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 속 동물 찾기] 수탉이 나타났다?! 닭의장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수탉이 나타났다?! 수탉의 볏과 부리 밑에 늘어져 있는 육수까지
꼭
닮은 이 식물은 ‘닭의장풀’이에요. 여름철 풀밭이나 개울가 등 습한 곳을 지나다 보면 파란색 귀를 쫑긋 세운 것 같은 닭의장풀을 만날 수 있지요. 이 파란색 꽃 모양이 닭볏과 육수를 닮았다고 해서 이름이 붙었답니다. 지역에 ... ...
[Future] 걸음을 선물하는 제2의 다리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뼈와 완전히 하나가 된다. 이 볼트를 소켓 내부의 너트에 돌려 끼우면 의족이 다리에
꼭
맞게 끼워진다.용도에 맞게 특수 제작된 의족도 출시되고 있다. 스프린터를 위한 의족이나 등산이나 골프에 적합한 의족, 농구를 하기에 적합한 의족등이다. 이들은 걸음걸이에 맞춰 자동으로 무릎의 각도가 ... ...
마음의 소리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활용했다. 수치가 비슷한 두 얼굴을 찾아내는 수학 방정식을 만들어 분석한 결과 자신과
꼭
닮은 도플갱어를 만날 확률이 1조 분의 1이라고 밝혔다.그렇다면 실제로 도플갱어를 만나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그런데 1조 분의 1이라는 확률을 뚫고 비행기에서 만난 사람도 있다. 어쩌면 우리에게도 ... ...
[가상인터뷰] 해마 유전체 완전 해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싶은 마음에 말을 걸었는데, 바위 뒤로 쏙 숨어버리더라고~. 이번에는 놓치지 말고
꼭
만나 봐야지!안녕, 해마야! 자기소개를 부탁해!안녕하세요? 저는 말을 닮은 독특한 생김새를 갖고 있어요. 그래서 ‘바다 해(海)’와 ‘말 마(馬)’를 써서 ‘해마(海馬)’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답니다.우리의 몸 ... ...
[2017 모집] 지구사랑탐사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된답니다.생물종을 탐사한 기록을 공유하기 위해 스마트폰과 어린이과학동아 앱이
꼭
필요해요. 총 6중 중 3종 이상의 생물종 탐사를 수료하면 수료식에서 생명다양성재단의 인증서를 받을 수 있답니다.Q 정기구독자만 신청할 수 있나요?정기구독자가 아니라도 지사탐 신청은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파부르야, 힘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따뜻한 마음을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이랍니다.“친구들아, 정말 고마워! 다음 대결에서는
꼭
힘내서 멋진 모습보여 줄게!”오로라는 파부르의 어깨를 토닥였어요. 시원이는 엄지를 척! 들었답니다.“그런데 다음 대결 주제는 뭘까?”친구들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을 때 누군가 갑자기 문을 벌컥 열면서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수달연구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올려 놓으며 계속해서 장난을 걸기도 했지요. 그런데 인국이처럼 사람을 잘 따르는 것이
꼭
좋은 것만은 아니라고 해요.“사람과 친해지면 나중에 야생으로 돌아갔을 때 사람에게 피해를 입을 수 있어요. 그래서 사람과 친해지지 못하도록 밖에서 긴 파이프를 이용해 먹이를 주는 수달도 있지요.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스스로 움직이는 인형 ‘오토마타’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만들어 보자! 움직이는 자동인형, 오토마타오토마타는 ‘스스로 동작하다’라는 뜻의 고대 라틴어에 어원을 두고 있어요. 말 그대로 스스로 움직이는 자동 로봇이죠. ... 응용해 하트와 별 등 다양한 모양을 그릴 수 있답니다. 내가 만드는 메이커 스쿨 내 손으로
꼭
완성할 거예요 ... ...
Part 4. 암흑물질, 버리거나 취하거나?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일어나는 현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가 어렵다. 즉, 우주거대구조에서 암흑물질은
꼭
필요해진다.거대 규모에서 암흑물질의 존재를 암시하는 관측 증거는 여럿 있다. 가장 유명한 사례가 2006년 허블우주망원경과 찬드라 X선 위성이 관측한 총알 은하단이다. 이 은하단은 최근에 고속 충돌을 겪은 두 ... ...
[Career] 오뚜기 같은 도시를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동료의식이 커 연구에 필요한 자질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죠. 한국에서
꼭
학생들을 가르쳐보고 싶다는 생각에 과감하게 한국 행을 결정했습니다.”복원력이 강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노력들그가 한국에 와서 시작한 연구는 박사 시절부터 관심을 가졌던 구조 신뢰성 연구 중에서도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