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까락
손꾸락
둘째손가락
둘째
수지
스페셜
"
손가락
"(으)로 총 145건 검색되었습니다.
[Science토크] 철학자와 과학자들 인간의 자유의지 실체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7
‘왼손을 올리거나
손가락
하나를 두드리는 행동을 하기 전에 뇌에서 먼저 신호가 만들어질까. 신호가 만들어진다면 행동을 하기 전 얼마나 짧은 시간에 신호가 생성돼 시냅스를 타고 근육으로 전달될까.’ ‘불이 붙은 자동차에 아이가 혼자 있다. 자동차가 금방이라도 폭발할 것 같은 상황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숲딸기 게놈 해독 유라시아에 자생하는 숲딸기는 오랫동안 유럽에서 재배하기도 했다.
손가락
을 보면 얼마나 작은지 짐작할 수 있다. 위키피디아 20세기 들어 유전학 시대가 열리면서 많은 식물학자들이 딸기 연구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딸기의 게놈이 무척 복잡하다는 사실에 경악했다. 딸기속 ... ...
[전문의가 본 당뇨병] 심장 큰 혈관과 신장 작은 혈관까지 합병증
동아사이언스
l
2019.03.18
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심지어는
손가락
과 발가락 끝부분까지 우리 몸 구석구석에는 혈관이 나뭇가지처럼 뻗어 있다. 모든 기관에 산소와 영양분을 전달하고 노폐물을 거둬 몸 밖으로 배출하기 위함이다. 만약 혈류에 크나큰 문제가 생기거나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당뇨병'은 질병인가 상술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건강검진 때 입는 옷을 입고 피가 맺힌 오른손 검지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변한다.
손가락
에 묻은 피는 채혈을 통한 혈당 측정을 한다는 뜻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사이언스는 미국에서만 8400만 명이 진단받고 있는 ‘전당뇨병(prediabetes)’이 사실은 불확실한 과학에 기초하고 있으며, ... ...
‘미지의 친척인류’ 데니소바인 두개골 파편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또는 데니소바인 직계자손 화석은 모두 콩알 만한
손가락
뼛조각(위 사진)이나 치아, 어른
손가락
한 마디 반 크기의 팔 또는 다리뼈 등으로, 데니소바인의 신체 특징은 전혀 짐작할 수 없었다. 그래서 데니소바인은 화석 속에 파편적으로 남아 있는 DNA를 해독해 복원한 ‘게놈 정보’로만 존재하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그렸다. 깨어난 침팬지는 거울 앞에서 반점이 있는 눈썹을 자주 쳐다봤고 그 부위를
손가락
으로 문질렀다. 갤럽 교수는 원숭이 두 종에 대해서는 같은 실험을 했다. 같은 영장류임에도 원숭이들은 거울 속의 원숭이가 자신이라는 걸 깨닫지 못하는 것 같았고 예상대로 마크 테스트를 통과하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자신을 잘 통제하는 사람이 쓰는 세 가지 전략
2019.01.26
또 한 가지 전략은 (생각 조절하기 또는 반응 조절에 포함될 것 같다) 너무 귀찮고
손가락
까딱하기 싫어서 자꾸 널부러질 때 “가장 귀찮을 때가 가장 일 하기 좋을 때”라며 일단 벌떡 일어나 보는 것이다. 버티기가 필요할 때 당신은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 편인가? 어떤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보이는데 특히 가리키는 행동에 대한 이해력에서 두드러진다. 즉 침팬지는 우리가
손가락
으로 어떤 대상을 가리켜도 이해하지 못하는 반면 보노보는 그 의미를 알아차린다. 수화와 상징을 통해 사람과 대화하는 유인원 칸지(Kanzi)가 침팬지가 아니라 보노보인 이유다. 반면 침팬지를 대상으로 ... ...
“엄마는 네안데르탈인, 아빠는 데니소바인” 게놈 연구 결과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8.23
알타이산맥에 위치한 데니소바 동굴에서 13세의 어린 소녀가 세상을 떠났다. 5만 년 뒤,
손가락
만 한 뼛조각만 남은 이 소녀의 주검을 발굴해 연구한 과학자들은 깜짝 놀랐다. DNA를 추출해 해독한 결과, 부모가 서로 다른 종의 인류라는 사실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어머니는 약 4만 년 전까지 유럽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시간은 불과 120밀리초로 진짜
손가락
으로 무심코 끝이 날카로운 물건을 집었을 때
손가락
을 떼는데 걸리는 시간과 차이가 없었다. 동영상으로 이 장면을 보면 실감이 난다. 해당 동영상에서 끝이 뾰족한 물체를 집을 때 아픔을 느껴 반사적으로 얼른 놓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사이언스 로봇공학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