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잔뜩"(으)로 총 1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받는 기쁨보다 주는 기쁨이 더 오래간다2018.12.22
- 선뜻 사지 못했을, 또 사고 나서도 괜히 죄책감을 느꼈을 품목들을 ‘친구를 위해서’ 잔뜩 살수 있었다. 종이 가방을 가득 채운 아름다운 빵의 모습을 보며 흐뭇했다. 고마워하는 친구에게 내가 사고 싶어서 샀다고 핑계를 마련해 줘서 고맙다고 이야기 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누군가를 위해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고생은 과연 인간을 성장시킬까2018.12.15
- 버스로 올라오는 마추픽추가 마추픽추냐 뒷동산이지'라며 꼰대 같은 말을 속으로 잔뜩 내뱉고 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누가 강요한 것도 아니고 순전히 내가 원해서 한 고생을 왜 억울해 하고 애꿎은 ‘남들’에게 화를 내고 있었던 건지 알 수가 없다. 한편으론 자신이 ‘원해서’ 한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2018.08.17
- 바로 흥부처럼 제비를 구하기 위해 앞장서는 정다미 연구원이다. 새에 대한 사랑이 잔뜩 묻어 있는 꾸룩새연구소에서 정다미 연구원의 이야기를 들어 봤다. ☞제비연구기 WildToon 바로가기 정다미 연구원(꾸룩새연구소 소장,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연구원) 수리부엉이는 내가 지킨다! “어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2018.08.07
-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열생성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는 뜻이기도 하다. 가끔 마황이 잔뜩 들어간 ‘살 빼는 약’이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는데, 정작 절실한 뚱뚱한 사람의 경우 약효는 별로 보지 못하면서 부작용만 겪을 가능성이 크다는 말이다. 저온 노출 등의 자극으로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 주머니여우, 반지꼬리주머니쥐도 유칼립투스 잎을 즐겨 먹는다). 잎에 독이 잔뜩 들어있기 때문이다. 사실 코알라처럼 순하고 연약한 동물이 지금까지 살아남은 건 키가 큰 나무인 유칼립투스에 살면서 천적을 피하고 동시에 아무도 먹지 않아 경쟁이 없는 유칼립투스 잎을 먹이로 삼았기 때문이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삶이 허무하게 느껴질 때2018.06.23
- 대니얼 길버트 역시 사람들은 '편해지면' 행복해질 거라 생각하지만, 우리는 무언가에 잔뜩 빠져 마음이 움직이고 있을 때 행복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의미감의 반대는 ‘무관심’일지도 모르겠다. 특히 봉사 활동의 경우 꾸준히 사람들을 만나게 해준다는 점에서 외로움을 줄여줄 뿐 아니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이 독재하는 나라2018.04.07
- 낮은 자존감이 각종 비행과 공격성의 원인이 된다는 증거는 희박하며, 오히려 근거 없이 잔뜩 부풀려져 있는 높은 자존감이 더 위험하다고 본다(Baumeister et al., 2003). 부풀려진 풍선일수록 작은 충격에도 뻥 하고 터져버리는 것처럼 말이다. 따라서 자신이 추구하는 자존감의 내용과 현실 사이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방의 의도를 공격하는 이유2018.03.24
- B씨 중 사람들은 후자에게 더 큰 호감을 갖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바람직한 특징들을 잔뜩 가지고 있어도 적어도 자신에게 있어 차가운 사람이라면 이 사람은 결국 나쁜 사람이라고 판단하는 경향을 보인다 (Fiske, 2004). 사람에 대한 판단이 기본적으로 (나에게) 따듯하냐 아니냐에 의해 좌우되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2018.01.23
- 성공했다. 연구자들은 이렇게 찾은 쪽의 당전이효소를 대장균에 집어넣었다. 트립토판이 잔뜩 들어있는 배지에서 이 대장균을 배양시키자 배당체인 인디칸을 만들어냈다. 한편 또 다른 대장균에는 박테리아 바실러스(Bacillus circulans)의 배당체가수분해효소(BglA) 유전자를 집어넣었다. 즉 대장균 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2017.08.08
-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몸통이 훨씬 큰 이유도 이처럼 영양밀도가 낮은 음식을 잔뜩 먹어야하기 때문이다. 미국 하버드대의 영장류학자 리처드 랭엄은 2009년 펴낸 책 ‘요리 본능’에서 침팬지가 즐겨 먹는 열매나 씨앗, 잎을 먹어본 경험을 들려준다. 예를 들어 침팬지가 너무나 맛있게 먹는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