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위"(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산사태과학동아 l2011년 09호
-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 동안 일어난 산사태는 모두 7126ha(헥타르. 가로세로 100m 넓이 단위. 산사태는 하나의 산에서도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횟수가 아니라 면적을 기준으로 센다). 매년 평균 713ha의 산지에서 크고 작은 산사태가 일어났다. 이번에 우면산에서 일어난 산사태는 15곳 ...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1년 09호
- 같은 영역이 주변 하늘보다 더 깜깜하게 보이는 성운이다.암흑성운은 10~20K(절대온도 단위인 캘빈. 절대영도는 영하 273.15℃다)의 차가운 가스와 먼지로 이뤄진 성간물질이 고밀도로 존재하는 상태다. 따라서 그 너머에서 지구로 향하는 별빛의 대부분이 통과하지 못하므로 검은 얼룩처럼 보인다. ... ...
- 일반전형 논술, 추론과 창의력 중요과학동아 l2011년 09호
- 평가방식이 바뀌었다. 또한 글로벌리더전형은 논술고사를 실시하기는 하지만, 모집 단위가 인문사회계열로 국한돼 있어서 자연계열 학생들에게는 큰 의미가 없어졌다. 논술 비중 높은 일반전형 일반전형 내에서 각 전형 요소별 반영 비율은 우선 선발과 일반 선발에 따라 다르다(). 일반전형의 ... ...
- 무한도전팀도 몰랐던 조정의 수학수학동아 l2011년 09호
- 힘)을 모두 더한 값이다. 여기서 선수들의 힘은 모두 같고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단, 단위는 생략한다.M = sF+(s+x)(-F)+(s+2x)F+(s+3x)(-F) = -2xF < 0이때 s와 x, F가 모두 1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M은 -2가 된다. 이것은 노를 저을 때마다 2만큼의 힘이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작용해 배가 왔다갔다한다는 ...
- 통계 휘어잡기!수학동아 l2011년 09호
- 받아야 하는지 구하라’ 는 문제가 있다고 합시다. A라는 학생은 답을 쓸 때 기준이나 단위를 쓰지 않는 오답의 습관이 있었죠. 아니나 다를까 중간고사에서 정답을 ‘80점 이상’ 이라고 써야 하는데, 정말 힘든 계산 과정을 통해 답을 다 구해놓고 ‘80’ 이라고만 써서 틀린 거예요. 너무나 안타까운 ... ...
- PART 1 우사인 볼트보다 더 빨리수학동아 l2011년 08호
- 0.2초까지만 측정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그러다가 1929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0.1초 단위까지 측정하기 시작했답니다. 이때까지도 사람이 직접 수동시계를 이용해 기록을 측정했어요. 정확성을높이기 위해 세 사람이 각자의 시계로 기록을 쟀어요. 이들 중 두 사람이 측정한 기록이 같으면 그것이 ... ...
- Part 2. 건강기능식품 돈 값 못한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모든 연구가 그렇지만 건강기능식품의 연구도 설계에 따라 결과가 바뀔 수 있다. 세포 단위나 동물 실험에서 인정을 받거나, 적은 사람을 대상으로 연구했을 때 기능성이 있더라도, 더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인체실험을 하면 셀레늄처럼 결과가 뒤집히기도 한다.물론 홍삼이나 오메가3 같은 ... ...
- Part 2. 미세조류, CO2 먹고 바이오디젤 내놓는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부작용을 낳고 있다.같은 넓이 땅에서 콩의 130배 생산“이런 작물에 비하면 미세조류는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훨씬 많고 농업에 영향을 주지도 않습니다. 또 이산화탄소를 능동적으로 소모할 수 있지요.”오 본부장의 말처럼 미세조류의 연료 생산량은 1만m2당 5만 8700L로 446L에 불과한 콩의 130배에 ...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과학동아 l2011년 08호
- icosahedral) 대칭을 각각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바이러스 입자를 구성하는 소단위 단백질의 구조에 따라 결정된다.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성이 가능한데 기사의 내용에서 보다시피 온도 즉 열에 의한 구조변화와 그리고 pH 즉 산, 염기에 의한 영향에 크게 의존한다. 한편 ... ...
- Intro. 녹색 황금 캐는 미세조류 농장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얻는 바이오연료가 주목받고 있다. ‘3세대 바이오연료’로도 불리는 조류 바이오연료는 단위 면적당 생산량 뿐 아니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비율도 다른 바이오연료보다 훨씬 높다. 조류 바이오연료가 ‘녹색 황금’으로 불리는 이유다. 먼저 조류란 무엇인가를 알아보고 국내 조류 바이오연료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