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공구
연장
용구
기계
계기
수단
d라이브러리
"
도구
"(으)로 총 2,136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1박2일’과 같은 오락프로그램에는 매번 술래를 정하는 상황이 등장한다. 이 때 아무런
도구
없이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가위바위보다. 언제 어디서든 가위바위보는 수 초 만에 승자를 결정해 준다. 결과는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공평하다. 가위바위보의 세가지 손모양에 담긴 완벽한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소금 창고였다. 박물관은 규모가 크진 않지만 볼거리는 많다. 과거 염전에서 쓰이던
도구
에서부터 소금과 관련된 다양한 속담까지, 소금이라는 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그중에서도 눈에 가장 먼저 들어오는 내용은 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소금의 다양한 쓰임새. 소금박물관에는 음식의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건 뭘까. 역시 카메라다. 아름다운 풍경을 오랫동안 간직하고 지인과 추억을 나누기 위한
도구
로 이만한 것이 없다. 육중한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DSLR)’든 손지갑 크기의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든 하나쯤은 손에 쥐고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이런 ‘정통 카메라’ ... ...
가상세계에서 과학실험 맛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동영상을 재생시키는 동안 중요한 내용이 나오면 마우스, 태블릿, 전자칠판 같은 입력
도구
를 사용해 보자. 이런 입력장치로 동영상 위에 글씨를 쓰면서 공부할 수 있다.과학 과목 가운데는 글과 그림만으로 설명하기 힘든 내용이 많다. 이때 디지털사이언스와 함께 공부하자. 내용을 쉽고 정확하게 ... ...
논술 준비는 기본개념 정리부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과학과 함께 공부해라. 수학에서 난이도가 높은 편인 미적분을 과학 문제를 푸는
도구
로 사용하는 문제들이 많이 출제되고 있다. 이 문제들은 변별력을 주기 위해 출제되고 있다. 상위권에 들기 위해서는 필히 준비해야 한다. 셋째 교과과정에서 배운 각 과목별 기본개념과 정의를 정확히 정리하라. ... ...
리튬이온전기 꽂고 전기차 시대 ‘스위치 온’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그을음을 찾아볼 수 없었다고 한다. 피라미드가 만들어진 시기는 기원전 2000년경. 조명
도구
라고는 횃불이 유일했던 시기였다.이 때문에 고대 이집트인들이 건설공사를 할 때 전기 램프를 사용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실제 이집트에는 전지의 원리를 사실과 상징을 섞어 묘사한 듯한 벽화가 있다. ... ...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 유치의 기적을 일구어 낸 수학자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그런데 물리학을 하려고 수학을 공부하다 보니 수학이 다시 보이더라고요. 물리학의
도구
로서가 아닌 수학만의 아름다운 세계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예를 들어 대수학에 갈루아 이론이라는 게 있는데, 이 이론을 사용하면 임의의 각을 작도로 3등분하는 게 불가능함을 증명할 수 있어요. ... ...
Part1. 면발 맛대결 기계 vs 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기다란 하얀 면들이 후드득하고 떨어졌다. 중국에서 온 슈리군 조리사의 손에 들린
도구
라고는 납작하고 손바닥만 한 스테인리스 칼뿐. 그는 물컹한 밀가루 반죽은 조금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듯 빠르고 깔끔하게 면을 깎아내 갔다. 이 면은 칼로 반죽을 도려내듯이 만든다고 해서 도삭면이라고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수천 년 전부터 대나무 등으로 만든 ‘산대’ 또는 ‘산가지’ 를 계산 보조
도구
로 이용했다. 막대를 가로 또는 세로로 놓으면서 숫자를 만들어 내고 계산하는 것이다. 아래와 같이 일, 백, 만 등의 자리에서는 세로로 놓은 산가지 하나가 1을 나타내고 가로로 놓은 산가지는 5를 나타낸다. 반면에 십 ... ...
수학으로 하늘의 뜻을 알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계산기나 컴퓨터가 없던 시절 천문 현상을 계산하는 관리들은 나뭇가지(산가지)와 같은
도구
를 이용해 연립방정식, 제곱근, 삼각함수 등을 계산했다. 또한 칠정산내편과 외편으로 각각 계산한 결과를 비교해 보며 계산이 정확한지를 확인했다. 훗날 칠정산은 오차가 너무 커져 새로운 역법인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