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임의"(으)로 총 113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2017.06.20
- 대략 60만 년 전에 갈라진 것으로 나왔기 때문이다. 물론 게놈에서 일어나는 DNA 염기의 임의 돌연변이 속도를 특정한 값으로 놓고 산출한 결과이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추정일 뿐이다. 아무튼 이에 따르면 60만 년 전에서 20만 년 전 사이 호모 사피엔스가 등장했다는 말이다. 이런 중에 30만 년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2017.01.02
- 생기면 기형 개체들이 나오는데, 린드퀴스트는 여기에 어떤 패턴이 있음을 간파했다. 즉 임의의 돌연변이가 아니라 이미 존재했던 변이가 드러난 것처럼 보였다. 린드퀴스트는 문헌을 조사했고 영국의 저명한 생물학자인 콘라드 와딩턴(Conrad Waddington)이 1942년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기술한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2016.12.29
- 2008년 하버드대 연구진들은 생쥐의 뉴런에서 녹색, 빨간색, 청색 형광단백질 유전자가 임의로 발현하게 만든 브레인보우(brainbow) 기술로 개별 뉴런을 뚜렷하게 식별할 수 있게 했다. - 네이처 제공 1960년대 미국 우즈홀해양생물연구소의 시모무라 오사무 박사가 해파리에서 발견한 GFP는 푸른빛이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2016.12.05
- 늘어나거나 렘수면만 짧아져 일본 쓰쿠바대와 미국 텍사스대 등 공동연구자들은 생쥐에 임의의 돌연변이를 일으켜 수면 패턴에 이상을 보이는 개체를 찾아 분석한 결과 수면 시간에 관여하는 유전자와 렘수면 시간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았다고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DNA 염기에 변이를 일이키는 ... ...
- ‘국민연금’ 경력단절여성(경단녀)도 추후납부제도 활용할 수 있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7.13
- ‘추후납부’를 하면 20년간 노령연금으로 얼마나 수령하게 될까? 박 씨가 2016년에 임의가입해 9만 원(※100만 원의 소득을 선택한 경우 보험료)의 보험료를 선택했고, 7년(84개월)을 추후납부 기간으로 정해 총 756만 원을 국민연금공단에 냈다고 가정하자. 또한 박 씨는 2009년부터 2011년도까지 ...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2016.01.11
- 결국 데이터 재해석과 이를 뒷받침하는 다른 연구결과들을 고려할 때 암 발생에서 임의의 돌연변이, 즉 불운이 원인일 경우는 10% 미만일 것이라는 게 저자들의 결론이다. 암에 대처하는데 예방이 여전히 중요한 전략이라는 말이다. 귀가 몹시 얇은 필자는 지난해 논문을 보면서 무릎을 쳤지만 ... ...
- 연말정산, 올해 달라진 점은?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1.04
- 보험료를 모두 내기에 전액 공제받을 수 있다. 의무가입 대상이 아니지만, 국민연금에 임의 가입한 아내 등 배우자를 대신해 낸 보험료도 공제받을 수 없다. 그렇지만 실직 등으로 납부 예외를 신청해 보험료를 내지 않은 기간의 보험료를 추가로 내거나 미납기간의 보험료를 내면 납부연도를 ... ...
- '사교위상수학과 플로어 상동성' 분야의 기본 교과서 출간IBS l2015.11.17
- 도넛의 차이점을 수학적으로 구별하는 기본적 방법을 제시한다. 한 예로, 구면 위에 있는 임의의 원은 연속적으로 줄여서 한 점으로 만들 수 있지만, 도넛 위에서 구멍을 한 바퀴 도는 원은 이렇게 할 수 없다. 이런 구멍의 존재가 상동성의 원소로 기록된다. 오 단장의 설명에 따르면, 플로어 ... ...
- 여섯 번째 DNA염기 존재하나?2015.06.29
- 먼저 상대적으로 6mA의 빈도가 높은 클라미도모나스의 결과를 보면 이 염기가 게놈 위에 임의로 분포하는 게 아니라 프로모터 영역에서 밀도가 높은 걸로 나왔다. 프로모터는 보통 아미노산을 지정하는 부분 앞에 있는 영역으로, 이 부분에 전사인자 같은 단백질이 붙으면 전사가 일어난다. 따라서 ... ...
- 전화위복의 계기가 된 스리마일 원자력발전소 사고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4.15
- 한꺼번에 켜지기 시작했다. 여기서 또 한 번 문제가 발생하는데, 경고 신호들을 운전원이 임의로 끌 수 없었을 뿐 아니라, 한 눈에 파악하기 어렵도록 복잡하게 배치된 계기판 탓에 운전원들도 상황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제대로 알기 어려웠다. 당시 운전원이 청문회에서 증언한 바로는 ‘계기판 ... ...
이전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