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즌
시절
철
절기
사철
절후
시기
d라이브러리
"
계절
"(으)로 총 1,17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람의 과학 그 천태만상의 해부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영향으로 한냉건조한 북풍이 휘몰아쳐 매우 춥다. 아시아지역 외에도 세계 각지에
계절
풍이 존재한다.산풍, 곡풍/비맞은 산행길산 밑에서는 맑은 날씨였는데 산 정상에 오르면 갑자기 구름이 몰려오고 천둥번개와 함께 소나기가 내린다. 흠뻑 젖은 몸으로 산을 내려왔을땐 다시 아무일도 없었다는 ... ...
무더위와 피부관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있다.광선차단제를 선택할 경우, 개개인의 피부특성 일광욕기간 기후 태양광선의 강도
계절
습도 바람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 자외선차단제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반응 여부, 주성분의 농도 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특히 혈압약이나 이뇨제 등을 복용하는 사람은 파바(PABA)가 주성분인 ... ...
기이한 거인상과 암벽화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들면 ‘스톤 헨지’에 살던 고대인들은 태양과 달의 운행을 관측했다는 흔적이 있고
계절
의 변화와 1년의 추이도 측정했음을 알수 있다. 그것은 신석기시대인의 생존에 이런 관측이 중요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천문학이 문명의 기원과 함께 시작되었다는것은 고대인의 생활에 천문관측 지식이 ... ...
해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한 방사선 모양이 된다.그런데 오목해시계는 시반이 조금 복잡하다. 시각선뿐만 아니고
계절
선이 있는 것이다. 즉 동지에서 하지에 이르는 24절기를 13선의 위선(緯線)으로 나타내어 절기를 알게 했다. 동지 때는 태양의 일중고도가 제일 낮으니까 해그림자는 가장 길어진다. 반대로 하지 때는 ... ...
에너지를 담는 수소저장합금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방출되는 반응열을, 냉방을 목적으로 할 때는 흡수되는 반응열을 이용한다. 따라서 사
계절
이 뚜렷한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하나의 장치로 냉방 및 난방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이는 프레온가스를 압축 또는 팽창시켜 발생한 기화열을 이용하는 에어콘, 즉 기계적 ... ...
여름철 피부보호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제한적이다. 태양으로부터 유래한 자외선에 비해 선량(線量)이 극히 미미하기 때문이다.
계절
이나 구름의 형성 여부도 자외선의 양에 영향을 미친다. 대체로 봄과 여름이 자외선의 극성기다. 구름은 자외선을 일부 막아준다. 그러나 구름이 자외선을 걸러내는 능력은 대단하지 않다. 구름의 밀도가 ... ...
「흥수아이」를 통해 살펴본 한반도의 구석기 인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주로 동굴에서 살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1년 내내 동굴에 살았는지 아니면
계절
에 따라 거주지를 옮겼는지는 불확실하다. 발굴된 사슴뼈로 보아 4~7월 사이에는 거의 잡힌 사슴이 없다는 사실에서 따뜻한 여름에는 동굴을 떠나 여기저기 이동했을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제2굴'에서 불을 ... ...
오랜 전쟁에 시달리다 통일된 나라 베트남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대리석의 산'에서 바라보는 전망은 다른 곳의 경관에 비기기 어렵다. 바다쪽을 보면 몬순
계절
에는 육지와 바다가 잘 구별되지 않는다. 산쪽은 안남산맥의 나무가 많은 산들이 아름답고 남서쪽은 산악민족 모이족이 거주하는 고원이다. 남쪽을 바라보면 앗토프와 플레이크가 보이고 더 멀리는 ... ...
춥고 낯선 땅에서 오히려 번성 남극주변에 실려온 북반구의 고양이·토끼·쥐·순록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옮겨지면서 기대하지 않은 혜택을 받기도 했는데 이것은 순록을 괴롭히는 기생충이
계절
변화에 적응못해 죽어버린 것이다.토끼는 남극주변 여러섬에 살고 있는데 쥐처럼 많이 먹는데다 이곳의 식물종이 많지 않아 걱정거리가 되고 있다. 한때 남아프리카에서는 토끼전염병을 전파시켜 숫자를 ... ...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농사에 큰 영향을 줄 것이다. 더욱이 이런 해충들은 높은 기온하에서는 작물의 한 성장
계절
에 2번의 생활주기를 마칠 수 있다. 따라서 작물중에는 두번이나 피해를 보는 것도 있을 것이다.뿐만아니라 온실효과에 의해 파충류의 성비가 빗나가게 될지도 모른다. 높은 기온에서는 도마뱀과 악어는 대개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