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스페셜
"
속
"(으)로 총 2,423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환경 파괴가 불러온 신종 질병
2023.07.11
전해 주게 된다. 따라서 자연의 섭리가 무엇이며, 자연의 일부일 뿐인 사람이 어떻게 자연
속
에서 살아가는 것이 가장 이로운 것인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1. 데이비드 쾀멘. 인수공통 모든 전염병의 열쇠. 강병철 역. 꿈꿀자유. 2022 2. 세계보건기구 홈페이지(www.who.int) 3. 이시 ... ...
[표지로 읽는 과학] 분자이온으로 우주 탄생의 비밀 풀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7.09
기초 입자는 스핀에 의해 각자 고유한 자기 모멘트를 갖기도 하는데 연구진은 분자이온
속
전자의 자기 모멘트값을 실험했다. 앤드류 자이치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물리학부 겸임교수는 사이언스 이번 호에서 "루시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밝힌 전자의 자기 모멘트를 측정해 중입자 비대칭의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국도 첫발 뗀 '천연수소' 탐사...땅
속
무한에너지
2023.06.28
주된 용도인 암모니아 비료를 만드는 데 매년 9000만톤이 쓰인다. 게다가 천연수소는 계
속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 정도 사용량으로는 고갈될 염려도 없는 재생에너지라는 것이다. 사문석화로 수소가 만들어지는 반응의 한 예로 철감람석(fayalite)이 고온고압에서 물과 만나면 석영(quartz)과 자철석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마음에도 굳은살이 생긴다
2023.06.03
따듯한 태도를 가지기 등이 있다. 다행스러운 사실은 이들 요소들이 일상 생활
속
에서 찾기 불가능한 머나먼 것들이 아니라는 것이다. 특히 잠깐씩 귀여운 동물 사진이나 꽃이라도 보면서 마음에 휴식을 주는 일은 언제든지 비교적 쉽게 할 수 있는 일이다. 힘든 일의 발생 여부는 나의 힘으로 ... ...
[일상
속
뇌과학] 음식 먹을 때보다 몸에 흡수될 때 행복감 더 느낀다
2023.05.26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연적이고 느슨한 관계 '친구'가 필요한 이유
2023.05.20
점철되어 있는 데 반해 친구관계는 이러한 무게들이 덜하다는 점에서도 각박한 관계들
속
오아시스 같은 역할을 한다. 한참이고 나의 불만불평을 들어주고 있는 친구를 보면서 자신의 삶도 힘들 텐데 힘들게 시간을 내서 나의 불평을 몇 시간이고 들어줄 필요가 없을 텐데, 그러는 이유가 무엇인지 ... ...
[과기원은 지금] 김범준 KAIST 교수, 현우 KAIST 학술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5.16
세 개 국가의 자본주의의 역사와 스마트페이의 현황을 비교해 각국의 자본주의의 발전
속
도 및 양상과 스마트페이를 비롯한 각종 결제수단이 차지하는 비율에 연관성이 있음을 규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유러피언 플래닝 스터디스'에 지난해 10월 온라인 게재됐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귀상어가 추운 바다에서 체온을 유지하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5.14
몸에세ㅓ 열 손실이 가장 크게 일어나는 부위는 아가미인데 귀상어는 깊은 바다
속
에서 아가미 기능을 사용하지 않아 체온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귀상어는 해저 800미터 이하로 내려갈 때 아가미를 닿고 체온 저하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 범유전체 지도 초안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3.05.13
질병 진단 및 치료결과 등을 예측하는 단서가 될 수 있다. 개인의 유전체 염기서열
속
에 들어 있는 이런 유전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선 비교할 표준이 필요하다. 이때 표준 역할을 하는 게 ‘유전체 참조 지도’이다. 지금까지는 2001~2003년 인간게놈프로젝트(HGP) 결과물인 ‘단일 유전체 참조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