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전
움직임
이사
운동
양도
전위
전임
d라이브러리
"
이동
"(으)로 총 3,84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02
시료 안의 단백질이
이동
해 하나씩 분리된다. 각 단백질은 산성도(pH)와 분자크기가 달라
이동
속도에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2. 연세프로테옴연구원은 국내 최대 프로테오믹스 교육 기관이기도 하다. 최신 프로테오믹스 기법을 설명하는 워크숍을 현재까지 30여 차례 개최했다.3. 시료에서 분리한 ... ...
새 패러다임 여는
이동
통신 기술
과학동아
l
201102
급변할 것이다. 필자는 현재 차세대
이동
통신 표준인 LTE용 단말 칩을 개발하고 있다.
이동
통신 산업의 핵심인 단말 칩은 10여 년 이상 해외 독점 기업에 고액을 지불해야만 했던 제품이다. 그래서 단말 칩의 국산화는 우리나라의 숙원 사업이었다. 오랜 시간 노력한 덕분에 이제 그 꿈의 실현이 얼마 ... ...
이동
통신공학
과학동아
l
201102
휴대전화는 생활 속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다. 최근 스마트폰이 보급되며 우리 삶을 또 한번 바꿔놓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주도한 ‘
이동
... 재학 중이다. 인류의 삶에 변화를 가져오고 새로운 문화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다면
이동
통신공학을 공부해볼 것을 권한다. ... ...
통합과학 논술 - 수분 포텐셜이 일어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02
오른쪽에 0.1M의 설탕을 녹이면 용질 포텐셜은 -0.23MPa이 돼 물분자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
한다. 하지만 0.23MPa에 해당하는 압력을 오른쪽에 걸어주면 결국 수분 포텐셜은 0이 돼 순수한 물의 출입은 없게 된다. (다) 식물은 잎 뒷면의 기공을 통해 기체교환을 한다. 식물의 기공은 공변세포로 ... ...
금성과 달의 모양 변화
과학동아
l
201102
따라서 처음에 관측된 달의 위상을 다시 보기 위해서는 지구가
이동
한 거리만큼 달도 더
이동
해야 하므로 삭망월은 달의 실제 공전 주기가 아니다. 별은 태양보다 멀리 떨어져 있어 그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수 있으므로, 별을 이용하면 달이 지구 주위를 한 바퀴 돈 실제 공전 주기를 알 수 ... ...
100m를 단번에 오르는 에스컬레이터
수학동아
l
201102
에스컬레이터가 한 시간에 6000명을
이동
시키는 데 반해 나선형 에스컬레이터는 2만 명을
이동
시킬 수 있다.나선형 에스컬레이터는 이번에 처음 제안된 건 아니다. 하지만 데이비드가 선보인 에스컬레이터는 세계 최초로 연속 나선형 방식으로 이뤄졌다. 지금까지 제안된 나선형 에스컬레이터는 일정 ... ...
Part 1. 실수가 승부를 가른 고누
수학동아
l
201102
수가 말을 놓는 바둑 같은 놀이보다 작다. 하지만 놀이를 계속하면 같은 경로를 여러 번
이동
하거나 모든 모양을 한 번씩 만들 수 있어 실질적인 경우의 수는 더 많이 나타날 수 있다. 호박고누는 경우의 수보다는 말이 만드는 다양한 모양과 이 중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모양을 빨리 찾는 게 중요하다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
수학동아
l
201102
뒷밭에서 대각선으로 나는 경로와 앞밭에서 쨀밭을 거쳐 나는 경로는 모두 17칸을
이동
하면 된다. 외곽을 따라 가장 길게 도는 마지막 경로는 21칸을 움직여야 난다. 그렇다면 4명이 한 경기를 하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 1번 던지고 말을 움직이는데 평균 20초가 걸린다고 생각하면 4명일경우 4명×2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02
‘길 위에서’의 주인공은 네 차례에 걸쳐 미국 전역을 여행하는데, 고속도로를 따라
이동
했기 때문에 그의 여행 궤적 역시 자로 그은 듯 반듯한 바둑판 모양이다.“하지만 전국의 고속버스 시간표를 모아 데이터 분석을 해 보니 전혀 얘기가 달라지더군요.”도시를 점으로 표시하고 그 사이를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02
바로 흡수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농도가 낮아 열역학적으로 어렵고 흡수한 공기를
이동
시키려면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캐나다 캘거리대 기후변화 과학자인 데이비드 키이스 교수팀은 공기에서 직접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연구에 몰두해 상업화에 가까운 기술을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