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스페셜
"
연구실
"(으)로 총 102건 검색되었습니다.
“BT 기초연구 튼튼해야 상용화도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8.10
때가 가장 막막했다”고 말했다. 실제 그가 처음 교수가 됐을 때 주어진 것은 20평 남짓한
연구실
과 연구비로 나온 200만 원이 전부였다. 그런 그가 올해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을 수상할 정도로 '거물'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뭘까. 오 교수는 “국가가 주도하는 대규모 R&D 사업 때문”이라고 공을 ... ...
“해외 식물 10만종 모으는 게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10.07.28
20개 국가와 협력을 맺어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내일 퇴임한다고 하면 오늘까지
연구실
에서 연구하고 싶은, 평범한 연구원이 꿈”이던 그는 다시 연구원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했다. 인공 씨감자로 유명세를 타면서 사업단을 맡게 됐지만 잠시 손을 놓았던 본래의 모습, ‘감자 박사’로 ... ...
“신약 개발, 미국의 위기가 한국의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10.05.20
화합물 의약품개발팀장 1995~1996년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방문 과학자 1998~1999년 국가지정
연구실
고속약효평가 연구책임자 1999~2000년 LG화학 암그룹장 2001~2007년 LG생명과학 상무이사 2005~2007년 지식경제부 바이오스타 당뇨병치료제 연구책임자 2007~2008년 한국화학연구원 항암제 센터장 2008년 (현 ... ...
“독불장군은 없다… 연계형 연구개발 시대 앞당겨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4.14
위촉교수 1993년 KIST 유전공학연구소 책임연구원 2001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환경생물소재
연구실
실장 2002년 (현)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단장 2003~2004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BT심층분석평가자문회 위원 2005년 (현)한국과학기술한림원 농수산학부 정회원 2008년 (현 ... ...
“부임 첫 해 5000만원 빚내 연구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13
그나마도 2년에 한 번마다 뽑을 수 있죠. 우리
연구실
에 오고 싶다는 나머지 1명에겐 다른
연구실
을 알아봐주고 있습니다. 문제가 있지 않나요?” 기초연구도 성과주의로 판단하면 안 돼 너무 성과주의에 빠져 있다는 날선 지적도 나왔다. 응용연구도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했을 때 성과를 낼 수 ... ...
“한국을 역분화 줄기세포 중심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09.09.14
9~2003년: 충남대 농과대학 동물자원과학부 겸임교수 및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동물발생공학
연구실
실장 2003년: 로얀국제학술상 최우수상 수상 2006년: 생명연 전략연구본부 본부장 2006~ 현재: KAIST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교수 -------------------------------------------------------------------------------- ※ 이 ... ...
“효율적인 연구인력 관리가 성과의 지름길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09.08.18
하지요. 좋은 정책이 우수한 인력을 만든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정종경 교수가
연구실
학생들과 토론하고 있다. 정 교수는 정부가 대학원, 박사후연구과정 학생들의 국내 유치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진 제공 KAIST 안정적 연구비 확보 아쉬워, 과학자 위한 지속적인 ... ...
0원하던 기술이전료 100억 만든 사나이
동아사이언스
l
2009.07.28
하지만 정부부처에서 직접 연구과제를 수탁하는 경우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대학의
연구실
과 기업 등에서 국가 연구개발 사업비를 골고루 나눠가진다. 공공연구기과에 소속된 과학자라도 이런 수탁과제를 취득해 가면 독립적으로 연구를 진행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연구과제들을 도맡아, ... ...
“신약 개발 성공하려면 변리사부터 뽑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09.06.16
있다. 신 박사도 이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순수 기초연구를 하는 대학
연구실
보다는 산업화 쪽에 초점을 두고 있는 정부출연연구기관부터 이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며 “점진적으로 기초연구도 수익성이 보장되는 분야를 연구하는 사람이 과제 취득이 쉽도록 도와야 한다”고 ... ...
“기초과학 맹신말고 산업화 능력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5.29
서울대에서 약학박사학위를 받고 미국으로 옮겨간 전형적인 이민 1세대다. 양국의 대학
연구실
과 기업을 모두 경험해 본 그도 “한국 BT가 성공하려면 정부 연구사업에 변리사를 의무 배치하는 등 사업화 지원을 강화해야”고 조언했다. 신 박사는 “서울대 연구시설이 미국보다 결코 나쁘지 ... ...
이전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