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수
대량
많음
풍부
떼
풍부함
산더미
스페셜
"
다량
"(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Conus geographus)가 내뿜는 독을 분석했다. 그 결과 기존 코노독신 외에도 인슐린이
다량
으로 존재한다는 걸 발견했다. 인슐린이 물속으로 퍼지면 물고기 아가미 사이로 들어가 혈관으로 흡수된다. 그 결과 물고기는 혈당 수치가 급격히 떨어지면서 저혈당쇼크를 일으켜 동작이 느려지고 정신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간으로 직접 들어가 지방간을 유발하고 혈당조절을 방해한다. 또 염증 유발 신호물질을
다량
분비한다. 리버먼 교수는 “지나친 뱃살(올챙이배)은 BMI가 높은 것보다 대사질환을 초래할 위험이 훨씬 크다”고 쓰고 있다.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복부비만인 사람의 84%가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못하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기름 성분이 많고 냄새가 강한 휘발성 물질을
다량
으로 내놓는다. 소위 이차대사물로
다량
섭취할 경우 독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평범한 동물이 유칼립투스 잎을 주식으로 삼는다는 건 곧 자살행위다. 호주 원주민들은 예로부터 통증이나 열이 날 때 유칼립투스 잎을 으깨 부위에 발랐는데, 이런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무는 어떻게 겨울잠을 잘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4.14
모습이다. -사이언스지 제공 아브시스산은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 식물체 내에
다량
으로 만들어지는 호르몬이다. 잎의 기공이 닫히게 하는 역할을 해 식물 내 수분을 유지시킨다. 실제 휴면 중인 식물의 눈이나 알뿌리, 종자 등에 아브시스산이 많이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
2018.04.03
쓸수록 탄수화물 비중 높여야 물론 구석기인들이 탄수화물을 꽤 먹었고 몸의 생리가
다량
의 탄수화물을 대사할 수 있게 진화했다고 해서 고탄수화물 식단이 고지방 식단보다 더 좋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오늘날 당뇨 같은 대사질환이 만연한 건 식단보다는 생활습관이 더 큰 요인일 ... ...
[사이언스 지식IN] 면역세포? 줄기세포? 첨단재생의료법은 뭐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1.07
바꿔치기하는 능력이 탁월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특정 효소나 단백질을 이용해
다량
의 유전자를 한꺼번에 교정하는 ‘유전자 가위’ 기술도 연구 중이다. (아래는 3세대 유전자가위 ‘크리스퍼’ 소개영상) Q5. 첨단재생의료법은? 첨단재생의료는 면역세포 치료, 줄기세포 치료, 유전자 치료 ... ...
성인병의 주범? 콜레스테롤의 오해와 진실
2016.12.21
기름의 경우 올리브유 등의 불포화지방을 섭취하도록 한다. 등 푸른 생선이나 들기름에
다량
함유된 오메가-3와 오메가-6 같은 불포화 지방산은 중성지방을 낮추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윤예영 동아사이언스 ... ...
지진에 가장 위험한 나라 15개 꼽아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6.10.03
의해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설정된 곳이다. 뉴질랜드, 덴마크 등 국제 공동연구진은
다량
의 양서류와 포유류 표본을 이용해 열대 우림 지역의 종이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더 다양하다는 연구결과를 학술지 ‘사이언스’ 30일자에 발표했다. 인간이 자연을 연구한 역사는 길지만 아직 우리의 ... ...
콜레라, 혈액형 O형이라면 특히 조심해야
2016.09.07
않았어요.” 중증 콜레라 환자의 ‘쌀뜨물’ 설사. 이런 식으로 체내 수분과 전해질이
다량
빠져 나가면 24시간 내에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 위키피디아 제공 ● 콜레라독소가 소장을 공격 키티가 남편을 봤을 때는 글 앞에 인용한 것처럼 이미 산송장 상태였다. 결국 월터는 간신히 몇 마디를 ... ...
13만 km 혈관에 숨어 있는 삶과 건강
IBS
l
2016.06.01
동물 안구의 손상된 각막상피세포 치료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이 개발한 시스템은
다량
의 일산화질소를 저장했다가 빛을 활용해 체내에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나노입자 구조다. 많은 연구자들이 쉽게 변질되는 일산화질소의 특성 때문에 전달 시스템 개발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