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훼손
해
열세
태양
독
곤란
실패
스페셜
"
불리
"(으)로 총 114건 검색되었습니다.
서민이 보수정당에 투표하는 이유
2016.11.30
이민자들이랑 달라!” 실제로 사람들에게 자신이 ‘약자’임을 주지시키면 약자들에게
불리
하고 기득권에게 유리한 인식들을, 논리적으로는 거부해야 할 것 같지만, 되려 더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그렇게 ‘친’기득권 세력이 되어 콩고물이라도 얻는 것이 싸우는 것보다 ... ...
똑똑한 인간들이 왜 미신에 빠지는 걸까?
2016.11.01
통제감을 잃는 것은 깊은 무기력과 우울을 가져온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생존이
불리
해질 수도 있다. 또한 우리는 늘 세상의 모든 것들을 우리 기준으로 설명하려 들고(make sense) 거기에서 어떤 의미를 찾아내려는 본능을 가지고 있는 동물이다. 그러다 보니 결국 차선책으로 ‘가짜’ 설명이라고 ... ...
일자리 부족하고 경쟁도 심해… 위기의 젊은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6.10.30
그래픽이 장식했다. ‘동쪽 바다’를 의미하는 라틴어 ‘메어 오리엔탈(Mare Orientale)’로
불리
는 이 크레이터는 달에서 비교적 최근에 생긴, 가장 크고 보존 상태가 좋은 크레이터 중 하나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탐사선 ‘중력 복원 및 내부 실험실(GRAIL·그레일)’을 이용해 수집한 데이터를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돌아가는 세포를 분리함으로써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감소와 대기 건조라는 광합성에
불리
한 조건을 극복하게 진화한 것이다. 그리고 숲이 광범위하게 사바나(초원)로 바뀌는 1000만~600만 년 전 C4 식물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침팬지와 공통조상에서 인류가 진화를 시작한 시점과 비슷하다. C3 ... ...
거절에 대한 두려움
2016.09.27
것은 금방 주변 사람들에게도 ‘잘은 모르겠지만 저 사람이 나를 불편해 하는군’ 같은
불리
한 메시지를 주곤 한다. 두렵고 미숙할 뿐이지만 상대방의 머리 속에서는 ‘나를 불편해 하거나 탐탁지 않아 하는 것’ 같은 오해를 불러일으키기 좋다. 또한 거절당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높은 사람들은 ... ...
[타운이 만난 사람들_멘티편] 비투코리아 이창하 대표
동아사이언스
l
2016.09.09
거치다 보니 완성도를 많이 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경험이 없는 젊은이들은
불리
할 수밖에 없겠죠. 젊을수록 초기에 정말 많이 헤매고 힘들 텐데 특화된 지원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결과물이 나오지 않는다고 경험이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어린 친구들은 별도의 평가 방식을 적용하는 ... ...
피할 수 없을 땐 자기합리화?!
2016.07.05
어떤 문제와 그 문제가 존재하는 사회로부터 피할 수 없다면, 그것이 자신에게 매우
불리
한 문제라고 해도 아예 문제를 바라보지 않거나 자신이 속한 사회를 정당화하면서 일시적인 위안 또는 마음의 평화를 얻으려 애쓰게 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실험을 통해 연구자들은 이런 체제 정당화가 ... ...
귀차니즘을 떨칠 수 있는 심리학적 방법은?
2016.05.31
결국 어제도 오늘도 실패하고 만다. 그런데 이렇게 한정된 의지력 때문에 유혹과는 항상
불리
한 싸움밖에 할 수 없다면 아예 안 싸우는 방법은 없을까? 즉 애초에 유혹을 봉쇄해서 의지력이 필요할 일을 만들지 않는다면 우리에게도 승산이 있지 않을까? pixabay 제공 고맙게도, 이런 생각을 한 ... ...
똑똑한 온실을 넘어 지속가능한 농업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6.02.26
않는다. 자연조건으로 보면 포기하는 것이 당연한데도 네덜란드인들은 ‘자연조건이
불리
하면 만들면 된다’는 역발상으로 접근했다. 바로 유리 온실을 이용한 농업이었다. 온실 농업은 날씨와 기후에 구애받지 않으면서도 생장에 필요한 환경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생산량과 품질이라는 두 ... ...
인공지능 ‘알파고’가 이세돌 9단에게 이기려면…
과학동아
l
2016.02.26
수읽기다. 바둑돌이 놓인 전체 모양을 파악한 뒤 자신에게 유리한 지점과 상대방에게
불리
한 지점을 찾는다. 여기에는 딥러닝이 사용된다. 딥러닝은 컴퓨터가 사람처럼 생각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 기술로 인간의 뇌세포 사이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모방한다. 딥러닝은 방대한 데이터를 ... ...
이전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