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미
manh
mann
MAN
스페셜
"
만
"(으)로 총 6,84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지성' 과식 메커니즘 찾았다
2024.05.02
때문이다. 문득 GLP-1 모방 비
만
치료제가 지난해 '사이언스’의 연구 성과로 선정될
만
했다는 생각이 든다. 의지력에 기댄 다이어트는 십중팔구 실패하는 현실에서 무의식의 신호 회로를 건드려 식욕을 낮춤으로써 덜 먹게 해 살을 빼는 해법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욕망은 누르는 게 아니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외로움을 해소해야 하는 이유
2024.04.27
외로움이 오래되면 자신감이 떨어지고 사람에 대해 불신을 쌓게 되어 좋은 관계를
만
드는 것에서 점점 더 멀어진다는 점이다. 이런 경우 외로움을 먼저 해소하는 개입이 필요하다. 외로움이 오래된 경우 외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술, 도박, 약물 중독 등에 빠져드는 경우도 적지 않으므로 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연금개혁·의대증원 '과학적 근거'에서 '과학'은 어디?
2024.04.24
생명과 건강을 지켜주는 '과학적 근거'인지에 찾아내야 한다. 이제 자신의 과학적 근거
만
옳다고 우기는 독단·독선·불통은 설 자리가 없다. 정부가 의사와 무조건적인 '대화'에 나서야 한다. 정부가 양보했으니 의사도 양보해야 한다는 주장은 소모적이고 치졸한 기(氣) 싸움일 뿐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멸종위기 코끼리 살리는 '산림인증제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4.20
연구팀은 "종 보호를 위한 최선의 방법은 산림을 벌목하지 않고 유지하는 것이지
만
이미 벌목 중인 산림에서는 FSC 인증을 통한 산림 관리가 대형 포유류에게 피해를 덜 주는 길"이라고 설명했다. 또 "멸종 위기에 처한 대형 포유류가 FSC 인증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며 "FSC 인증 또는 그와 비슷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편이다. 김성호 교수의 제자이자 2001년 김 교수가 예일대 조셉 실레싱어 교수와 같이
만
든 회사 플렉시콘(Plexxikon)의 대표로 있으면서 피부암 치료제 베무라페닙(Vemurafenib. 제품명 젤보라프(Zelboraf))를 개발하기도 한 차오 장 박사는 2013년 한 기고문에서 “라스(Ras)를 길들이지 못하면 암과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약탈적 학술지 퇴출시키려면
2024.04.11
등장한 논문 비싼 '구독료' 때문에 시작된 '오픈액세스'(Open Access)가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
들고 있다. 학술 정보의 공공성과 개방성이라는 차원에서 누구나 논문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오픈액세스가 긍정적인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현재의 오픈액세스는 학술지를 발간하는 출판사에게 엄청난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인류 화석의 아이콘 '루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7
지위는 20년 정도
만
유효했다. 루시 이후 440
만
년 전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 580~520
만
년 전 '아르디피테쿠스 카다바', 700~600
만
년 전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 등 고인류 화석이 발견되며 인류의 역사를 앞당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루시는 발견 이후 할리우드 스타급 인기를 누렸다. 루시를 보기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이크로바이옴과 단백질의 긴밀한 관계
동아사이언스
l
2024.04.06
체내에서 서식하는 519개의 박테리아 균주와 3324개의 인간 단백질 사이에서 벌어지는 170
만
개 이상의 잠재적 상호 작용을 확인했다. 분석 결과 383개의 박테리아 균주와 651개의 단백질 간 새로운 상호작용이 확인됐다. 이번에 확인된 상호작용 중 일부는 생리현상의 근본적인 작용 원리를 알아내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
2024.04.03
원료가 곰팡이가 감염된 상태일 수 있기 때문이다. 최소한 해썹(HACCP) 인증 제조 시설에서
만
든 제품인지는 확인해야 한다는 말이다. 21세기도 4분의 1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천연은 몸에 좋고 합성은 해롭다는 인식이 남아있는 것 같다. 고지혈증인 사람들을 위한 고순도 스타틴 의약품이 나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에 흔들리는 이공계 교육과 지방대 소멸
2024.03.27
증원에 대한 국민적 지지도 믿을 것은 아니다. 당초 89.3%로 알려졌던 찬성 의견이 한 달
만
에 반토막 나버린 현실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 보건복지부의 일방적인 주장도 경계해야 한다. 의사가 국민의 생명·건강을 지켜줘야 한다는 이유 때문에 정부의 불합리한 개혁에도 반발하지 말아야 한다는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