살았던 친척 ... ...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당연히 다양한 체험과 경험을 하게 되는데 그런 것들이 나중에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의 바탕이 됩니다.” 연구자는 최종 산물에 대해 고민할 수 있어야그가 생각하는 연구자에게 필요한 덕목은 뭘까. 정 교수는 자신이 불임연구할 때는 물론 줄기세포를 연구하면서 목표로 삼았던 것은 사람에게 ...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분야가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과학자인 이상엽 KAIST 교수가 이 기술을 바탕으로 대장균을 이용해 휘발유와 페놀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해 화제가 된 바 있다.결국 이 센터장은 같은 대학교 생물공학과에 진학해 석사과정을 공부하고, 졸업했다. 그 여세를 몰아 박사과정 유학을 떠났다.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