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불만"(으)로 총 124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맬서스의 학위공장, 그리고 과학기술인협회2019.08.01
- 대학원생들 뿐인데도, 누구도 앞장서 싸우지 않는다. 모두 국가의 선처만 바라며 불평불만을 늘어놓지만, 딱히 해야할 일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과학기술계를 대표한다는 일부 원로 과학자들은 일자리가 없어 신음하는 청년과학기술인이 아니라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철학의 아버지’라는 위대한 호칭2019.07.12
- 21세기에도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탈레스는 철학책을 쓴 러셀이 불만스럽게 “철학자보다는 오히려 과학자로서 존경해야 할 것이다.”라고 쓴 것은 전적으로 타당하다. 참고자료 -버트란드 러셀, 《서양철학사》, 을유문화사, p.61. -고인석, 《과학의 지형도》, ... ...
- 젊은 공학자 집념으로 장애인 웨어러블 로봇 상용화 ‘눈앞’동아사이언스 l2019.06.24
- 국제대회로 4년에 한번씩 열린다. 많은 취재진이 모여 어수선한 가운데 웅성웅성 불만어린 목소리가 나왔다. 내년 사이배슬론 출전 로봇을 기대했지만 2016년 출전해 3위에 입상한 김병욱(45) 선수가 당시 착용한 ‘워크온슈트’를 착용하고 시연했기 때문이다. 새로운 로봇을 카메라에 담으려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슈퍼우먼, 결국 입을 다물다2019.06.15
- 한다. 픽사베이 ‘강인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들 한다. 힘들어도 내색하지 않고 불평불만 하지 않으며 밝고 긍정적으로, 씩씩하게 이겨내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이야기를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압박이 지나치면 우울증에 취약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2019.05.30
- 과학이 차지하는 위치가 어디쯤인지 가늠할 수 있는 좋은 사례이다. 나는 이게 늘 불만이다. 나의 소박한 저항은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은 이유를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할 수 있나요?”라고 반문하는 정도였다. 때로는 “한 문장으로 요약해 달라”는 요구를 받기도 하는데, 이때 ... ...
- 염한웅 과기자문위 부의장 “수소경제, 혁신성장 정책에서 과학은 빠졌다”동아사이언스 l2019.03.12
- 제시했던 ‘국민을 위한 과학기술’에서는 자문회의가 철저히 외면 받고 있다”고 불만을 이야기했다. 그는 “자문회의는 대통령과 비서실에 과학기술이 관여하는 국가 중요한 정책에 자문안을 제시해야 한다”며 “하지만 비서실은 자문회의에서 무엇을 듣고자 하는지 아직 분명치 않다. 과학 ...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2018.10.16
- %의 관세를 매겼다. 그런데 토마토는 채소로 분류돼 관세 대상이 됐고 이에 수입업자들이 불만을 품었고 이 가운데 큰손인 존 닉스가 뉴욕항 세관 책임자 에드워드 헤든을 상대로 재판을 걸었다. 재판은 대법원까지 올라갔고 1893년 대법원은 과학 대신 관습의 손을 들어줬다(원고 패소). 따라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만 친구 없어! 나만 불행해! 라는 생각이 찾아올 때 2018.01.13
- 제일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고 나만 각종 고통을 당하고 좋은 일은 꼭 나만 빗겨 간다며 불만을 토로하곤 한다(Davidai & Gilovich, 2016). 심각하게 나만 ○ ○가 없다고 느껴질 때면 혹시 타인들에 대한 피상적인 정보만 가지고 그런 생각을 하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는 것도 좋겠다. Davidai, S., & Gilovich,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2017.05.02
- 미세먼지의 절반은 외부(중국)에서 오기 때문이다. 물론 미세먼지에 대한 중국인들의 불만도 상당하기 때문에 중국 정부도 대체에너지 개발 등 다각적인 노력을 하지만(조만간 독일을 제치고 태양광 발전 1위가 될 전망이다) 편리한 삶에 대한 욕구도 워낙 커 앞으로 미세먼지 배출이 늘지만 않아도 ...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2016.07.12
- 노벨생리의학상을 공동수상하기에 이르렀다. 당시 에를리히는 공동수상에 대해 불만이 많았는데 자신의 업적이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실제 적응면역의 실체, 즉 항체가 항원(병원체)에 대응하는 메커니즘이 점차 밝혀지면서 면역은 사실상 적응면역을 의미하게 됐다. 이런 관점은 ... ...
이전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