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d라이브러리
"
먹이
"(으)로 총 1,616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과학에 뿌리 둔 관심법 심리학
과학동아
l
200111
통해 밝혀졌다. 연구자들은 시상하부의 특정 부위를 파괴하자 쥐들이 며칠째 굶어도
먹이
를 먹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바로 인접부위를 파괴하자 이번에는 배가 터지는 것도 모르고 계속 먹는다는 사실을 발견해 바로 시상하부의 이 부위들이 인간이나 동물에게 있어 배고픔과 포만감을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생리·의학 - 특정 질병에 특정 치료법, 최초이자 최고
과학동아
l
200111
환경 내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는 점이 문제였는데, 이것이 곤충의 몸에 축적돼 있다가
먹이
사슬을 통해 생태계 전역으로 퍼져나가 자연계의 모든 동식물에 영향을 주어 생태계를 파괴시킨 것이다. 이 사실이 알려진 뒤 미국 정부는 1972년부터 DDT 사용을 금지했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제3세계 ... ...
잃어버린 기억을 몸에 새기다 메멘토
과학동아
l
200111
깨서 뇌를 꺼내먹는 잔인함을 보인다. 뇌를 요리해 자신뿐 아니라 FBI 요원 본인에게도
먹이
는 장면은 한니발의 잔인성을 유감 없이 드러내는 대목이다.그러면서 친철하게(?) 설명한다. 뇌에는 신경이 없어서 이렇게 뜯어내도 고통을 느끼지 못한다고. 물론 여기까지는 맞는 말이다. 그러면서 뇌의 ... ...
식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10
취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더욱 놀라운 것은 이 식물들은 항상 손익계산을 따져본 후
먹이
를 사냥한다는 사실이다. 즉 이들은 소화액을 분비하는데 드는 경비를 상회할 때만 곤충을 잡아먹는다.소화액 분비에도 계산이 숨어있다파리지옥풀은 두개의 좁고 두툼한 잎이 양쪽으로 갈라져 있고, ... ...
공룡이론의 격전장 쥬라기공원3
과학동아
l
200109
감독은 2편부터 자문 과학자를 호너 교수로 바꾼 것에 그치지 않고 바커 박사를 공룡의
먹이
감으로 만들고 만다.쥬라기공원2를 보면 인젠사(쥬라기공원을 만든 회사)가 파견한 사냥꾼 집단에 청바지 차림의 긴 파마머리 공룡학자가 등장한다. 이 사람이 바로 바커 박사를 본뜬 인물이다. 영화 속에서 ... ...
3D 애니메이션이 탄생시킨 시험관아기
과학동아
l
200108
전쟁을 벌인다. 하루가 다르게 지구는 황폐해져가고 수천만명의 인간들이 에일리언들의
먹이
가 된다.이에 살아남은 소수의 인간은 조직적인 저항을 위해 첨단 장비와 강력한 무기를 가진 소규모의 레지스탕즈 ‘DEEP EYES’를 만들고, 과거의 전쟁영웅 그레이를 캡틴으로 보이지 않는 적과 맞서기 ... ...
8월 혹한 이겨내는 남극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08
겨울은 중요한 시기다. 남극에 봄이 찾아오면 암컷은 새끼를 낳으므로 겨울에
먹이
를 많이 먹어 건강한 새끼를 낳을 준비를 해야 한다. 수컷은 봄에 있을 암컷을 차지하기 위한 치열한 싸움을 대비한다. 겨울 동안 많이 먹어 힘을 기르는 일이 중요하다는 얘기다.여름에 상당히 많이 나타나는 고래도 ... ...
장마철 CD 주의 요망
과학동아
l
200107
보호하기 위해 코팅된 이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의 구성성분인 탄소와 질소가 이 균의
먹이
라는 것.연구팀은 그동안 폴리카보네이트가 상대적으로 잘 파괴되지 않는 재료로 여겨져 왔기 때문에 이번 발견은 놀라운 일이라고 설명했다. 또 연구팀은 필요없게 된 CD를 모아 실험한 결과 이 균이 ... ...
진화의 일등공신 엄지손가락 제2의 뇌 손의 신비
과학동아
l
200107
엄지손가락과 같은 손목뼈 구조가 더해져 있다(그림1). 팬더는 이런 손가락 구조 덕분에
먹이
인 대나무 잎을 쉽게 붙잡을 수 있다.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팬더의 엄지손가락 역할을 하는 손목뼈가 하나의 손가락으로 진화하지 않았다는 것. 하야스는 그 이유를 “다섯개 이상의 손가락이 적합하지 ... ...
자신을 가두는 반복의 굴레 -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과학동아
l
200107
박사가 제기한 이론으로 ‘2단계 학습 이론’이다. ‘파블로프의 개 실험’(개에게
먹이
를 주면서 종을 치면 나중에는 종소리만 들어도 개가 침을 흘리게 된다는 실험)으로 잘 알려진 고전적인 조건반사형성 외에 ‘조작적 조건형성’이 있다.미국의 행동주의 심리학자 스키너는 비둘기를 상자 안에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