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중"(으)로 총 8,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국어'보다 '영어'에 더 정성인 사회2024.06.19
- 학교 현장을 초토화시켜 버렸다. 학생의 선택권을 보장해 준다는 신자유주의식 수요자 중심 교육철학도 공교육 붕괴를 가속하는 원인이었다. 그러나 제7차 교육과정이 본격적인 학력저하를 촉발하는 가장 직접적인 기폭제가 되었다.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여줌으로써 창의성을 길러준다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의 생각이 무조건 옳다고 주장하는 사람들2024.06.15
- 내야 하는 상황이 생기면 (본인이 틀린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자신을 싫어해서 또는 존중하지 않아서' 자신의 의견에 동조하지 않는 거라고 생각하는 것을 보고 당황했던 적도 있다. 최근 펜실베이니아대의 지잉 렌의 연구에 의하면 사람들은 자신의 의견이 부정당하면 자신이 틀린 것이 아니라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동해 유전, 화려한 말잔치보다 진정한 설득이 필요2024.06.05
- 정책은 국가의 명운이 걸려있는 중차대한 일이다. 그런 일에 대한 대통령의 관심은 매우 중요한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고 대통령이 모든 일에 직접 나서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산업부가 시추 계획을 실무적으로 발표하고 대통령이 관심을 표현하는 방법도 가능했을 것이다. 이번에는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2024.06.02
- 일한 후 2014년부터 의학교육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경쟁력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데 열중하고 있다. 평소 강연과 집필을 통해 의학과 과학이 결코 어려운 학문이 아니라 우리 곁에 있는 가까운 학문이자 융합적 사고가 필요한 학문임을 소개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저서로 『감염병과 ...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폐, 양극성 장애 비밀 품은 세포·유전자 밝힌다동아사이언스 l2024.05.26
- 유형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사이언스에 게재된 다른 연구 중 하나에서 미국 예일대 연구팀이 신경학적 질환이 없는 사람과 신경퇴행성 장애 등이 있는 환자의 뇌 전두피질 단일세포 염기서열을 모아 분석한 연구다. 388명의 뇌를 기반으로 상세한 유전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 돌아올 수 없는 다리 건너나2024.05.22
- 것이 바로 보건복지부였다. 실습용 카데바와 무자격 외국인 의사를 외국에서 수입하고, 중증 환자를 전세기에 태워서 외국 병원으로 이송하겠다는 보건복지부는 바닥부터 개혁해야 한다. 결국 어설픈 의대 증원은 내년으로 미룰 수밖에 없다.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명망있는 의사들로 ... ...
- [표지로 읽는 과학] 화석연료 없는 미래의 정유소동아사이언스 l2024.05.11
- 네이처 제공 정유소는 석유 등 화석 연료를 처리해 에너지원과 기능성 화학 물질, 플라스틱의 기초 재료를 생산한다. 휘발유와 경유 등 운송 수단의 연료와 플라스틱, 섬유, ... 과학과 기술에 초점을 맞춰 왔지만 필요한 전환을 실현하려면 대중과 정치권의 참여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친구 추천'으로 정보 효과적 전파동아사이언스 l2024.05.05
- 역설(Friendship Paradox)을 토대로 한 알고리즘이다. 연구 대상이었던 온두라스의 마을 중 하나의 전경. Edoardo M. Airoldi & Nicholas A. Christakis 제공 온두라스 서부 고지대에 있는 고립된 마을 176개에서 2만4702명을 대상으로 실험이 진행됐다. 연구팀은 마을에서 무작위로 사람 또는 가구를 고르고 이들의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통증 줄이는 마취제 250년 전부터 나왔다2024.04.28
- 일한 후 2014년부터 의학교육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경쟁력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데 열중하고 있다. 평소 강연과 집필을 통해 의학과 과학이 결코 어려운 학문이 아니라 우리 곁에 있는 가까운 학문이자 융합적 사고가 필요한 학문임을 소개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저서로 『감염병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외로움을 해소해야 하는 이유2024.04.27
- 사람들이 많다면 공공보건의 측면에서도 외로움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활발히 하는 것이 중요할지 모른다. Hawkley, L. C., & Cacioppo, J. T. (2010). Loneliness matter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review of consequences and mechanisms.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40(2), 218-227. Stickley, A., & Koyanagi, A. (2016). Loneliness, common mental disorders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