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스페셜
"
교수
"(으)로 총 351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교수
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로체스터대학에서 박사 과정을 밟고 있을 때 김
교수
의 액시온 이론을 접하고 관련 연구에 뛰어든 것. KAIST 캠퍼스에 실험동이 건립되면 약 5~6년 후부터는 연구단이 세계 액시온 연구 흐름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윔프보다는 생소하긴 하지만, ... ...
귀신의 과학
KISTI
l
2015.02.24
- 스위스 로잔 공과대학(EPFL) 제공 이에 대해 로잔 공과대의 올라프 블랑케(Olaf Blanke)
교수
는 “해당 실험은 제 3의 존재를 인지하도록 실험실에서 인공적으로 유도한 첫 사례”라며 “유령의 존재란 결국 뇌 감각 신호간의 충돌에서 빚어지는 현상임을 시사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흔히 ... ...
즐기다 보니 우수연구원 됐다
IBS
l
2015.02.24
정리한 논문으로 우수논문상까지 받았다. 이때의 인연으로 2013년 2월 학위를 받은 후 이
교수
가 그룹 리더로 있는 IBS에 자연스럽게 합류하게 됐다. 그리고는 계속 관련 연구를 발전시켜 지난해에는 우수연구원상까지 받는 영광을 누렸다. 당연히도 김 연구원은 이러한 모든 성과가 재미있는 일을 ... ...
눈(雪) 위의 스포츠! 스키와 스노보드 정복하기
KISTI
l
2015.02.16
이때는 플레이트 밑면에 왁스를 발라 더욱 미끄럽게 만드는 방법이 있다. 보우든
교수
는 1953년 여러 종류의 왁스로 후속 실험을 진행해 정확한 마찰계수를 찾아냈다. 노르웨이와 스위스와 같은 산악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해온 왁스는 플레이트의 마찰력을 평소의 절반으로 줄여주었다. 그래도 ... ...
[생활 속의 기술]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KOITA
l
2015.02.16
그러나 로봇윤리 개념을 최초로 세운 이탈리아 국립로봇연구원 장마르코 베루지오
교수
는 이런 시각이 오해라고 말한다. 그는 “로봇윤리는 로봇기술을 반대하는 논리가 아니다”라며 “로봇기술의 긍정적 확산을 위해 우리가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지 논의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인류의 ... ...
[MATH] 시간 기록은 어떻게 할까?
KISTI
l
2015.02.09
KISTI 과학향기 제공 지구상에 인류가 처음 등장했을 때부터일까? 아니면 지구가 생성한 순간부터일까? 어쩌면 그 보다 더 거슬러 올라가 우주가 탄생하는 순간부터 시간이 흐르기 시작한 것 아닐까? 그렇다면 우주는 언제 탄생했을까? 우주의 탄생이 언제인가는 천문학계의 큰 논쟁거리이지만 많은 ... ...
양파 먹인 광어가 ‘쵝오’에요!
2015.01.26
양식업에 종사하는 어민들에게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김두운 전남대 식품공학과
교수
팀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최종순, 권요셉 책임연구원 팀은 양파에서 찾아낸 천연물질로 겨울철 광어의 새끼인 치어의 생존률을 6배 이상 높였다고 21일 밝혔다. 광어 떼죽음의 원인은 출혈성 패혈증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
2015.01.20
수술 없이 뇌파를 읽어내는 장치도 개발 중이다. 박광석 서울대 의대 의공학교실
교수
팀은 등산용 모자처럼 생긴 장치를 쓰고 생각만으로 휠체어를 조종하는 데 성공했다. 이 장치는 지금까지 개발된 뇌파 측정 장치 중 세계에서 가장 가벼운 것이 장점이다. 뇌신호 기술을 상용화 하려면 먼저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
2015.01.20
첨단 기술이라 볼 수 있다. ●장애인 팔, 다리 대체하는 보조로봇 각광 김정 KAIST
교수
가끔 팔 다리, 혹은 하반신이나 전신에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을 볼 수 있다. 과거에는 전쟁이 주 원인 이었지만 현재에도 산업 현장, 교통사고, 질병 등으로 팔 다리가 절단됐거나, 혹은 신경이 죽어 더 이상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20
인공눈 개발이 한창이다. 정흠 서울대병원 안과
교수
와 김성준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팀 등이 앞서 나가고 있다. 이 인공눈은 기존 시스템의 단점인 수술 부담을 크게 줄였다. 지금까지는 인공눈 센서를 이식하려면 눈 뒤편 망막에 직접 시신경을 연결해야 했다. 수술을 통해 눈동자에 직접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